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0년-2010년 사이 한국의 평균 인터넷 이용자 변화
 2000년-2010년 사이 한국의 평균 인터넷 이용자 변화
ⓒ 한국인터넷진흥원 제공

관련사진보기


2000년 1904만 명이던 인터넷 이용자수(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는 10년 사이 3701만 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고, 전체 인구 대비 인터넷 이용률로 따져도 44.7%에서 77.8%로 33.1%포인트 증가했다. 하루 1회 이상 접속하는 적극적 인터넷 이용자 역시 56.4%에서 82.5%로 26.1%포인트 늘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29일 발표한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인터넷은 20~30대 전유물' 옛말... 남녀노소 전 연령대로 확산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 5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전국 3만 가구, 만 3세 이상 가구원 7만2658명을 직접 방문해 면접 조사를 벌였다.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해온 인터넷 이용 조사 초기에는 만 7세나 만 6세 이상 가구원만 대상으로 했으나 인터넷 이용 연령층이 낮아짐에 따라 지난 2006년부터 만 3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실제 만 3~5세 사이 인터넷이용률은 63.0%(84만 명)로 만 6세 이상(78.3%)과 큰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40~50대 이상 고연령층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인터넷 이용자 평균 연령은 10년 사이 26.3세에서 32.3세로 6세 늘어났다.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수 변화 추이(단위: 천 명)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자수 변화 추이(단위: 천 명)
ⓒ 한국인터넷진흥원 제공

관련사진보기


인터넷-PC 보급 포화 상태... 모바일 접속 1년 사이 2배 늘어

2010년 5월 현재 가구 컴퓨터 보유율은 81.8%로 2000년 71.0%에 비해 약 10%P 늘었다. 초고속인터넷 등을 통한 가구 인터넷 접속률도 81.6%로 이와 비슷했으나 10년 전 49.8%에 비해서는 30%P 넘게 늘었다. 

하지만 인터넷 이용률은 70%를 돌파한 2004년 이후 70% 후반대에서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조사 결과와 올해 조사 결과를 비교하는 게 무의미할 정도다. 그만큼 컴퓨터나 초고속인터넷 보급이 거의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얘기다. 그나마 최근 스마트폰 등 이동 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이용 증가세가 눈에 띈다.

가정(98.5%)이나 회사(42.8%)에서 주로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지난해보다 1~2%P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이동전화 등 무선단말기로 '장소 구분 없이' 이용한다는 답변이 지난해 21.6%에서 39.6%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적어도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4명은 어떤 식으로든 모바일 접속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스마트폰 등 이동전화로 이메일을 이용하는 비율도 4.2%였고 인스턴트 메신저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비중은 이보다 높아 각각 5.1%, 5.8%를 차지했다.

만 12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64.3%가 인터넷 쇼핑을 이용해 봤고 스마트폰 등 이동전화를 이용한 경우도 13.3%에 이르렀고 모바일 인터넷뱅킹 이용자도 9.2%였다.

10~20대 90%, 전자책 이용 의향... 전용 단말기 구입은 '글쎄'

올해 조사에선 전자책 이용률 조사도 눈길을 끌었다. 만 12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가운데 전자책 이용률은 8.8%였고 10대(12세~19세)나 20대는 각각 15.4%, 17.0%로 나타났다. 또한 78.7%가 앞으로 전자책 이용 의향을 밝혔으며 10대, 20대는 약 90%에 이르렀다.

전자책이 향후 종이책을 대체할 것이라고 응답은 38.6%로 나타났으나, 전자책 서비스를 위해 전용 단말기를 구입하거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은 각각 23.2%, 21.5%에 그쳤고 상대적으로 부정적 답변이 많았다. 실제 전자책 이용자들은 대부분 데스크톱(89.5%)이나 노트북(16.7%) 등 기존 PC나 스마트폰 등 이동전화(10.3%)를 이용하고 있었으나 전자책 전용 단말기는 2.5%에 그쳤다.

가구별 정보통신기기 보유 현황에서도 81.4%가 데스크톱PC를 보유한 가운데 노트북PC는 15.1%, 스마트폰(PDA 포함)은 4.9%, 전자책 단말기는 0.3%로 나타났다.


태그:#인터넷 이용, #모바일 인터넷, #무선 인터넷, #스마트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