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MBC 드라마 <동이>. 왼쪽은 장희빈(이소연 분), 오른쪽은 명성대비(박정수 분).
 MBC 드라마 <동이>. 왼쪽은 장희빈(이소연 분), 오른쪽은 명성대비(박정수 분).
ⓒ MBC

관련사진보기


최 숙빈·장 희빈·인현왕후의 여인천하를 다루고 있는 MBC 드라마 <동이>에서, 요즘 장 희빈(이소연 분)이 독기를 왕성하게 뿜어내고 있다. 25일 방영된 제20부에서, 장 희빈은 '잘못된 탕약'으로 명성대비(명성왕후, 박정수 분)를 죽음으로 몰아넣는 한편, 그 책임을 중전인 인현왕후(박하선 분)에게 뒤집어 씌워 중전 폐위를 사실상 기정사실로 만드는 데에 성공했다.

그렇게 장 희빈은 명성대비와 인현왕후에게 강펀치를 날렸다. 명성대비는 '삶의 바깥'으로 내몰았고, 인현왕후는 '궐의 바깥'으로 내몰고 있다. 인현왕후의 무고함을 밝히려던 감찰궁녀 동이(훗날의 최숙빈, 한효주 분)의 노력도 아무 보람 없는 듯하다. 

자신과 아들의 앞길을 위해 시어머니인 명성대비를 시해했다? '조선의 팜므파탈' 장 희빈이라면 충분히 그러고도 남았을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정말로 그러했을까?

명성대비가 장옥정(장 희빈)의 앞길을 막은 것은 사실이다. 숙종의 첫째 부인인 인경왕후가 사망한 뒤에 궁녀 장옥정이 임금의 마음을 사로잡자, 서인 출신인 명성대비는 두 사람을 떼어놓기 위해 장옥정을 궐 밖으로 추방했다. 그 정도로 명성대비는 '장옥정'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이를 부드득 갈 수 있는 인물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장 희빈 역시 명성대비한테는 악감정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활력적이었던 명성대비, 왜 갑자기 죽었을까

하지만 중요한 것은, 당시 장옥정이 명성대비의 죽음에 영향을 미칠 만한 위치에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명성대비가 죽은 시점은 숙종 9년 12월 5일 즉 서기 1684년 1월 21일이다. 참고로, 많은 인터넷 백과사전이나 역사 서적에서 명성대비의 사망 시점을 서기 1683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것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숙종 9년이 양력 1683년이 될 수도 있고 혹은 양력 1684년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한 데에서 나온 실수다. 숙종 9년 11월 14일까지는 양력 1683년에 해당하지만, 11월 15일부터는 양력 1684년에 해당한다. 

명성대비에 의해 쫓겨난 장옥정은 이때 궐 밖에서 지내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의 장옥정은 대비의 목숨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었다. 게다가 숙종 6년(1689) 경신대출척(경신환국) 이후 남인이 권력을 상실한 뒤였기 때문에 남인이 장옥정을 위해 궁중 사람들을 움직여 대비를 암살하기도 힘들었다.

그럼, 명성대비는 왜 죽은 것일까? 늙어서 죽은 것은 분명 아니다. 사망 당시의 명성대비(1642~1684년)는 40대 초반이었다. 숙종 1년(1675) 이후의 파격적인 국정개입에서 잘 드러나듯이, 명성대비는 상당히 적극적이고 활력적인 여인이었다. 그런 여인이 40대 초반에 '기력이 다해서' 죽었다고는 볼 수 없다.

숙종 9년, 유행하던 마마에 걸린 숙종 임금

명성대비(명성왕후)와 현종의 무덤인 숭릉. 사진은 숭릉의 정자각. 정(丁)자 모양으로 생긴 정자각(丁字閣)은 죽은 이를 위한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의 동구릉 안에 있다.
 명성대비(명성왕후)와 현종의 무덤인 숭릉. 사진은 숭릉의 정자각. 정(丁)자 모양으로 생긴 정자각(丁字閣)은 죽은 이를 위한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의 동구릉 안에 있다.
ⓒ 동구릉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멀쩡하던 명성대비가 갑자기 죽은 이유를 이해하려면, 사망 직전인 숙종 9년(1683) 겨울부터 그의 행적을 추적할 필요가 있다.

숙종 9년(1683) 10월 13일자 <숙종실록>에 따르면, 쌀쌀한 음력 10월인 그 당시에 한성에서는 두질(痘疾, 마마)이 크게 유행하고 있었다.

<숙종실록>에 의하면, 명성대비는 한글 하교를 내려 임금을 보호할 금표(禁標)를 설정하도록 하는 한편, 전염병이 임금에게 옮겨지지 않도록 일부 백성들을 도성 밖으로 내보내고자 했다. 여기서 '금표'는 임금이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영역이었다.

'초겨울에 백성들을 도성 밖으로 내보내면 자칫 동상에 걸릴 수도 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숙종은 백성들을 도성 밖으로 내보내지 말도록 하는 대신에 금표만 좀 더 확장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 어머니의 하교를 절충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여기서,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한글 하교를 내린 일이나, 스물세 살의 젊은 아들이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노력한 일을 볼 때, 음력 10월 13일 당시의 명성대비에게는 특별한 건강상의 문제가 없었다고 판단해도 될 것이다.

8일 뒤인 10월 21일자 <숙종실록>에는 의사들이 숙종을 진찰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뿐 아니라 조선시대의 '마마 전문의'인 두의(痘醫)가 출동하는 한편, 7인의 의사가 궁궐 약방에서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숙종도 전염병에 걸렸던 것이다.

그런데 이때도 명성대비는 멀쩡했다. 10월 21일자 실록에서는, 아들의 간호를 위해 또 다른 하교를 내리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는 명성대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염병이 진정된 이후의 기록인 11월 1일자 <숙종실록>에서도 명성대비가 여전히 사후 처리를 주도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숙종이 마마에 걸린 이후로 대궐 약방에서는 육선(肉膳) 즉 고기반찬을 임금에게 올리지 말도록 했다. 아들이 마마에서 회복되자, 명성대비는 상선(常膳) 즉 평소 음식을 올리도록 하는 새로운 조치를 취했다. 명성대비만큼은 건강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아들 건강 챙기다 건강이 급속도로 약화된 명성대비

위와 같이 숙종이 마마에 걸리기 이전부터 회복된 이후까지 명성대비의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 이 시기에 명성대비는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아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열성을 다했다. 건강이 담보되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전염병이 멈춘 때로부터 3주 뒤의 문헌인 11월 22일자 <숙종실록>에는 아주 짤막하게 "왕대비(명성대비)가 불예(不豫)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명성대비가 병에 걸렸다는 뜻이다. 그로부터 13일 뒤인 12월 5일(음력)에 명성대비는 결국 세상을 떠났다.

명성대비가 두질 문제에 개입한 날인 숙종 9년 10월 13일부터 병석에 누운 11월 22일까지 조선 왕궁에서 발생한 일들을 놓고 볼 때, 평소 적극적이고 활력적이던 대비의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었던 2가지 요인은 전염병과 과로였다. 

이 중에서 전염병은 대비의 건강을 침해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전염병이 번질 때뿐만 아니라 진정된 후에도 대비는 건강을 잃지 않고 꽤 분주하게 움직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로가 대비의 건강을 침해했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이다. 전염병의 확산으로 보건환경이 악화된 음력 10월·11월의 쌀쌀한 날씨에, 마마에 걸린 아들의 건강을 챙기고 사태 해결을 진두지휘하는 과정에서 그의 건강이 급속도로 약화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게 이치적이다. 그렇게 생긴 과로가 결국 40대 여인의 급사를 초래했다고 볼 수 있다.

명성대비(명성왕후)의 무덤인 숭릉을 포함해서 9개의 왕릉이 있는 동구릉(東九陵). 한성 서쪽에 있는 서오릉(西五陵)과 대비되는 곳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하나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명성대비(명성왕후)의 무덤인 숭릉을 포함해서 9개의 왕릉이 있는 동구릉(東九陵). 한성 서쪽에 있는 서오릉(西五陵)과 대비되는 곳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하나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명성대비는 전염병 문제를 직접 주도하는 한편 자기 아들을 지켜내는 과정에서 과로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장희빈 측이 제조한 탕약을 먹어서가 아니라 '너무 지쳐서' 죽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러므로 장희빈이 명성대비를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드라마 <동이>의 이야기는 실제 역사와는 전혀 딴판이라 할 수 있다.

무슨 일만 터지면 '장 희빈의 소행'으로 몰아가는 것은, 해묵은 '장 희빈 콤플렉스'가 낳은 결과물이다. 이 같은 스토리 전개는 장 희빈을 악녀로 만들어 주인공 최 숙빈에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만들어낼 수는 있어도, 숙종시대에 벌어진 여인천하의 진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태그:#동이, #장희빈, #명성왕후, #숙종, #명성대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