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제 원단촌(院壇村)으로 향한다. 원단촌은 소수서원 옆에 있는 마을의 이름으로 소수서원과 금성단이 있는 충절의 마을, 선비의 고장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순흥청다리(제월교라고도 불린다)
▲ 다리 순흥청다리(제월교라고도 불린다)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원단촌에는 조카인 단종의 복위를 위해 형인 세조에 맞서다가 죽은 금성대군을 기리는 금성대군신단, 순흥도호부의 역사와 함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1100년 된 은행나무 압각수, 단종복위운동인 정축지변(丁丑之變)으로 피해를 본 어린아이들이 '업둥이가 되어 다리 아래에 버려졌던 순흥 청다리', 청다리의 정식이름은 제월교(霽月橋)로 중국 송나라의 주돈이의 글에 나오는 말인 '장마 비가 멎은 후 맑은 하늘같은 기운'을 뜻하는 제월광풍(霽月光風)의 준말이다.

금성대군신단
▲ 신단 금성대군신단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순흥도호부가 폐부되었다가 다시 명예회복이 되었다는 의미로 흔히 '송도(개성)의 선죽교요, 순흥에는 제월교가 있다'라고 하고 하여 충절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말로 퇴계선생이 이름을 정했으며, 죽계제월교라고 쓰인 다리비가 옆에 서있다.

금성대군 위리안치지
▲ 안치지 금성대군 위리안치지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인근에 순흥향교, 금성대군의 가택연금지였던 위리안치지 등이 있다. 이 곳을 둘러본 후 배점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돌아가는 길이 있기는 하지만, 빨리가기 위해 논밭두렁을 질러서 간다. 물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죽계호(송림지, 순흥배점저수지)가 보인다.
                             
순흥의 명소가 된 대원종합건설의 한스빌 주택
▲ 집 순흥의 명소가 된 대원종합건설의 한스빌 주택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호수 옆에는 순흥지역의 명소가 된 대원종합건설이 건축한 통나무 목조주택인 '한스빌(ttp://www.dwhans.co.kr)'이 20여 채 보인다. 죽계별곡을 알리는 돌비석이 있고, 호수 건너편에도 민박을 겸한 펜션이 여러 채 보이고, 길을 따라 올라가면서 식당과 찻집도 있다. 장승을 조각 해둔 곳도 있고, 통나무로 잘 지어진 별장형 펜션도 있다.
             
배순 정려각
▲ 배순 배순 정려각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길을 더 가면 폐교된 순흥초등학교 배점분교와 보건소 등이 있는 배점리에 다다른다. 학교 옆에는 퇴계 선생의 제자였던 배순을 기리는 배순정려각이 서있다. 
                       
순흥의 역사를 전부알고 있는 압각수 은행나무 (안동에서 활동 중인 서양화가 류윤형 화백의 '천년의 향'이라는 작품이다. 양재동 한전아트센타에서 지금 열리고 있는 전시회에서 류 화백의 허락을 받고 찍어 왔다
▲ 은행나무 순흥의 역사를 전부알고 있는 압각수 은행나무 (안동에서 활동 중인 서양화가 류윤형 화백의 '천년의 향'이라는 작품이다. 양재동 한전아트센타에서 지금 열리고 있는 전시회에서 류 화백의 허락을 받고 찍어 왔다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배점(초암동)에 사는 무쇠장이였던 배순(裵純)은 퇴계 선생이 소수서원 백운원에서 강학할 때 뜰아래에 와서 자주 청강을 하기에, 선생이 친히 불러 시험을 보았더니 능히 이해함으로 기특하게 여긴 선생이 제자들과 함께 그를 가르쳤다.
           
순흥향교
▲ 향교 순흥향교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그는 퇴계 선생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3년 상을 지내며, 매일같이 제사를 지냈으며, 이후 선조임금 상을 당했을 때도 3년 상을 모셨으며 3년 동안 소식(小食)을 하면서 벌레도 함부로 죽이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퇴계에게서 배운 제자의 도리대로 유교의 이념을 실천한 것이다.
         
초암사 삼층석탑
▲ 초암사 초암사 삼층석탑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효자에 행실까지 반듯했던 배순은 선조임금의 3년 상 동안은 매일같이 나막신을 신고 국망봉에 올라 한양을 향해 곡을 하였으며, 그 곡소리가 한양 대궐까지 들렸다고 전한다. 정려각은 후일 그의 손자들이 세웠다고 전해지며, 마을 사람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을 초암동에서 배점이라고 바꾸었다.
                 
죽계구곡을 알리는 표시판
▲ 죽계 죽계구곡을 알리는 표시판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배점마을을 지나면 이내 좌측은 초암사, 국망봉으로 가는 표식과 우측은 성혈사로 가는 표지판이 보이고 갈림길이 나온다.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조그만 가면 초암사 매표사가 나온다. 이곳까지는 소수서원에서 1시간 거리다.
        
소백산 국립공원
▲ 소백산 소백산 국립공원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매표소를 지나면 '죽계구곡'을 알리는 안내와 설명을 겸한 표시판이 나온다. 1곡~9곡에 대한 설명이 있기는 하지만, 정확한 위치와 구체적인 설명을 담은 안내판은 길을 가면서도 발견할 수 없어 아쉬웠다.
                  
죽계 구곡
▲ 죽계 죽계 구곡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원래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 있었지만, 소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을 받은 이후 등산로가 정비되면서 계곡을 위에서 바라보면서 걷는 길을 내어 죽계를 바라보기만 하면서 올라야 하는 것이 안타깝다.
       
안축, 주세붕, 이황선생 등이 극찬했던 죽계의 옛 절경은 많이 퇴색되어있다. 세월을 탓하랴만 집이 들어서고, 과수원이 계곡의 또 다른 주인이 되어가고 있지만, 안축선생이 죽계를 찬양한 문학작품은 남아있어 그나마 위안이다.
                          
배점 저수지
▲ 저수지 배점 저수지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길을 올라가면서 목욕담, 청련동애, 용추비폭 등을 볼 수 있지만, 정확한 위치와 설명이 없어 쉽지 않다. 현재 1,2,4,5,9곡은 이름만 전해지고 있다. 3Km정도의 거리라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 정도면 초암사(草庵寺)에 닿을 수 있다.

영남의 진산 소백산의 주봉인 비로봉과 국망봉에서 흘러내린 물이 만나는 이수지합(二水之合)의 터인 중봉합류(中峯合流)는 초암사를 지나 300미터 정도 올라가면 볼 수 있다. 이곳이 죽계9곡의 끝이다. 이곳까지는 소수서원에서 2시간 거리다.

퇴계선생은 초암사를 지나 국망봉까지 자주 오르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48살의 퇴계는 죽계를 거슬러 오르는 것이 힘이 들었던지 초암사에서 하룻밤 유숙을 하고, 이튿날은 가마를 타고 국망봉에 올랐다고 한다. 
            
초암사, 국망봉, 성혈사를 알리는 표시판
▲ 표시판 초암사, 국망봉, 성혈사를 알리는 표시판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여승들만 있는 비구니 사찰인 초암사는 소백산 국망봉 남쪽 계곡 아래인 순흥면 배점리에 의상대사가 세운 조계종 사찰이다. 부석사를 지은 후 이곳에 다시 절을 세웠는데, 우람한 거석 축대, 주춧돌 등으로 미루어 규모가 큰 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소백산의 절경 속에 자리 잡은 청량도량으로 한국전쟁으로 파괴되어 다시 지은 법당이 남아 있으며, 삼층석탑(경북유형문화재 126)과 동부도(경북유형문화재 128), 서부도(경북유형문화재 129)등을 소장하고 있다.

높이 3.5m의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하대에 조성한 것으로, 사각형 지대석 위에 세워진 이중기단의 각 면석에 우주가 있고, 일주씩 탱주를 모각하였다. 각 층 옥신에도 우주가 있고, 옥개석 아래 4단의 받침이 있다. 상륜부는 없지만, 주변에 그 파편이 흩어져 있다.

월래 이곳에 남아있던 국보 78호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세계적인 명품인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이미 소수박물관에서 복제본을 보았고, 국보 282호인 '목조아미타불좌상병복장유물(木造阿彌陀佛坐像幷腹藏遺物)' 한국전쟁 직후 이웃 이산면에 소재한 흑석사(黑石寺)로 피난을 간 이후 돌아오지 않아, 현재 초암사는 석탑과 부도, 축대를 제외하곤 별로 볼 것이 없는 절이 되었다. 하지만 절을 빛내주는 죽계가 있으니 계곡의 기암괴석과 맑은 물은 탄성을 절로 나오게 하는 보물들이다.
              
초암사의 삼성각 , 옆에 돌개상이 보인다
▲ 절 초암사의 삼성각 , 옆에 돌개상이 보인다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그렇지만 초암사에도 재미있는 볼거리는 하나 정도 있다. 바로 삼성각 좌측에 최근 만들어진 돌개상이다. 비구니들만이 도량이라 좀도둑이 성해서 보원(普元)스님이 주지로 계실 때 사냥개 형상으로 돌을 다듬어 삼성각 처마 밑에 두었다. 사나워 보이지도 않고, 얌전하게 다소곳이 앉아 있는 모습이지만, 개의 형상을 안치한 이래에 좀도둑이 사라졌다고 한다.

초암사를 둘러보고는 바로 하산을 해도 좋다. 죽계구곡을 전부 보았으니 말이다. 하지만 길을 연장하여 국망봉과 봉두암, 돼지바위 등을 보고 내려오면 더욱 좋다. 바로 하산한다면 3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성혈사(聖穴寺)를 한번 둘러볼 것을 적극 추천한다. 순흥면 덕현리에 있는 성혈사는 신라 때 의상이 창건하였다.

성혈사에는 기존의 사찰에선 보기 드문 특별한 문화재를 갖고 있다. 조선 명종임금 때 창건한 보물 제832호 나한전은 정면 3칸, 측면 1칸 다포계(多包系)단층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배흘림기둥과 내이출목(內二出目), 외이출목(外二出目)으로 공포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정면 개구부(開口部)의 꽃창호 문창살은 용, 게, 물고기, 동자상, 여의주, 기러기 등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어우러져 있고 세밀하게 조각되어있다. 조각 공예기술이 섬세하고 뛰어나 '조선 목공예의 백미'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다. 문창살의 조각들이 '날 좀 봐주세요.'라고 말을 걸어와 사진을 몇 장 찍어왔다.
               
성혈사 나한전의 문창살
▲ 성혈사 성혈사 나한전의 문창살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스위스 바젤대학 미술대학원에서는 매년 20~30명의 학생들이 성혈사 나한전의 창호 문창살과 부석사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 무량수전 안에 있던 부처님의 닫집(법당 안의 탁자 위를 덮도록 만든 집의 모형 또는 불상의 머리 위를 가리는 양산인 닫집(보개, 천개(天蓋)). 인도에서 부처님이 설법할 때는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산개(傘蓋)를 사용했는데, 이것이 후에 불상조각에 받아들여져 닫집이 됨. 큰 절의 경우 부처의 머리 위에 지붕을 씌운다.)에 붙어있던 목조 용머리, 선비촌 초가의 초겨울 지붕갈이를 보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성혈사의 나한전
▲ 절 성혈사의 나한전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홍익대 미대의 경우에도 목공예를 전공하는 학생들은 매년 이곳을 찾고 있을 정도로 조선 목공예의 백미이다.

성혈사를 둘러 본 이후에는 '순흥읍내리 고분벽화'를 둘러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이다. 남한에서는 몇 안 되는 고구려식 채색벽화로 '삼족오'를 볼 수 있다. 인근에 10여기의 석실고분이 산재해 있고, 뒷산에는 옛 비봉산성 터 자리가 있다.
                 
순흥기지떡, 나는 떡 한말을 택배로 주문했다
▲ 떡 순흥기지떡, 나는 떡 한말을 택배로 주문했다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경북북부와 충북북부, 강원남부를 관할하던 흥주(순흥)도호부의 중심에 있던, 역사와 문화의 고장 순흥면에는 정말 볼 것이 너무 많다. 면사무소 옆에 조선시대부터 조성된 공원에 봉서루가 있고, 연리지 소나무, 순흥안씨들의 제실인 추원단, 고려 말과 조선 초기 왕실의 태를 묻었던 태장리, 청구리의 여근산, 남근바우, 선사시대의 입석, 1906년에 설립된 경북북부지역 최초의 초등학교인 순흥초등학교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볼거리가 많은 고장이다.
              
순흥전통묵밥
▲ 묵밥 순흥전통묵밥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먹을거리로는 순흥기지떡(증편, 술떡, http://www.순흥기지떡.kr)과 순흥묵밥, 복숭아 등이 유명하다.

덧붙이는 글 | *길 안내: 서울에서 시외버스로 2시간 30분 걸리는 경북 영주시에 도착한다. 영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30분마다 한 번씩 있는 순흥 소수서원행 시내버스를 타고 서원 앞에 하차하여 도보여행을 시작하면 된다. 천천히 보면 1~2시간 정도면 서원과 선비촌, 소수박물관, 선비문화수련원을 둘러볼 수 있다. 이후 죽계를 따라서 인근의 원단촌을 본 다음 초암사로 향한다. 이곳에서 늦은 점심을 먹고, 하산을 하거나 등산을 연장하여 국망봉을 오르기도 한다. 하산을 하는 경우 성혈사를 둘러 본 다음, 순흥 읍내로 나와 읍내리 고분벽화를 둘러본 다음, 순흥전통묵집에서 저녁식사를 하면 된다. 이후 풍기나 영주로 나가 서울로 돌아가면 당일로 충분한 시간이 된다. 서울로 올라가는 시외버스는 영주에서 저녁 9시경이 막차이다. 더 늦어지면 중앙선 기차를 이용하면 된다.



태그:#죽계수 , #초암사 , #안축, #주세붕, #소수서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