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새학기마다 하는 고민들 - 올해 담임선생님은 어떤 분일까?

 

새학기라 부모님들은 아이를 학교에 보내고 걱정이 많은 시기인 것 같다. 담임선생님이 어떤 사람인지도 궁금할 테고 입학을 시킨 경우엔 학교생활에 대해서도 궁금한 것이 많을 것이다. 설레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것은 아이 못지 않을 것이다.

 

며칠 전 학부형총회가 있었다. 어머님들이 많이 오셨다. 아버지는 한 분도 안 오신 걸로 안다. 그 중 한 분이 회의 전에 먼저 상담을 하시겠다고 날 찾아 왔다. 예쁜 바구니를 안고 오셨다. 친절히 열어서 보여 주셨다. 갖가지 차 종류, 한과 몇 개, 껌, 레모나 1봉지, 비스켓 과자 1개 등 다양한 것을 채워서 오셨다. 같이 나눠 먹으라는 뜻으로 알고 고맙다고 했다.

 

아이에 대해서 이것 저것 물어봐서 대답해 드렸는데, 끝날 무렵쯤 쇼핑백 하나를 내려 놓는다. 별 뜻없이 받아들며 고맙다고 했다. 그 자리에서 내용물 확인을 했어야 하는데 미처 못했다. 이 분은 찾아 뵐 분이 있다며 밖으로 나가셨다. 그때서야 아차 싶어 쇼핑백을 확인해보니 지갑이 있었다. 지갑을 열어봤더니 만 원짜리 신권이 들어있었다. 세 보진 않았지만 대략 20만 원쯤 되어 보였다.

고민할 것 없이 꺼내서 흰 봉투에 넣었다. 휴대전화를 했다. 다른 사람을 만나기 전이어서 차에 있었던 모양이었다. 만나서 봉투를 재킷 주머니에 넣어 드렸다.

 

촌지, 안 주고 안 받자

 

"교직 그만 두는 날까지 받을 수 없어요. 20년 이상 되었지만 받아본 적 없어요. 저의 이런 의지 지킬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어머님."

 

"죄송해요. 제가 결례를 했나봐요. 제가 일 때문에 바빠서 아이도 못챙기고, 모시고 식사하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 식사 한 끼 하시라는 뜻이었는데…."

 

"이 동네에 제 소문이 아직 안 났나요? 허긴 이번 학교에선 담임 하는 게 두 번째라서 소문이 돌지 않았나 보네요. 어머님 뜻 오해하지 않고 좋은 뜻만 감사히 받을게요."

 

홀가분했다.

 

내 아이가 학교 다니는 동안에도(지금은 둘 다 고등학교를 마친 상태임) 가끔 담임선생님의 편지를 받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믿음이 갔다. 필자도 학부모님들께 학급경영관이나 촌지 근절에 대해서 통신을 보낸 적이 여러 번 있었다.

 

아이 둘을 졸업시키는 동안, 봄에는 쑥 뜯으면 쑥인절미 해서 나눠드시라고 넉넉히 보내 드렸고, 요즘처럼 진달래 필 때는 찹쌀가루에 진달래꽃 넣은 예쁜 화전 부쳐서 도시락에 보내드리고, 밤 나올 땐 밤을 쪄서 보내 드리기도 했다.

 

필자 어릴 적에(1960년대) 엄마는, 농사짓는 촌아낙이 드릴 게 뭐 있을까마는 공부좀 한다는 딸 면이라도 세워주시려는 뜻이었는지 아니면 어리숙한 늦둥이 딸을 가르쳐주시느라 수고하시는 선생님들이 고마우셨는지 한여름에 참외 한 바구니 이고 학교에 찾아오셨던 적이 있었다.

 

어느 때고 마음은 성의는 이처럼 늘 같은 것 아닐까? 한 번은 큰 아이 고등학교 때 담임샘께 고맙다는 짤막한 편지와 초콜릿 선물을 받은 적이 있었다. 사소한 선물에 감동하신 담임선생님의 답장이 고마왔다. 선물이란 서로의 마음이 담겨 있을 때 진정한 선물이지 않을까 한다.

 

요즘엔 굳이 학부모님께 통신문을 일일이 보내지 않아도 정보를 많이 접해서 그런지 이런 일들이 별로 없었고 또 이런 경우 한 번만 돌려 보내면 일 년이 편안했다. 고민할 일이 없었다. 그리고 고등학생쯤 되면 아이들이 더 잘 파악한다. 어떤 사람인지.

 

담임 안 할 땐 이런 일로 신경쓸 일이 없어서 편한 점도 있었다. 하지만 담임을 맡은 경우에도 한 번만 이렇게 돌려 보내고 나면 소문이 나서, 거절하고 서로 찜찜해할 일도 없다.

 

아직도 촌지를 주고 받는 우리사회, 언제쯤 달라질까?

 

초임시절의 일이 떠오른다. 초임발령은 전북 계화군의 한 학교로 났다. 그 당시만(1986년 무렵) 해도 가정방문이 거의 의무적(?)이어서 대부분의 담임교사는 3월에 해야 하는 일 중 하나가 가정방문이었다. 수업이 끝난 뒤 가정방문 할 아이의 집에 아이와 같이 가보면 밭에서 일하고 있는 학부모를 만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렇게 만난 학부모와 얘기를 나누다 보면 어둑어둑해져 귀가하려는 젊은 선생인 내게 학부모는 일하던 손으로 차비하라고 천 원짜리 몇 장을 쥐어주신다. 싫다고, 아니라고 거절을 해도 택시를 잡아 태워주시며 차 안으로 돈을 넣어주시는 경우도 있었다.

 

고창에 있을 땐(칠거리수박이라는 상표로 유명한 곳이다) 학부모가 큼지막한(12-13Kg정도) 수박 두어덩이를 보내오면 삼사십 명의 교직원이  한여름의 더위를 한방에 날릴 수 있었다. 시원하고 달콤한, 싱그러운 수박을 먹으며 고마워했던 시절이다. 고창은 짧게 머물러서 그런 기쁨을 한두 번밖에 맛보지 못했지만 지금도 여름이면 그 시절이 생각나 침이 삼켜지곤 한다.

 

그리고 몇 년후 서울로 오면서 다짐을 했다. 언제 관둘 지 모르지만 촌지는 안 받겠노라고! 지금까지 잘 지켜왔다. 몇 년을 더 할 지 모르지만 앞으로도 지켜지리라 믿는다. 내 스스로에게 당당하고 내 아이에게 부끄럽지 않은 부모가 되고, 가르치는 아이에게도 웃으며 두 눈 마주치며 얘기할 수 있다.

 

요즘 아이들은 당돌하게 대놓고 묻는다.

"샘 촌지 받아보셨어요?"


태그:#촌지, #새학교 새학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감수성과 감동은 늙지 않는다"라는 말을 신조로 삼으며 오늘도 즐겁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에 주저앉지 않고 새로움이 주는 설레임을 추구하고 무디어지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