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브리핑 1] 이종걸 의원 '장자연 리스트' 언론사 대표 공개 관련 주요 일간지 보도

 

<한겨레><경향> "이종걸 의원 '장자연 리스트' 공개"

<동아> "국회서 '장자연 문건' 거론… 명예훼손 논란"

<조선>·<중앙> 이종걸 의원 발언은 다루지 않고 경찰수사 상황만

 

6일 민주당 이종걸 의원이 국회 대정부질문 과정에서 이른바 '장자연 문건'에 올라가 있는 '유력 일간지' 대표 두 명과 해당 신문사를 공개했다. 이 내용은 국회방송을 통해 생중계됐다.

 

7일 <한겨레신문>은 관련 기사와 사설을 실었다.

 

<'장자연 문건' 신문사 대표 2명 공개>(한겨레, 8면)

<'장자연 리스트'에 있다는 유력 언론사 대표>(한겨레, 사설)

 

8면 기사에서 한겨레신문은 이종걸 의원이 대정부 질의를 통해 '장자연 문건'에 오른 신문사 대표 2명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해당 언론사가 "근거없이 면책특권을 남용한다"며 강력 반발했다고 전했다.

 

사설에서는 경찰이 '유력언론사'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 아니냐며 경찰의 미온적인 수사 행태를 비판했다.

 

사설은 "범죄 피의자의 신원 공개는 무죄 추정의 원칙 등 헌법과 형사법의 여러 원칙으로 보면 찬성하기 힘든 일"이라면서도 "하지만 성범죄에는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데는 우리 사회가 이미 대체로 합의를 해온 터"라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사회 유력 인사들이 여성 탤런트에게 접대를 받거나 강요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번 '장자연 사건'은 이권과 편의 따위를 대가로 성을 사고팔았다는 점에서 다른 성범죄보다 결코 덜하지 않다"며 "국회가 이 문제를 다룬 것은 그 책무를 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경찰이 "장씨에게 성접대를 받았다는 유력 인사들을 감추기에 급급했다", "장자연 리스트에 들어 있다는 유력 인사들을 변호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는 말까지 서슴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경찰 안팎에서 결국엔 유력 언론사 대표 말고 힘이 덜한 사람들만 처벌될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라면서 "입길에 오른 언론사가 실제로 보도나 막후 압박을 통해 경찰 수사에 영향력을 행사하진 않았는지 묻는 소리도 나온다"고 비판했다.

 

 

<경향신문>도 8면 기사 <'장자연 리스트' 실명공개 파장>에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장자연 리스트'에 올라 있는 유력 언론사 대표의 실명이 공개돼 파장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종걸 의원이 한 포털사이트에 "해당 언론사가 헌법상 국회의원이 직무상 행한 발언에 대해 법적대응을 고지하는 등 협박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는 성명을 올렸으나, 해당 언론사가 명예훼손 등 권리침해를 이유로 글을 삭제해 줄 것을 요구해 해당 포털이 임시 삭제 조치를 취했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10면에 관련 기사를 실었다. 제목은 <국회서 '장자연 문건' 거론… 명예훼손 논란>이다.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달리 이 의원의 발언이 '명예훼손 논란'을 일으켰음을 강조한 제목이다.

 

기사는 이종걸 의원이 국회에서 '장자연 리스트'에 오른 유력 신문사와 대표의 실명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실명이 거론된 만큼 향후 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했다.

 

<중앙일보>는 34면에서 경찰의 '장자연 리스트' 연루자 관련 수사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이종걸 의원의 유력 신문사 대표 실명 공개는 언급하지 않았다.

 

<'장자연술자리' 6명 이미 조사 경찰, 남은 3명도 곧 마치기로>(중앙, 34면)

<전 매니저 유씨와 무슨 대화?… 서세원 "주간지 인터뷰 주선">(중앙, 34면)

 

다만 "경찰은 1차 조사를 마친 6명이 누구인지에 대해선 입을 다물고 있다. 이 때문에 경찰 주변에서는 종합일간지 대표나 인터넷 언론사 대표 등이 아닌 인사들을 우선적으로 조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공교롭게도 수사 대상 9명 중 언론사 대표가 3명이어서 이러한 의혹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해 경찰의 '유력신문사 눈치보기 수사'를 우회적으로 언급했다.

 

<조선일보>도 10면에서 장자연 전 매니저 유씨 등 리스트 연루자 수사소식을 보도했을 뿐, 이종걸 의원의 유력 신문사 대표 실명 공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브리핑 2] <조선>은 경인운하 띄우고, <동아>는 새만금 띄우고

 

<조선> "한강 르네상스 온다" 노골적인 경인운하 띄우기

<동아> "새만금은 녹색성장의 거대한 '신대륙'… '기적의 땅'"

 

7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별지 섹션을 통해 각각 경인운하 건설과 새만금 개발을 띄우고 나섰다.

 

<조선일보>는 별지섹션 '서울, 미래를 말하다'에 <한강 르네상스, 서울을 명품 항구도시로…>라는 톱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에서 <조선일보>는 "한강르네상스의 최종 목표는 2030년 서울을 세계 일류 항구도시로 만드는 데 있다. 마스터플랜이 완성되는 내년부터 생각해도 앞으로 20년 남았으니, 수도 서울의 백년대계라 할 만 하다"고 보도했다.

 

이어 "2~3년 뒤면 서울 강서구~경기도 김포시․부천시~인천시 굴포천·한강 18km를 뱃길로 잇는 경인운하가 완공된다"며 "경인운하와 용산 사이 항로가 트이고 여의도․용산에 국제여객선이 정박할 광역터미널이 놓이면, 서울은 운하를 통해 서해로 나아갈 수 있는 항구도시가 된다"고 부각했다. 

 

  

<동아일보>는 '기적의 땅, 새만금'이라는 8면짜리 별지섹션 전체를 새만금 개발 홍보 기사와 광고로 채웠다.

 

섹션의 1면 톱기사 제목은 <녹색-성장의 거대한 '신대륙' 새만금, 마침내 날개 펴다>. 이 기사에서 동아일보는 "물막이 만든 땅 내부개발을 시작했다", "세계 경제자유지역을 추진중이다"라고 보도하면서 새만금이 "한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국민소득 4만 달러를 앞당길 '황금의 땅'"이라고 추켜세웠다.

 

한편 이 섹션 1면에는 전라북도의 새만금 홍보 5단 통광고, 3면에는 부안군의 새만금 홍보 5단 통광고, 4면에는 새만금 외곽시설 시공사인 현대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의 전면 광고, 7면에는 "세계일류를 향한 새만금의 도시 군산"을 부각하는 군산시의 5단 통광고, 8면에는 새만금․군산 경제자유구역청의 새만금 홍보 전면 광고가 실렸다.

 

덧붙이는 글 | 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태그:#일일브리핑, #조중동, #장자연리스트, #언론사대표, #경인운하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