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61회 3학년 3반 동기들이 학교를 졸업한 지 35년만에 학급 모임을 당시 교실에서 가지기로 하고 교사(校舍)인 동산관 앞에 모였다.
▲ 1906년 개교한 103년 전통의 계성고 61회 3학년 3반 동기들이 학교를 졸업한 지 35년만에 학급 모임을 당시 교실에서 가지기로 하고 교사(校舍)인 동산관 앞에 모였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11월 14일 오후 4시, 55세 전후의 신사들이 모교인 계성고교의 상징물 <50계단> 아래에 모였다. 학교를 졸업한 지 35주년을 기념하여 홈커밍데이 행사를 연 이 학교 61회 3학년 3반(실장 이용철) 학생들. 이날 모임은 기수별로 홈커밍데이를 가지는 103년 전통의 계성학교 총동창회 역사상 학급 단위 최초의 홈커밍 데이인데다, 70명 중 거의 절반인 29명의 급우가 행사 시작 시각에 맞춰 교실에 정확하게 나타난 출석률까지 보인 의미 있는 행사였다.

옛날 그 교실 각자 자기 자리에 앉아서 당시 실장의 사회 아래 학급회의를 하고 있다. 주제는 "향후 우리 반창회의 발전 방안"이다.
▲ 왕년의 교실에서 학급회의를 하고 있는 55세 신사 고교생들 옛날 그 교실 각자 자기 자리에 앉아서 당시 실장의 사회 아래 학급회의를 하고 있다. 주제는 "향후 우리 반창회의 발전 방안"이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교실에 나타난 급우들은 김상욱, 김상곤, 김성구, 김수진, 김영대, 김영식, 박동규, 박성준, 백영수, 서창교, 성연복, 신재웅, 심원필, 안명수, 안순갑, 양담영, 윤한조, 이강일, 이경철, 이국희, 이근재, 이용철, 이창우, 임영균, 전기택, 정경수, 정태연, 최동명, 최영호. 이들 외에도 김옥기, 안해욱, 이해영, 정영석 급우가 오후 6시 자금성에서 열리는 2부 행사에 바로 온다는 광고도 있었다.

학급 단위 홈커밍 행사를 위해 7명의 준비위원이 네 번이나 사전 회의를 했다. 담임 선생님을 당일 모시기 위해 정태연 급우가 포항에서 마련한 신선한 회를 들고 곽광순 선생님의 자택도 사전에 방문했다. 부산 센텀시티 박건현 동기의 호의로 고급 선물을 저렴한 가격으로 준비하기도 했다.

"앞에 섰는 건 비슬산이요, 뒤에는 팔공산 둘렀다-" 교가가 새겨진 비 앞에서 기념 촬영
▲ 교가비 앞에서 "앞에 섰는 건 비슬산이요, 뒤에는 팔공산 둘렀다-" 교가가 새겨진 비 앞에서 기념 촬영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교문에서 50계단을 걸어야 본관에 갈 수 있다. 50계단 입구에서 촬영하자 멀리 본관이 보인다.
▲ 50계단을 걸어야 교문에서 50계단을 걸어야 본관에 갈 수 있다. 50계단 입구에서 촬영하자 멀리 본관이 보인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개교 103년이 넘은 계성학교의 건물 중에는 문화재가 많다.
▲ 본관 앞에서 개교 103년이 넘은 계성학교의 건물 중에는 문화재가 많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계성교회 앞의 교가비 주위에서 1차 기념사진을 찍고, 50계단으로 옮겨 여러 장의 단체 사진을 촬영했다. 다시 본관 앞, 개교 연도가 건물 중앙 현관에 뚜렷하게 새겨진 동산관 앞에서도 사진을 찍었다. 이윽고 4층으로 올라가 재학 당시 수업을 했던 추억의 교실로 들어갔다. 지금은 3학년 1반 교실이지만 당시는 3반 교실이었던 건물 맨 동쪽 교실.

이용철 당시 실장의 사회로 1부 행사가 진행되었다. 오랜 세월 외국에 주재했던 KOTRA 김상욱 급우, 이날 행사를 기획한 심원필 급우를 비롯한 홈커밍 준비위원 안명수 급우, 이근재 급우, 박성준 급우의 인사가 있었고, "매스컴에서 많이 본 실물들을 직접 한번 만나보자"는 요청으로 이강일 급우(계명대 음악과 교수)와 임영균(중앙대 사진과 교수) 급우의 인사가 이어졌다. 모교에 봉직하는 성연복 급우도 한 말씀을 했다. "아파서 못 올 상황이지만 그래도 이렇게 참석해줘서 고맙다"는 치하를 들은 김영대 급우는 발언을 사양했다.

지각 누구누구, 조퇴 없고, 결석 누구누구누구..... 모두들 웃고 있다.
▲ 지각, 조퇴, 결석생 명단 지각 누구누구, 조퇴 없고, 결석 누구누구누구..... 모두들 웃고 있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지각생 윤동주, 떠드는 학생 송몽규, 청소당번 문익환> 등의 백묵 글씨가 적혀 있다. 물론 당시 기록은 아니다.
▲ 윤동주 생가의 칠판에도 <지각생 윤동주, 떠드는 학생 송몽규, 청소당번 문익환> 등의 백묵 글씨가 적혀 있다. 물론 당시 기록은 아니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35년만에 교실에서 1시간 반 동안 "주름살 빼곤 하나도 안 변했네!" 등등 덕담과 추억어린 정담을 두루 나눈 3학년 3반 급우들은 6시에 2차 집회 장소인 자금성으로 옮겼다. 6시 30분에 담임 곽광순 선생님께서 박수 갈채를 받으시며 나타나셨고, 30분 동안 담소를 나눈 뒤 단체 기념 촬영, 다시 개인별 인사, 그리고 선생님께 선물을 증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곽광순 선생님께서는 "다들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어 고맙다. 그리고 잊지 않고 찾아주어 더욱 감사하며, 다들 건강하고 건승하기 바란다"는 요지의 답사 말씀을 하셨다.

모교 교실에서 가진 1부 행사 '학급회의'를 마친 장년의 급우들은 자금성(중국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재학시 담임교사인 곽광순 선생님을 모시고 2부 행사로 '사은의 밤'을 가졌다.
 모교 교실에서 가진 1부 행사 '학급회의'를 마친 장년의 급우들은 자금성(중국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재학시 담임교사인 곽광순 선생님을 모시고 2부 행사로 '사은의 밤'을 가졌다.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이후 8시 30분까지 식사시간을 가진 후, 3차 집회 장소인 지산동 GOOD TIME(양국신 동기 경영)으로 옮겼다. 밤 10시에는 조금 전에 촬영한 단체사진이 액자에 든 채 참석 급우들에게 전해져 모두를 감탄하게 만들었다. 3학년 3반 급우들은 해마다 1회, 그리고 35년 후(약 90세), 다시 50년 후(약 105세) 오늘과 같은 모임을 가지기로 결의했다.


태그:#윤동주, #계성고등학교, #홈커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