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화촌 입구에 버티고 서 있는 석패방. 신화촌은 윈난성 10대 향토마을 중 하나다.
 신화촌 입구에 버티고 서 있는 석패방. 신화촌은 윈난성 10대 향토마을 중 하나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신화촌은 인구는 많지만 습지가 많아 농사짓기에 부적합하다.
 신화촌은 인구는 많지만 습지가 많아 농사짓기에 부적합하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중국 윈난(雲南)성 리장(麗江)시에서 남쪽으로 40여 분 달리다 보면 옹기종기 작은 마을들이 줄지어 나타난다. 여기부터 행정구역은 더 이상 리장이 아니다. 윈난의 또 다른 소수민족 바이(白)족의 거주지인 다리(大理)다.

다리바이족자치주 허칭(鶴慶)현인 이 일대에는 중국 전역에서도 유명한 마을이 있다. 바로 중국 최고의 금속공예 장인들이 사는 마을, 신화(新華)촌이다.

신화촌은 펑황(鳳凰)산 아래 헤이룽탄(黑龍譚)을 끼고 있는 바이족 촌락이다. 전체 마을 인구 가구 수는 1100여 가구. 중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관광지 중 하나인 다리시에서 2시간 반이나 떨어졌지만, 가장 부유한 농촌마을 중 하나다.

2008년 현재 신화촌 한 가구당 1년 수입은 3만7000위안(한화 약 629만 원). 다리자치주 농촌가구 평균수입의 8배에 달한다. 신화촌 전체 수입액은 4800만 위안을 넘어서, 중국 내 다른 농촌마을의 평균수입액보다 10배나 높다.

윈난성의 산간지대에 있는 신화촌이 중국 내 어느 향촌보다 잘 살게 된 것은 주민들의 특별난 손기술 덕분이다. 신화촌은 예부터 사는 주민은 많지만 농사지을 토지는 적었다. 습지는 많고 장작으로 쓸 땔감도 구하기 힘들었다. 마을 뒤편 펑황산은 이름과 달리 돌산이라 불릴 정도로 초목조차 거의 자라지 않는다.

경작할 땅이 적은 열악한 자연조건 속에서 신화촌 주민들은 살 길을 찾아야 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외지로 나갔다. 가깝게는 리장·쿤밍(昆明)·시쑤앙반나(西雙版納) 등 윈난 각지로, 멀리는 중국 각 성시와 티베트·버마·태국 등까지 떠돌았다. 오직 입에 풀칠하기 위해서였다.

신화촌 주민이 단순히 빈손으로 고향을 떠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조상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자신만의 손기술을 가지고 타지로 나갔다. 그것은 다름 아닌 금·은·동·철 등 금속 수공기술이었다.

신화촌은 돌산이라 불리는 펑황산과 헤이룽탄을 끼고 있는 바이족 마을이다.
 신화촌은 돌산이라 불리는 펑황산과 헤이룽탄을 끼고 있는 바이족 마을이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최근 신화촌은 한 해 평균 160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면서 금속 공예품 제작과 판매를 겸업하고 있다.
 최근 신화촌은 한 해 평균 160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면서 금속 공예품 제작과 판매를 겸업하고 있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신화촌의 명성으로 이미 600여년 전부터 자자했다. <허칭현지>(鶴慶縣志)에는 명나라 초기부터 이미 신화촌 주민들이 독특한 금속공예 기술로 윈난 전역에서 이름을 떨쳤다고 적혀있다.

바이족 전통의 공예술을 지니고 타향 이국으로 나간 신화촌 주민들은 각지에서 큰 환영을 받았다. 그들은 금속공예 장인으로 타지에서 쉽게 정착했다. 현지에서 경제적 부에 사회적 명성까지 얻었다.

판젠화(范建華) 윈난성 사회과학원 민족문학연구소장은 <바이족 장인촌>에서 신화촌 주민들의 활약상을 기록했다. 판 소장은 "1996년 티베트 라싸에는 약 400여 명의 신화촌 장인들이 활동했다"면서 "쿤밍에서 라싸를 오가는 차마고도 일대에서 활약하는 금속공예 장인들은 모두 신화촌 출신이다"고 적었다.

적지 않은 신화촌 주민이 타지에 정주했지만, 일부 사람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단지 몸만 온 것이 아니었다. 타향 이국에서 보고 듣고 겪은 기술, 문화, 예술, 종교 등을 함께 품고 귀향했다.

근세기 들어 교통수단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신화촌 장인의 명성은 중국 전역으로 퍼졌다. 명성만큼이나 주문받는 제품은 다양해졌다.

반지·귀걸이·팔찌·목걸이 등 개인장식품에서 접시·주전자·컵·칼·자물쇠·문고리 등 일상생활용품, 각종 종교제기, 거대 조형물까지 다방면에 걸쳐 있다. 가히 금·은·동으로 가공해서 만들 수 있는 물건은 다 만들었다.

신화촌 주민들이 만드는 금속용품은 예술성이 높고 민족적 특색이 강했다. 이는 새로 들어선 중국 사회주의정부의 인정까지 받았다. 하지만 훈풍은 오래가지 않았다. 1966년 시작된 문화대혁명의 10년 광풍은 신화촌에게 재앙이나 다름없었다.

신화촌에서 만들어지는 금속 수공품이 부르주아의 사치품으로 낙인 찍혀 탄압 받았기 때문이다. 밀려들던 주문은 끊겼다. 일부 장인은 부르주아의 앞잡이로 고향에서 추방당하기까지 했다. 신화촌에게는 암흑의 시기였다.

한 공안 안에서 은기 쟁반 만드는데 열중인 젊은 장인들. 신화촌에서는 10대 중반부터 스승을 모시고 장인의 길에 들어선다.
 한 공안 안에서 은기 쟁반 만드는데 열중인 젊은 장인들. 신화촌에서는 10대 중반부터 스승을 모시고 장인의 길에 들어선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집 안에서 화려한 은기 장식품을 만드는 장인. 신화촌 장인들에게 집은 생활의 공간이자 동시에 일터이기도 하다.
 집 안에서 화려한 은기 장식품을 만드는 장인. 신화촌 장인들에게 집은 생활의 공간이자 동시에 일터이기도 하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신화촌 3대 명장 중 한 명인 홍신구이(洪新貴)는 당시 상황을 담담히 회고했다. 그는 "문혁 시기 금은 공예품에 대한 주문이 전혀 없는데다 홍위병의 탄압이 혹독했다"며 "일부 장인은 자유로운 작업을 위해 교통이 불편한 산간마을에 들어가 동제품을 만드는데 주력했다"고 말했다.

홍 장인은 "우리 집안은 대대로 종교 제기를 주로 만들었기에 더욱 힘들었다"면서 "광시(廣西), 구이저우(貴州)를 유랑했는데 그곳에서 만난 먀오(苗)족, 동(侗)족, 쉐이(水)족의 새로운 금속 공예술을 접촉한 것은 그나마 위안거리였다"고 전했다.

10년 문혁의 광풍이 끝나고 1978년 개혁개방이 시작되면서 신화촌도 기나긴 암흑기에서 벗어났다. 타의로 고향을 떠나야 했던 장인도 돌아왔다. 억눌려 작업 못한 시간을 보상 받으려는 듯 신화촌은 금·은·동으로 된 다양한 수공품을 연일 토해냈다.

2008년 한 해 신화촌에서 생산한 금속 공예품은 600만 건에 달하고 총 판매액은 2억5000위안(약 425억 원)을 넘어섰다. 신화촌 전체 1100여 가구 가운데 907가구가 금속 공예품을 만드는 데 종사하고 있다. 장인 수는 2118명에 달한다.

오늘날 신화촌에서는 20여 개 민족, 100여 품종의 금속용품을 제작하고 있다. 신화촌 장인들이 만든 금속 공예품은 중국 각지뿐만 아니라 인도, 파키스탄, 버마, 태국, 네팔, 일본, 미국, 독일 등 세계 각지로 팔려나가고 있다. 수백 년 전 차마고도와 남부 실크로드 일대로만 퍼져나간 신화촌의 명성과 공예품은 편리해진 운송수단 덕에 세계로까지 수출되고 있는 것이다.

홍 장인은 "최근에는 티베트 전역뿐만 아니라 부탄에서도 라마불교 제기와 법기에 대한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문혁과 개혁개방 초기 세상을 떠돌아다니면서 접한 라마불교에 대한 이해가 오늘과 같은 호황을 가져다주었다"고 말했다.

유네스코의 민간공예미술대사 증서를 들고 있는 춘 장인. 춘 장인은 신화촌 3대 명장 중 한 명이다.
 유네스코의 민간공예미술대사 증서를 들고 있는 춘 장인. 춘 장인은 신화촌 3대 명장 중 한 명이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자신이 만든 작품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춘 장인. 리장 위쉐이자이(玉水寨)에 있는 동파신조는 춘 장인의 대표작 중 하나다.
 자신이 만든 작품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춘 장인. 리장 위쉐이자이(玉水寨)에 있는 동파신조는 춘 장인의 대표작 중 하나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주민의 8~9할 넘게 금속공예업에 종사하지만, 신화촌에는 변변한 기술학교가 단 한 곳도 없다. 장인이 되려면 오직 가업을 잇거나 마을 이웃어른을 스승으로 모셔서 기술을 배워야 한다.

신화촌 각 가정마다 전승되는 기술도 다르다. 어느 집은 금 세공을, 어느 집은 은 세공을, 어느 집은 동기 가공을, 어느 집은 철기 가공을 전문적으로 한다. 개인장식품만 만드는 집이 있는가 하면, 일용생활용품만 만들고, 종교 제기와 법기를 전문 제작하는 집이 따로 있다.

노련한 장인이 되는 길 또한 험난하다. 신화촌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부모에게서 망치를 선물 받아 장난감처럼 가지고 논다. 14~16세가 되면 스승을 모셔서 찾아 수련의 길에 들어선다. 수련 기간은 짧게는 5~6년, 길게는 10년 이상 걸린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과거에는 스승이 제자를 데리고 수련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신화촌에서 가장 유명한 명장인 춘파뱌오(寸發標)는 혹독한 수련 여행을 경험했다.

춘 장인은 12살 때부터 아버지를 스승으로 모시고 금속 공예기술을 익혔다. 16살부터는 아버지와 함께 윈난성 각지를 돌아다녔다. 윈난 내 다양한 소수민족의 공예술을 섭렵하고 견문을 넓혔다.

그들은 뒤이어 티베트, 구이저우, 광시, 간쑤(甘肅), 닝샤(寧夏) 등지를 다녔다. 수련 여행 과정에서 조상 대대로 내려온 바이족 공예술과 타민족 및 현대 가공기술을 융합시키는 작업도 병행했다.

1987년 라싸에 정착한 춘 장인은 티베트자치주 정부의 요청으로 포탈라궁 내 금·동 제기와 법기 제작을 주도했다. 문혁 중 파괴된 티베트 내 수많은 라마사원의 복원작업에서 다시 만들어진 수많은 금속 제품은 춘 장인이 제작한 것이다.

춘 장인은 "1996년 고향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티베트를 방문하는 중국 및 외국 지도자에게 주는 금·은기 선물을 다 만들었다"면서 "라싸에서 지낸 10년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신화촌에서 만들어진 금속 공예품은 마지막으로 깨끗한 헤이룽탄 호숫물에 씻어야만 빛을 발한다.
 신화촌에서 만들어진 금속 공예품은 마지막으로 깨끗한 헤이룽탄 호숫물에 씻어야만 빛을 발한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결혼식 피로연에 필요한 식사 준비에 분주한 두 바이족 여성. 신화촌은 한때 '과부촌'이라 불릴 정도로 여성들이 집안 대사를 도맡아 했다.
 결혼식 피로연에 필요한 식사 준비에 분주한 두 바이족 여성. 신화촌은 한때 '과부촌'이라 불릴 정도로 여성들이 집안 대사를 도맡아 했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금세기 들어 신화촌의 존재가 언론매체를 통해 중국 구석구석까지 알려지면서 신화촌을 찾는 손님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한 해 평균 신화촌을 찾은 관광객은 무려 160만 명에 달한다. 신화촌에서 생산된 금은 수공예품을 찾는 고객도 폭증하고 있다.

신화촌의 명성이 드높아지면서 기계로 만든 금속 공예품을 신화촌 수공품이라 속이는 사례도 빈번해지고 있다. 다른 마을에서 위장 생산된 가짜 금·은기를 신화촌 생산품이라면서 시장을 교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허칭현 공안국은 윈난성 최초의 여행산업팀을 편성, 가짜 금은 수공예품 소탕에 나서고 있다.

춘파뱌오 장인만 하더라도 2003년 유네스코가 민간공예미술대사로 지정하기도 했다. 춘 장인은 "그저 신화촌 전 장인을 대표해 받은 것 일뿐"이라며 겸연쩍어 했다. 그는 "주문 받은 상품 가운데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쓰는 은 차기 세트도 있다"면서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 공산당위원회의 주문을 받아 제작한 것"이라고 귀띔해 주었다.

밀려드는 고객과 주문으로 인해 여성들도 수공예품 제작에 나서고 있다. 본래 신화촌에서는 남성은 금·은기를 만들고 여성은 집안일을 돌보는 전통이 있었다.

옛날에는 일거리를 찾아서 혹은 만든 금속 수공예품을 팔기 위해 남편은 고향을 떠나고 아내는 집안을 이끌고 자식을 돌봐야 했다. 이 때문에 신화촌은 '과부촌'이라는 별칭까지 얻기도 했다.

춘 장인은 "지금은 여성에게 금속 수공품 제작기술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금기가 깨졌다"면서 "공예품을 만들지 않더라도 쇼핑센터나 가게에서 일하는 여성까지 합치면 마을 주민 모두가 장인인 셈"이라고 말했다.

이런 열린 포용성 때문에 신화촌의 금은 수공예품은 푸얼(普濔)의 푸얼차, 석림의 자수와 더불어 윈난을 대표하는 특산품으로 성장했다. 신화촌은 리장, 다리, 샹글리라, 허순(和順) 등과 함께 윈난성 10대 향토마을로 선정됐다. 중국정부도 이곳을 4성급 관광지로 지정했다.

갓 만들어진 청동 수공제품. 신화촌에서는 금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제품은 모두 다 제작된다.
 갓 만들어진 청동 수공제품. 신화촌에서는 금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제품은 모두 다 제작된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허칭현청에 있는 고루는 명나라 때 세워졌다. 다리자치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허칭현청에 있는 고루는 명나라 때 세워졌다. 다리자치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 모종혁

관련사진보기


춘 장인은 "오늘날 신화촌 금속 수공예품이 수많은 어려움과 경쟁에도 살아남은 것은 바이족 특유의 열린 민족성과 이민족의 문화예술을 포용한 개방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홍 장인과 춘 장인의 말처럼 신화촌의 성공 비결은 간단했다. 지난 천여 년 동안 신화촌 장인들은 차마고도와 실크로드를 통해 멀리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인도까지 나아갔다. 그들은 자신의 수공기술을 선보이면서도 현지의 기술과 문화예술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었다.

자신만의 전통과 기술을 고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한 것이 신화촌의 명성을 지금까지 드높인 비결인 셈이다.

# 여행Tip

리장에서 신화촌으로 가려면 리장시외버스터미널(麗江客運站)에서 허칭행 버스를 타야 한다. 버스는 아침 8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있는데, 버스비는 11위안(약 1900원)이다. 차표 구입시 주의할 점은 '보험은 사지 않겠다'고 매표원에게 의사 표시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며 2위안의 보험료가 포함되어 차표를 사게 된다.

리장에서 신화촌까지는 40여 분이 소요된다. 버스 출발시 기사에게 신화촌 입구에서 내려달라고 꼭 요청해야 한다. 버스의 마지막 정차장은 허칭현청이다. 마을 입구에서 신화촌 중심가까지는 걸어서 10분이 걸린다. 신화촌에서 리장으로 되돌아 올 때는 허칭현청에서 출발한 버스를 신화촌 입구에서 승차하면 된다.

신화촌에서 판매되는 금속 수공예품은 리장이나 다리보다 훨씬 싸다. 특히 춘파뱌오 장인은 두 차례, 홍신구이 장인은 한 차례 직접 만나 취재한 바 있다. 두 장인 모두 한국을 좋아하는데다 순박하고 친절하다. 춘 장인이 운영하는 가게는 신화촌 마을 주차장 바로 맞은편에 있고, 전화번호는 138-8720-6888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SBS U포터,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중국, #윈난, #운남, #바이족, #신화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