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가 25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에 대한 질의를 받으며 곤혹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가 25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에 대한 질의를 받으며 곤혹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적격성'을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어, "까도 까도 나올 것이 없다"고 자부한 김 후보자가 무사히 임명장을 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홍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25일 "청와대는 인사청문회가 끝난 공직후보자에 대한 임명 여부를 신중하게 민의를 수렴해 결정해 주길 바란다"며 부적격 내정자에 대한 임명 철회를 주문했다.

그는 "국민들이 이번 인사청문회를 보면서 청문대상인 장관, 총리들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최고위원의 이 발언은 이틀째 인사청문회에서 곤욕을 치르고 있는 김 후보자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홍 최고위원은 지난 19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도 김태호 후보자와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 등 세 사람을 '부적격 인사'로 구체적으로 거명한 바 있다.

 40대 서민 총리라던 김태호, 알고보니 '양파 총리'
ⓒ 박정호

관련영상보기


'변호사' 자임한 정옥임도 "흠결이 하나도 없다 말하긴 좀 어렵다"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활동을 벌인 한나라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적극적인 옹호 답변은 나오지 않았다.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 7명(위원장 포함)을 상대로 <연합뉴스>가 이날 후보자의 '적격' 여부를 물어본 결과 의원 3명은 '적격', 2명은 '유보' 답변을 내놓았다. <연합뉴스>는 나머지 의원 2명과는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적격' 답변이 다소 우세하나 김 후보자에 대한 여당 내부의 우려를 미루어 짐작키에 충분한 상황이다. '유보'라고 답한 의원들은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민주당이 '박연차 게이트' 관련 공세를 강화, 여론이 나빠질 수 있다", "준법정신과 정책 콘텐츠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유를 밝혔다.

청문특위 위원인 정옥임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한 인터뷰에서 이 같은 복잡한 속내를 여실히 드러냈다.

정 의원은 인터뷰에서 김 후보자에 대해 "총리가 됨에 있어서 뭐 결정적인 하자라든지 치명적인 하자는 발견되지 않았다"면서도 "완전하다, 완벽하다, 흠결이 하나도 없다, 이렇게 말하긴 좀 어렵겠죠"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치자금 10억 특혜대출 ▲인사청탁 뇌물수수 의혹 ▲불법수의계약 등 후보자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적극 '변호'하면서도 후보자가 일부 시인했던 '재산신고 누락'에 대해선 "김 후보자가 어제 청문회에 와서 보니까 '자기가 참 그런 부분에서 허술했다'라는 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며 '양해'를 부탁하기도 했다.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도 이날 <SBS 전망대>와 한 인터뷰에서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뇌물수수, 은행법 위반 이 네 가지 중 낙마사유가 안 되는 게 있느냐"란 질문에 "법을 지키지 못하고 법을 어긴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선 책임을 져야 된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야당 "기본적인 것도 거짓말한 김태호, 스스로 거취 결정해야"

박선숙 민주당 의원이 24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박선숙 민주당 의원이 24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편, 야당의 파상공세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날(24일) 청문회에선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해명'을 요구하는 데 주력했던 야당 청문위원들은 이날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하지 않냐"며 '자진사퇴'까지 거론하고 나섰다.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것은 당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은 위장전입, 세금탈루, 부동산 투기, 병역기피 4대 필수과목 플러스 논문 표절, 즉 '4+1'에 해당하는 후보자는 누구를 막론하고 반대한다"며 후보 적격성 판단 원칙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지난 18일 수정 신고하긴 했지만, 장모와 부인이 공동소유한 주상복합아파트의 임대수입을 수년간 탈루했단 의혹을 받고 있다. 또 김 후보자 본인은 동일한 논문을 4번이나 중복 게재해 사실상 '자기 표절'을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또 "장모 전세금 문제, 부인 관용차 문제 등 기본적인 것을 거짓말하는 사람이 앞으로 어떻게 총리가 되겠나"며 "오늘이라도 대통령께서 지명을 철회하든지 사퇴를 하든지 해야지, 지금까지 나온 의혹 갖고도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직설적으로 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도 이와 다르지 않다. 우위영 민노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의혹도 해소하지 못하고 거짓과 협박, 적반하장인 사람에게 국무총리를 맡긴다는 것은 정운찬 전 총리에 이어 다시 한 번 우리 국민을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지명철회를 촉구했다.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도 "이명박 대통령은 본인이 행한 이번 개각이 실패했음을 인정하고 고위공직자 내정을 총체적으로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김 후보자에 대한 총리 임명동의안 표결은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국회의원 재적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과반수의 찬성을 얻지 못하면 인준안은 부결된다.

현재 한나라당의 의석 수는 합당이 예정된 미래희망연대 의석 수까지 포함할 때 전체 의석의 과반수인 180석. 한나라당이 김 후보자를 '지켜주기'로 결정한다면 무리 없이 임명동의안은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여당 내부의 '우려'와 야당의 '반발' 끝에 '임명장'을 받을 김 후보자가 본인이 다짐한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이끌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태그:#김태호, #인사청문회, #홍준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