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난 2월 4대강 공사 중 강바닥에서 긁어낸 오니토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가 제기됐다. 야당 의원들이 낙동강 달성보 오니토에서 비소 등 발암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토됐다는 시료 채취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이후 함안보 지역의 오니토 오염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또 남한강 강천보 공사현장에서 암반 발파작업을 한 뒤 '화약성분'을 강으로 무단 방류해 수질을 오염시켰다는 주장도 나왔다.

 

침수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야당에서는 국토부가 침수피해를 축소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며, 함안보 건설 지역의 경우 학계와 시민단체의 침수피해 우려가 잇따르자 강 수위를 7.5m에서 5m로 낮추기도 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함안보 건설에 따른 침수피해가 4.1㎢에 이를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영산강 죽산보 수위가 농지보다 1m 높아 나주평야의 침수가 우려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실제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지역도 있었다. 지난 2월 12일 4대강 공사가 진행 중인 나주 죽산보 건설현장에서 강이 범람해 농경지 10ha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수리모형 실험이 졸속·부실이라는 문제제기도 나왔다. 야당과 시민단체는 6개월 동안 진행되어야 할 수리모형 실험을 1~2개월로 단축해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낙동강 달성보의 경우 수리모형 실험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벌써 보 기초공사를 진행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보 부실공사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외에도 4대강 공사로 경기 여주의 세계 유일의 희귀식물 담양 쑥부쟁이 군락지가 파괴되고, 경기도 팔당 유기농단지가 없어질 위기에 처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

 

그러나 조중동과 방송3사, 특히 KBS와 SBS의 메인뉴스는 4대강 사업의 부작용과 문제점을 거의 보도하지 않고 있다. 또 천주교 주교회의가 총회를 통해 "4대강 사업 반대"를 공식 표명하고, 대한변협이 돌연 4대강 토론회를 취소해 '외압논란'이 제기됐지만 이런 사실도 제대로 보도되지 않았다. ([표]참조)

 

 

[표1]에서 보듯 SBS는 모니터 기간 중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다룬 보도를 단 한건도 하지 않았다.

 

KBS는 천주교의 "4대강 사업 반대" 성명을 전한 단신을 제외하면, 담양 쑥부쟁이 군락지 파괴를 다룬 단 한건의 관련기사를 실었을 뿐이다. 

 

이처럼 침수피해, 퇴적토 오염, 수질오염, 수리모형 실험 문제 등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던 KBS는 3월 12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낙동강 달성보 수리모형 실험 장면을 공개하고 '대형 홍수가 발생해도 강이 범람하지 않았다'는 실험 결과를 밝히자 이 소식은 보도했다. 그러면서 '실험이 부실하게 진행됐다', '실험 결과가 나오기 전에 공사를 서둘렀다'는 주장을 반론 형식으로 그제야 다뤘다.

 

한편 MBC는 6건의 관련 기사를 실었으나,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을 적극적으로 다뤘다고 보기는 어렵다.

 

신문의 경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각각 2건의 기사를 실었고, 중앙일보는 한 건의 기사도 싣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2건 모두 2∼3단의 짧은 스트레이트 기사였다. 팔당 유기농 단지 문제를 다룬 2월 25일자 보도는 28B면 2단 기사였고, 천주교의 "4대강 사업 반대" 성명을 다룬 보도 역시 3월 13일 A10면에 3단으로 간단하게 다뤄졌다.

 

반면 이날 조선일보는 법원이 '4대강 사업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한 사실은 A10면 5단 기사로 크게 보도했다.

 

같은 날 동아일보는 A10면에 천주교의 성명과 법원의 결정을 함께 다룬 2단 기사를 실었는데, 편집에서 법원 관련 소식에 보다 무게를 실었다.

 

동아일보의 관련 기사 두 건 가운데 하나는 천주교의 4대강 반대 목소리에 딴죽을 거는 기사였다. 3월 10일 동아일보는 <기자의 눈/천주교 주교회의 앞의 '정치의 강'>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하고, 선거의 특정 후보에게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안이라면 교인들 각각의 신앙과 판단에 맡기는 게 교단 전체에 대한 오해와 부작용을 멀리할 수 있는 길이 아닐지"라며 못마땅한 심기를 드러냈다.

 

4대강 사업의 부작용과 문제점이 잇달아 터져 나오는 상황에서 방송3사와 조중동의 보도 행태는 언론의 역할을 포기한 '정권 눈치보기', '정권 편들기'라고 볼 수밖에 없다. '친MB신문' 조중동은 논외로 하더라도, KBS와 SBS의 행태는 충격적이다.

 

아무리 'MB특보 출신'이 사장자리에 앉았다지만, 명백한 문제점에 대해 스트레이트성 보도 하나 제대로 내놓지 못한다는 것은 KBS가 '뼛속까지 정권의 방송'이라고 웅변하는 꼴이다.

 

SBS의 행태도 상식 이하이기는 마찬가지다. SBS는 올해 초 박수택 환경전문기자를 논설위원실로 발령해 '보복성 인사'라는 의혹을 받았다. 박 기자가 지난 해 경인운하와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여러 차례 지적해 '미운털'이 박혔다는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을 단 한 건도 보도하지 않고 있는 SBS의 행태는 이런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권이 애써 '장악'하지 않아도 알아서 'MB코드'에 맞춰주는 SBS의 행태가 참으로 한심스럽다.

 

조중동과 방송3사의 이 같은 보도 태도에도 국민들의 4대강 사업 반대 여론은 여전히 높다. 지난 1월 24일 세계일보와 리서치앤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68.5%가 4대강 사업을 중단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KBS 방송문화연구소·(주)동서리서치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이명박 정부가 가장 잘못한 사업으로 '4대강 사업 실시'(19.3%)가 꼽혔다.

 

조중동과 방송3사는 비판과 감시의 기능을 포기했지만 대다수 국민들은 4대강 사업이 '강을 죽이는 일'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는 뜻이다.

 

4대강 사업은 이념이나 정파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 삶의 문제다. 환경 파괴를 비롯한 온갖 부작용이 우려되었고, 공사가 시작되자마자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도 조중동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권에 불리하니까 모른 척 하고, 방송사들은 정권의 눈치를 살피며 침묵하고 있다. 언론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사회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조중동과 방송3사에 엄중하게 묻는다. 4대강 사업이 돌이킬 수 없는 부작용을 내고 국토를 파괴할 때까지 입을 꽉 다물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지금이라도 최소한의 사실보도에 나설 것인가?

 

국민들은 4대강 사업이 초래할 결과에 대해 정권 뿐 아니라 언론에도 책임을 물을 것이다. 지금과 같은 보도 행태로는 조중동과 방송3사가 책임을 면할 길이 없다.

첨부파일
4대강표.jpg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민언련 홈페이지(www.ccdm.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4대강, #조중동, #수질오염, #오니토, #방송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