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정부 들어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재추진되자 노동조합이 '일방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초 우선협상 대상자로 '한화'를 선정했다가 무산된 적이 있는데,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최근 매각 재추진을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가 각각 31.3%와 19.1%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합치면 절반이 넘는 주식을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셈이다. 대우조선해양은 대우중공업에서 분리된 회사다. 1999년 워크아웃에 들어간 대우중공업은 2000년 2개 회사(대우조선해양, 대우종합기계)로 분리되었으며, 대우조선해양은 2001년 8월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산업은행은 지난 11월 12일 대우조선해양 매각 재추진을 발표했고 12월 8일 매각주간사 선정을 위한 '입찰 제안서'를 발송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노동조합이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산업은행이 노동조합에 일방적으로 통보해 왔다"면서 "바람직한 대우조선 매각을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노조는 대의원대회를 통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21일부터 22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벌인다. 노조는 찬반투표 결과를 22일 저녁 7시께 발표할 예정이다.

 

"노조 참여 보장... 기술 유출 우려 기업 배제해야"

 

대우조선해양노조는 21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람직한 매각'과 관련해 입장을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대우조선 출신인 김해연 경남도의원과 이행규 거제시의원 등이 참석했다.

 

노조는 "대우조선에 근무 중인 전체 구성원의 생존권이 위협 받아서는 안 된다"면서 "매각절차는 당사자인 노동조합의 참여를 전제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매각주간사 입찰 제안서 발송 사례에서처럼 산업은행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노동조합은 용납할 수 없으며, 큰 저항에 부딪칠 수밖에 없음을 산업은행에 분명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또 노조는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한국경제와 조선 산업 그리고 지역경제를 어렵게 해서는 안 된다"며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하고 있는 방산기밀 및 높은 수준의 조선기술이 해외로 유출되면 한국 조선 산업의 붕괴는 물론 한국경제의 몰락 그리고 지역경제 초토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아 "따라서 매각 주간사 선정(에서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 해외 자본에 대우조선해양이 매각되어서는 안 되며, 대우조선해양의 영속적인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곳으로 매각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대우조선해양의 기술을 해외로 유출시킬 우려가 있는 기업에 주간사를 맡겨서는 안 된다"며 "지난 18일 매각주간사 입찰 제안서 접수를 끝내고 지금은 심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매각 주간사는 매도자 실사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있는 각종 기술 뿐만 아니라 볼트 하나까지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해외로 유출시킬 수 있는 기업은 심의 과정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들은 "전체 구성원의 생존권을 지키고, 기업의 영속적인 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며 "23일 대의원 이상 노조 간부들이 산업은행 앞에서 '졸속매각 규탄 및 바람직한 매각 촉구'를 위한 상경투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그:#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노조, #산업은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