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반딧불축제, 눈꽃여행, 태권도공원이 함께 하는 청정지역 무주에 구경거리가 많다. 중부고속도로무주IC 삼거리에서 우회전해 19번 국도 반디로를 달리다 당산교차로로 내려서면 군청소재지인 무주읍내다.

 

등나무운동장 입구 사거리에서 우회전해 언덕을 오르면 등나무운동장, 반딧불 체육관, 청소년수련관 등이 있다. 관아의 부속 건물로 14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누각 한풍루(전북유형문화재 제19호)를 운동장 입구 좌측에서 만난다.

 

2층 누각의 팔작지붕 건물인 한풍루(寒風樓)는 전주의 한벽당, 남원의 광한루와 더불어 삼한(三寒)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변에 김일봉선생상과 참전 기념비들이 서있다.

 

 

맞은편 남대천교를 건너 무주군청에서 우회전하면 가까운 곳에 무주향교가 있다. 조선 건국 이후 유교를 권장하고 선비를 양성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 향교다. 갑오개혁 이전까지 교육기관 역할을 했던 무주향교에는 대성전(전북문화재자료 제103호),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 내삼문 등이 있다.

 

 

무주향교에서 영동방향으로 가다 태권도공원탑이 서있는 오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한다. 물길을 따라 30번 국도 구천동길을 달리면 우측으로 반디랜드를 만난다.

 

 

반디랜드는 곤충박물관, 반딧불이 자연학교, 반디별천문과학관, 청소년야영장, 통나무집, 반딧불이 서식지가 있는 체험학습교육공간이다. '대한민국 최고의 청정지역! 무주 반디랜드와 함께하면 행복합니다.'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 오가는 사람들의 쉼터로도 좋다.

 

 

반디랜드에서 나제통문 방향에 있는 은평 마을회관을 지나 오른쪽 산길로 접어든다. 비포장도로를 곧장 달리면 인터넷 만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라 제작 전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는 강우석 감독의 <이끼> 촬영장이 깊은 산속에 숨어있다.

 

2013년 완공 예정인 태권도공원 부지에 있는 2만여 평 촬영장은 마을 전체가 세트장이다. 촬영장은 폐쇄적인 농촌 마을에 홀로 살고 있는 사람들과 아버지가 죽은 뒤 그 마을에 들어온 청년이 숨겨진 비밀들을 서서히 파헤쳐가는 줄거리에 맞게 다른 지역과 철저히 고립된 공간이다. 영화배우 김혜수와의 열애설이 세간의 관심사였던 유해진이 <이끼>의 주요 배역을 맡고 있어 두 사람의 열애설 만큼이나 이곳에서 촬영한 그의 맛깔스런 연기가 기대된다.

 

 

세계 태권도인들의 성지이자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관광 유산이 될 태권도공원이 무주에 조성되고 있다. 2009년 9월 4일 태권도의 날 기공식을 가진 태권도공원은 231만㎡ 부지에 태권도경기장, 태권도연구소, 태권전, 명인관, 연수원, 전시체험관 등의 시설이 들어선다. 백악산 중턱의 태권도공원전망대에 오르면 조성중인 태권도공원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설천면소재지를 지난 후 나제카센터에서 우회전한다.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고, 이정표가 없어 쓸쓸한 산길을 계속 오르다보면 작은 주차장이 있다. 이곳에서 170여m 계단을 올라가면 전망대가 나온다. 해발 510m의 전망대에 도착하면 백발에 태권도복을 입은 할아버지가 맞이한다. 이 분이 태권도 사랑과 홍보로 국기원에서 명예3단 단증까지 받은 81살의 배재숙 옹이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조성중인 태권도공원과 <이끼> 촬영장, 나제통문, 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이 눈앞에 펼쳐진다.

 

 

산 아래로 내려오면 바로 나제통문 삼거리를 만난다. 이곳에 나제통문, 팔각정, 의병장강무경상, 김환봉문학기념비가 있다.

 

무주구천동 입구의 경승지인 나제통문(羅濟通門)은 높이 5~6m, 길이 30~40m의 암벽을 뚫은 석굴문이다. 나제통문은 옛 신라와 백제의 경계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문물의 교류가 단절되었던 곳이라 지금도 이 문을 경계로 두 지역의 언어, 풍습 등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한교닷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무주향교, #한풍루, #반디랜드, #무주 태권도공원, #나제통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