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아침 출근길, 가끔은 들길과 산길을 이용한다.

 

어제 종일토록 갈증을 풀어줬던 비님 덕에 대지는 촉촉하고 보이는 것 모두가 시원스럽다. 사천강에는 제법 큰소리를 토하며 물이 흐른다. 메말랐던 논 옆 작은 도랑에도 물이 흐르는 것을 보니 비님의 위력이 실감난다.

 

그런데 저기 콘크리트로 뜯어 고친 도랑에 뭔가가 살랑거린다. 미꾸라진가? 차를 멈추고 가까이 다가가니, 도롱뇽 여러 마리가 노니는 것 아닌가.

 

짝짓기라도 하듯 몸을 비비다가, 풀잎 하나 돌 틈 하나 없이 수직으로 떨어진 콘크리트벽을 마냥 기어오른다. 하지만 얼마 못 가 아래로 곤두박질치고 만다. 바위산 꼭대기까지 바위 굴려 올리기를 되풀이해야 했던 그리스신화 속 시시포스(시지프스)의 천형이 저 도롱뇽들에게 전해진 것일까?

 

그러나 도롱뇽들에게 이 형벌은 너무 가혹하다. 시시포스는 신들을 기만한 죄라도 있었지만 이들에겐 무슨 죄가 있단 말인가. 지난해 겨울을 앞두고 추위를 피해 땅속에 숨었다가 이제 막 깨어나 활동을 시작했을 뿐인데, 올봄 모든 게 바뀌었다. 농수로정비란 이름으로 콘크리트가 흙과 돌, 풀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들은 올봄 안에 부드러운 흙살을 만나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를 수 있을까? 그러기엔 저 콘크리트 터널이 너무 길어 보인다. 빗물이 다 마르면 또 어디로 숨어야 하나. 까치와 왜가리 눈을 피할 그늘조차 없으니, 오늘 하루라도 무사히 넘길 수 있으려나. '북극의 눈물'은 멀리 있지 않다. 내가 사는 이곳 사천 곳곳에도 미처 눈에 띄지 않은 채 흐르는 '눈물'이 수 만 가지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뉴스사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시시포스, #뉴스사천, #도롱뇽, #비님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작은 언론, 작은 이야기... 큰 생각, 큰 여운...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