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전~통영 고속도로를 지나다보면 잠두교라는 다리를 만난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 다리가 잠두교인지도 모르고 지나갈 것이다. 쾌속으로 질주하는 고속도로에서는 주변의 경관이나 느낌들을 느낄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매번 빠르게 지나다니기만 하던 잠두교 아래 잠두마을을 찾았다. 거대한 고속도로 다리와 비교도 안 될 국도의 잠두1교에서 내려서 잠두 2교까지의 금강변을 걸었다. 매번 하류로만 다니다 상류의 상황을 보기 위해서 였다. 금강의 좌안산책길은 그야말로 절경이었다.

금강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절경은 가을의 쌀살한 바람도 어머님 손길처럼 안락하게 느껴질마큼 절경은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었다. 계절의 탓인지 붉게 물든 강변의 숲은 더욱 더 아름다운 모습이었고, 유유히 흘러가는 금강의 자태는 비단강이라는 말을 실감하게 해주었다.

가을 단풍과 함께 아름다운 절경을 선물해 주었다. 이곳에 무슨 정비사업이 필요한지 나는 잘 이해 할 수 없었다.
▲ 잠두1교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가을 단풍과 함께 아름다운 절경을 선물해 주었다. 이곳에 무슨 정비사업이 필요한지 나는 잘 이해 할 수 없었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절경에 취해 1시간 30여분을 걸었다. 어른들의 빠른 걸음으로는 30분 밖에 되지 않는 짧은 거리를 무려 1시간 오버해서 걸은 것이다. 금강주변의 나무와 곤충 새, 생명들을 보면서 즐기다보니 오래 걸린 것이다. 유유자적이라는 옛말이 실감나는 시간이었다. 신선들이 놀다 갔을 법한 이곳 답사를 마치고 나는 허탈한 생각이 들었다.

흙길로 유지되어 걷기도 편하고 주변과 조화롭게 형성되어있었다.
▲ 금강변길 흙길로 유지되어 걷기도 편하고 주변과 조화롭게 형성되어있었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용담댐 직하류 정비사업의 대상구간이기 때문이다. 이곳을 정비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이곳을 1시간 30분 정도로 여유있게 강변을 걸어보긴 했을까? 이곳은 더 이상 손댈 필요없는 자연의 공간이라는 것을 몸으로 체득할 시간을 가져보긴 했을까?

아마도 시도조차 해보지 않았을 게다. 지도나 위성사진을 보고, 마을 사진 한두 장 찍은 후 그림을 그렸을 게다. 이렇게 그린 그림이 제대로 이곳의 생태나 문화 등을 반영했을 리 만무하다.

금강물이 돌아가는 모습을 볼수 있는 곳이다.
▲ 잠두교 위성사지 금강물이 돌아가는 모습을 볼수 있는 곳이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왜래종으로 지정되어 유해시물로 구분된 가시박이 곳곳에 서식하고 있었다. 정비가 필요하다면 이런 가시박 정비가 필요할 듯 보였다.
▲ 산책로 주변에 나타난 가시막 왜래종으로 지정되어 유해시물로 구분된 가시박이 곳곳에 서식하고 있었다. 정비가 필요하다면 이런 가시박 정비가 필요할 듯 보였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4대강 정비사업 역시 마찬가지다. 이렇게 아름다운 금산의 천내습지는 4대강 정비사업 앞에 위기에 처했다. 잠두1교 하류인 금강은 4대강 정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그곳의 여유로움과 생태를 생각해볼 시간도 없이 오로지 속도전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금강정비사업과는 다른 사업으로 추진되는 이곳 역시 정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모든 개발에 앞서 개발되는 곳에 자연과 생명들 그리고 주민들과 함께 해온 강의 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 아닐까? 적어도 국가에서 책임을 지고 하는 사업이라면.


태그:#4대강, #금강트래킹, #가을단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