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2 합의'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는 민주당이 최고위원회를 통해 원내지도부의 재신임을 결정하면서 당내 갈등이 물밑으로 가라앉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4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3.2 합의' 이후 당내 일부 의원들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았던 원혜영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김유정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 직후 브리핑을 통해 "최고위원회는 원내지도부에 언론악법 저지를 위한 대여투쟁 방안을 철저히 강구할 것을 만장일치로 주문했다"고 밝혔다. 최고위원회 결정 배경에 대해 김 대변인은 "지금은 대여투쟁의 고삐를 움켜쥐고 더욱 단결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세균 대표도 최고위원회 발언을 통해 "현재 지도부가 그대로 앞으로의 일을 해야 한다는데 대해서는 특별한 이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또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당을 위해 잘하고, 악법을 막아내는 데 당이 갖춰야 할 진용인지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서 제기된 원내지도부 교체 주장을 재고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최고위원회에 동석한 한 의원은 "논란이 있지만 현 지도부가 최선을 다했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게 최고위원들의 공통된 생각"이라며 "원 대표의 거취를 놓고 최고위원들이 돌아가면서 한 마디씩 했지만, 사퇴에 찬성한 최고위원은 없었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원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자신의 거취가 논의되자 곧바로 자리를 비웠고, 다른 최고위원들은 큰 논란 없이 뜻을 모았다고 한다.

 

'국민모임' 등 최고위 결정 비판... "대책 상의한 뒤 대응"

 

최고위원회가 원내지도부에 힘을 실어줌에 따라 민주당의 내홍은 일단 봉합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3.2 합의' 직후 원 대표를 직접 만나거나 개인 성명을 통해 "합의는 무효"라며 "지도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사퇴를 요구했던 강창일·문학진·이종걸 등 '국민모임' 소속 의원들은 아직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종걸 의원은 4일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서도 "민주당의 완패"라며 지도부 책임론을 주장했다. '3.2 합의'에 대해서는 "민주당 지도부가 심신 패닉 상태였기 때문에 합의 자체가 무효"라고도 했다.

 

이 의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원혜영 대표 등 지도부가) 모든 것들을 이성적으로, 그리고 자기 정치의 폭만큼 판단할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정치적으로 어떤 중요한 결정을 하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정치적 결정'이 꼭 사퇴 요구는 아니라고 밝혔다. 전날의 강경한 '사퇴론'에서 한발 물러선 셈이다.

 

이 의원은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사퇴에 준하는 중요한 결단들"이라며 "의원들 사이에서 삭발, 단식 같은 많은 얘기가 나왔다, 그것에 준하는 정치적 결단들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 대표의 사퇴를 주장한 '국민모임' 강창일 의원도 최고위원회 결정에 불만을 나타냈다. 강 의원은 이날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3.2 합의는 국민들과의 약속을 어긴 것"이라며 "누군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아 국민들이 섭섭해 할 것 같고 개인적으로도 섭섭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고위 결정에 대해 주변 의원들과 상의한 뒤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내지도부 사퇴론을 다시 한번 촉구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강 의원은 "4월 재보선 때문에 사퇴할 수 없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을 것 같다"며 "일단 지켜보면서 대책을 마련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태그:#민주당, #3.2 합의, #원내지도부, #미디어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오마이뉴스 입사 후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편집부를 거쳐 정치팀장, 사회 2팀장으로 일했다. 지난 2006년 군 의료체계 문제점을 고발한 고 노충국 병장 사망 사건 연속 보도로 언론인권재단이 주는 언론인권상 본상, 인터넷기자협회 올해의 보도 대상 등을 받았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