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소녀시대 신곡이 나왔다고? 우리 제시카는 얼마나 더 예뻐졌나 봐볼까.'

서울 영등포에서 경기도 평촌으로 매일 출근하는 30대 미혼 남성 주아무개씨는 소녀시대의 열성적인 삼촌팬이다. 회사까지는 지하철로만 40분 정도 걸리는데 이 시간이 주씨가 아이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간이다.

아이폰에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곰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아이폰에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곰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 최지용

관련사진보기

지하철에 타자마자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역시나 최다 조회 랭킹에 '소녀시대' 관련 영상이 도배되어 있다. 지하철에서는 와이파이(Wi-Fi, 무료로 연결되는 무선 인터넷)가 잡히지 않으니 어쩔 수 없이 요금이 부과되는 3G(3세대 통신, 2Ghz의 주파수로 데이터를 주고받음)를 통해 영상을 봐야 한다.

다 못 쓰는 데이터용량, 참 아깝네

주씨는 한 달 무료데이터 이용 용량이 1기가바이트(GB), 무료통화는 400분인 6만5천 원 정액요금인 'i-미디엄'을 이용 중이다. 지난해 12월 예약 판매할 때 아이폰을 구입해 벌써 4개월째 쓰고 있지만 그동안 사용한 3G 데이터 용량은 1.1GB밖에 안 된다. 사용할 수 있는 누적 용량을 따지면 4GB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는데 2.9GB를 쓰지 못하고 지나친 것이다. 하지만 한 단계 낮은 'i-라이트' 요금제는 무료통화 시간이 200분밖에 되지 않아 전화통화를 많이 하는 주씨는 요금제를 바꾸지 못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에 전화통화로 425분을 사용했다.

주씨는 "아이폰을 처음 샀을 때는 요금 폭탄이다 뭐다 해서 3G 사용을 자제했었는데 나중에는 시간 날 때마다 써도 다 못 썼다"고 말한다. 그는 "같은 6만5천 원 요금이라도 3G를 많이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무선데이터 용량은 줄이더라도 무료통화시간을 늘린 요금제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선교 "음성통화와 데이터 이용 분리해 가입할 수 있게 해야"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선교 한나라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정액요금제에 포함된 무선데이터 용량을 절반도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위 자료에 따르면 SKT에서 무선데이터 사용률이 가장 높은 요금제는 월 4만5천 원에 500메가바이트(MB)를 쓸 수 있는 '올인원45 요금제'로 가입자들은 무선데이터 용량의 25%를 사용한다. KT도 같은 가격과 조건의 'i-라이트 요금제'가 사용률이 가장 높지만 절반도 못 쓰는 것으로 드러났다(사용률 45%).

요금제가 비쌀수록 데이터 사용량이 더욱 줄어드는데 SKT의 월 9만5천 원 정액제인 '올인원95 요금제' 가입자들은 이용 가능한 2GB의 무선데이터 용량 중 11%만 사용한다. 같은 가격의 KT 'i-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무선데이터 3GB를 사용할 수 있지만, 가입자들은 13%만 사용하고 있다.

한 의원은 "이동통신사들이 무선인터넷을 활성화하려고 하지만 여전히 소비자 인식과 거리가 멀다"며 "쓰지 않고 남은 잔여 데이터 용량에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불합리한 이익을 챙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동통신사들은 음성통화와 데이터를 분리하여 가입을 받거나, 잔여 데이터용량을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쓸 수 있게 해주거나, 혹은 이월요금제 등의 다양한 요금제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KT 정액요금제 사용현황. 음성통화시간은 부족하고 데이터 사용량은 제공되는 용량에 훨씬 못 미친다.
 KT 정액요금제 사용현황. 음성통화시간은 부족하고 데이터 사용량은 제공되는 용량에 훨씬 못 미친다.
ⓒ 한선교 의원실

관련사진보기


SKT 정액요금 사용현황. 요금제는 KT보다 다양하지만 데이터 사용량은 적다.
 SKT 정액요금 사용현황. 요금제는 KT보다 다양하지만 데이터 사용량은 적다.
ⓒ 한선교 의원실

관련사진보기


기존 요금제에 비하면 선택의 폭 넓어졌지만...

KT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불만을 갖는 요금제도를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달에도 두 가지 새로운 요금제를 내놓았다"고 말했다. KT는 3월 무선데이터 100MB 이용에 무료통화 250분을 지원하는 4만5천 원짜리 정액요금제 'i-토크'와 무선데이터 1.5GB, 무료통화 600분인 'i-스페셜 요금제'를 선보였다.

4개밖에 되지 않던 기존의 요금제에 비하면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소비자들은 요금제도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트위터 아이디 'shortprogram'은 자신의 트위터에 "요금제 개선한다더니 겨우 그거냐 KT"라며 "전화통화와 데이터요금을 분리하는 것만이 정답"이라고 남겼다.

이에 KT관계자는 "전화통화와 무선통신 요금제를 분리하거나 이월요금제를 도입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고객이 필요로 하는 요금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3G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 가입자들의 무선데이터 이용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SKT 관계자는 "데이터정액요금제 이외에 잔여 데이터를 이월하거나 통화시간으로 바꿔 쓸 수 있는 요금제가 있다"며 "정액요금제까지 이월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KT에 비해 사용량이 적은 것에 대해 이 관계자는 "아직 SKT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하고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 정액요금 비교. 데이터는 대부분 무제한이고 음성통화에도 국내 이통사보다 많은 시간이 주어진다.
 세계 각국 정액요금 비교. 데이터는 대부분 무제한이고 음성통화에도 국내 이통사보다 많은 시간이 주어진다.
ⓒ 한선교 의원실

관련사진보기



태그:#스마트폰, #KT, #SKT, #아이폰, #요금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