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북측의 예고 없는 사전방류로 경기도 연천군에서 6명이 실종된 사태와 관련해, 북측은 7일 오후 "강 상류의 수위 상승 때문에 긴급 방류했다"고 밝혔다. 북측은 이날 남측의 통지문에 대한 답신에서 "제기된 문제를 알아본 데 의하면 임진강 상류 북측 언제(둑)의 수위가 높아져 5일 밤부터 6일 새벽 사이에 긴급히 방류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북측은 '관계기관' 명의 통지문에서 "임진강 하류에서의 피해방지를 위해 앞으로 북측에서 많은 물을 방류하게 되는 경우 남측에 사전 통보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 이렇게 통보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11시쯤 국토해양부 장관 명의로, 북측이 사전 예고 없이 임진강 댐의 물을 방류한데 유감을 표시하면서, 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해명과 재발 방지를 요구했었다.

 

북측은 이에 대해 당일 오후에 답신을 보내는, 이례적으로 빠른 반응을 보였으나 6명 실종 사건에 대한 유감 표명은 없었다.

 

정부, 북측 답신 내용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

 

정부는 북측의 답신 내용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측의 통지는 우리 측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고, 우리 측의 심각한 인명 피해에 대해 전혀 언급이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26~27일 임진강 유역에 200~300mm의 비가 온 것은 확인됐으나 그  이후에는 큰 비가 오지 않았으며, 이달 들어서는 5일에 강수량 0.2mm 정도 비가 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 들어 다소 유화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 남북관계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현재까지 북측에 다시 통지문을 보낼 계획은 잡지 않고 있다.

 

정부 "피해예방과 공동이용 제도화 위해 북과 협의 추진"

 

그러나 통일부는, 북측이 앞으로 많은 물을 방류하게 될 경우 사전에 통보하겠다고 밝힌 것을 감안해 "앞으로 유사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남북 간 공유하천에 대한 피해예방과 공동 이용을 제도화하기 위한 남북간 협의를 추진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연천군 실종자 6명 중 3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임진강 수난사고 현장지휘본부는 이날  삼화교 등에서 시신 3구를 인양해 연천 의료원에 안치했다.

 


태그:#연천군, #임진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