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족들과 함께 남해로 가던 중 S시에 위치한 절에 잠시 들렀다. TV에 몇 차례 방영되어서 그런지 꽤 알려진 절인 듯했다. 가족이 그 절에 대해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절 입구에 즐비해 있는 관광버스도 그렇게 말해 주었다.

A사 대웅전으로 향하는 길옆 계곡에는 갈수기인 초봄임에도 꽤 많은 물이 흘렀다.  많은 관광버스가 눈에 거슬리긴 했지만, 산세 좋은 곳의 시원한 계곡물 소리가 마음을 맑게 해주었다.

촛불 켜는데 5천원!

들어서자마자 한 보살님이 우리를 맞아주었다. 안고 있는 딸에게 '예쁘다'고 하며 관심을 가져 준 보살님은 곧 우리에게 딸의 건강을 위해 초 하나 켜라고 했다. 그 상황에 도저히 거절할 수 없어 5천원짜리 초를 샀다. 참고로 우리 가족들의 단점이자 장점이 마음이 약하다는 것이다.

촛불을 켜고 대웅전에 올라 절을 하려니 평소 불심이 깊으신 어머니께서 불전함에 돈을 넣으셨다. 시누이도 역시 어머니를 따라 돈을 넣고 절을 했다. 계속 돈을 쓰는 게 마음에 걸렸지만 우리는 유명하다는 와불상이 모셔져 있는 곳으로 향했다. 

가는 길목에는 포대화상님이 모셔져 있고 작은 연못이 있었다. 안내판에 따르면 불전함에 돈을 넣고 포대화상님의 배를 3번 문지른 후 용천수 대야를 문지르면 소원이 이루어질 시 물이 솟아오른다고 한다. 관심을 보이던 신랑과 시누이는 동전과 천 원짜리 지폐를 넣어가며 열심히 문질렀다. 그러나 물은 꼼짝도 하지 않았다. 아쉬운 마음으로 연못에 동전을 던져 넣고 소원을 빈 후 자리를 옮겼다. 

세계 최대 약사와불이 모셔져 있는 곳으로 갔는데, 세계 최대라는 명성에 걸맞게 매우 컸다. 밖에서 구경하고 있는데 한 보살님이 들어가서 구경하라고 하셨다. 친절하다는 생각에 온 식구가 신발을 벗고 와불상 앞으로 갔다. 보이는 불전함에 시어머니와 시누이는 또 돈을 넣었고, 와불 앞 동자상이 들고 있던 약단지를 어루만졌다. 약단지를 만지면 한 가지 병을 고쳐준다는 말이 있다.

곳곳에 마련된 불전함, 성의 표시하라시던 스님

와불상의 발치에 계시던 스님이 와불상 앞에 모셔져 있던 부처상을 가리키며 "사람들이 많이 만져 흠집이 나 보수가 필요하다"고 하셨다. 이어 어깨를 죽도로 두드리면서 성의 표시를 하라고 하신다. 가족이 다 같이 왔으니 3만 원이면 된다고 했다. 나와 신랑은 짜증이 났지만 시어머니는 머뭇거리는 듯하더니 결국 3만 원을 불전함에 넣으셨다. 스님이 가족 이름과 주소를 적으라고 하자 어머니는 짜증 섞인 말투로 '주소는 적지 마라'라고 단호하게 말씀하셨다. 

그렇게 우린 약사와불 몸속 법당을 거쳐 우보살이 모셔져 있는 곳으로 향했다. 우보살은 말 그대로 소인데, 목탁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TV에 출연한 소들이라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

물론, 불전함은 빠지지 않고 놓여 있었다. 불심 강하신 어머니께선 또 돈을 넣으셨다. 우보살들의 목탁소리를 듣기 위해 10분을 기다려야 했고, 합창을 하는 듯 마는 듯하더니 이내 안내하던 보살님은 '합창했으니 박수를 쳐라'고 하셨다. 한 번씩 만져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기에 얼른 박수 치고 발길을 돌렸다. 

돈 없으면서 여기에 왜 왔어요?

절을 나가려니 높은 계단 위에 작은 법당 하나가 보였다. 현수막으로 크게 TV에 반영된 '산신할머니 복돌'이라고 적혀 있었다. 시누이는 나에게 천 원을 빌려달라더니 복돌 한번 들어볼 거라며 높은 계단을 올랐다. 그런데 갑자기 보살님 한 분이 나타나시더니 시누이에게 뭐라 하면서 쌀 한주머니를 머리에 얹어주었다. 시누이는 쌀을 이고 법당에 들어갔고 한참을 그렇게 보살님의 말씀을 듣고 앉아있었다. 심상치않게 느낀 어머니는 나보고 시누이를 빨리 데리고 오라하셨다. 

시누이는 이미 만 원을 내놓은 상태였다. 복돌만 들어볼 생각으로 법당에 올랐는데, 보살님은 시누이에게 '빌고 싶은 게 뭐냐'고 물었고 시누이는 '결혼 3년차인데 아기가 생기지 않는다'고 했더니 갑자기 쌀을 이고 들어오라고 했단다. 엉겁결에 시누이는 쌀을 이고 법당으로 들어가 절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보살님은 기도문 견본을 하나 주면서 적게 한 후

"기도를 대신 해 주고 있어요. 백일기도와 3년 기도가 있는데 3년까지는 필요 없을 것 같고 백일기도를 올리면 되겠네요. 10만 원이면 됩니다."
"저 돈 없는데요."
"(쓰고 있던 펜을 빼앗으며) 돈도 없으면서 뭐하러 여기 왔어요?"

이 말을 듣고 우리는 어이가 없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돈은 좀 썼지만 불심 깊었던 어머니께서도 만족해하셨고 TV에 나왔던 것을 볼 수 있어 나름 좋았는데, 마지막 경험이 이 절에 대한 이미지를 확 깨어버렸다. 가만히 계산해보니 이 절에서 10만 원 가까이 썼던 것이다. 특히, 신랑이 많이 흥분했는데, 어머니께선 '그러지 마라, 부처님이 잘못 하신 게 아니다'라고 하시며 신랑을 자제시켰다.

불심 깊은 어머니, 마음의 상처를 입다

불심 깊은 어머니의 말씀을 들으니 더 화가 났다. 어머니의 마음이 무시된 듯한 느낌 때문이다. 어머니 말씀대로 부처님 잘못이 아니지만 이런 모습들이 결국 불교를 욕먹게 하는 것이다. 

절 운영을 위해 불자들이 불전 내는 것이 문제라고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드러나게 돈을 요구하는 모습에서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을 하게 한 것이다.

예전부터 신랑은 우리나라 절이 좋다고 했다. 이유는 억지로 불당에 오르게 하여 절을 시키지도 않고 돈을 내라고 강요하지 않으며, 돈을 내지 않아도 마음 놓고 둘러불 수 있는 곳이라서 그렇단다. 하지만, 이번에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은 모양이다. 절에 많이 다녀보지도 않은 신랑이 '절이 왜 이렇게 변했냐'고 흥분하니 말이다.

물론, 1시간의 경험으로 모든 절이 그렇다고 하기에는 급한 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짧은 경험이 긴 여운을 남겼고 이미 그 절에 대한 이미지가 시쳇말로 '돈 밝히는 절'로 굳혀버렸다. 제발 잘못 느낀 것이었으면 좋겠다.


태그:#불전함, #불심, #백일기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산YMCA에서 시민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올해부터 소통을 위해 여러방면으로..노력할려고 합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