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욱아!

산 오솔길을 걷다가 봄맞이 하는 나무들의 새순을 보았다. 겨우내 마른 모습으로 차디찬 추위를 견디고 견디더니 오는 봄에 잎을 틔우고 꽃을 피우기 위해 순을 세상에 내놓고 있는 모습을 바라보며 힘없이 미소 짓던 네 얼굴이 떠올랐다.

 

한창 해맑게 뛰어놀고 장난치며 웃어야 할 나이인 너. 그런데 넌 아직 한 번도 그런 경험을 해보지 못했지. 그래서 너의 꿈은 공부를 잘하는 것도,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도 아닌 그저 맘껏 신나게 친구들과 뛰어놀고 싶은 거였지. 한 번이라도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공을 차며 노는 것이 네 소망이라고 네가 연습장에 적었던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때 난 네 얼굴을 가만히 바라보았다. 조금은 슬픈 얼굴이었지.

 

 

 

처음 네가 시간이 흐를수록 걷지도 못하고 움직임도 힘들다는 병에 걸렸다고 했을 때 모두가 놀라고 절망에 빠진 적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 네 상태는 갈수록 악화되는데 처음 받았던 충격은 포말처럼 흩어짐을 느낄 수 있다. 갈수록 너의 몸과 마음은 더 힘들어지는데 말야.

 

며칠 전, 연필을 쥐고 노트에 그림을 그리던 널 바라보다가 깜짝 놀랐단다. 그림을 그리다 말고 연필을 힘없이 방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모습 때문이야. 이젠 연필 쥘 힘도 없어지는구나 생각하니 너한테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고. 그런데 모두 너한테 아무것도 해줄 수 없음을 알기에 너의 고통을 외면한 척 하루하루 생활하고 있음을 너도 어쩌면 알고 있을 거야. 그런 네가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들어가게 되었구나.

 

지금보다 힘든 중학교 생활이 기다릴 텐데

 

 

시골 초등학교의 졸업식. 도시의 졸업식과는 전혀 다른 모습에 조금은 어색하더구나. 큰아빠와 아빠도 다녔던 그 초등학교에서 네가 졸업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기쁘기도 하면서 한편으론 염려스러움이 가득했다. 너 혼자 힘으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처지인걸 알기 때문이지.

 

지난 6년 동안 네가 걸어온 길은 침묵의 길이었다. 네 몸이 정상이 아니란 걸 알면서 넌 안으로만 빠져들었다. 말을 잃었고 웃음을 잃었다. 생각은 늘 날아다니는데 몸은 석고처럼 굳어가고 삭정이처럼 허물어져 갔다. 그런데도 넌 아픔을 호소하는 대신 체념을 해갔지. 그 체념은 컴퓨터 게임으로 이어졌고 넌 점차 게임속의 인물이 되어 자유롭게 걷고 날아다녔음을 안다.

 

그런 네가 이제 중학교에 들어가는구나. 헌데 왜이리 걱정이 되는지 모르겠다. 초등학교에선 너 하나를 위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을 보수했다는데 중학교에선 그런 시절이 전혀 없기 때문일까. 아님 많은 수업 양과 새로운 친구들과의 관계 때문일까. 아마 그럴 거다. 그리고 교실에서 미술실, 음악실 등으로 이동할 때도 휠체어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데 그 이동통로가 여간치 않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기도 해. 그러나 무엇보다도 네 갇혀 있는 마음이 더 갇혀버릴까 하는 염려 때문일 거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초등학교 때 너의 수족이 되어 헌신해주신 선생님이 다시 보조교사가 되어 널 돌봐준다는 거야. 네 졸업 날에도 그 선생님은 너와의 헤어짐에 아쉬워하는 모습이 역력함을 볼 수 있었다. 그 헤어짐은 다시 만남이 되겠지만 너 혼자 휠체어를 움직이기는커녕 누군가의 도움이 없인 책 한 권, 연필 한 자루 꺼낼 수도 없었잖아. 대신 그 선생님과 친구들이 있었기에 넌 무사히 학교를 마칠 수 있었지.

 

네 졸업식 날 욱이 네 엄마는 네 중학교 생활에 무척 염려를 하면서도 6년 동안 함께 했던 친구들과 보조 선생님이 함께 함에 안심을 하는 모습을 보았다. 나도 그래. 욱이 네가 몸은 힘들고 마음은 외롭지만 옆에 널 도와주고 이해해주는 친구들과 선생님이 있어 조금은 마음이 놓이기도 해.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네 마음이 아닐까 싶다. 몸이 아픔으로 인해 마음의 벽을 두껍고 굳게 쌓아올린 네가 그 벽을 허물었으면 어떨까 하는 바람을 가져본단다. 네 졸업식날 네 담임 선생님이 그러시더구나. 욱이 네가 몸이 아파서 그런지 매사에 짜증이 많다고. 말도 없고 웃지도 않고 친구들과 이야기도 많이 아니 하고 말이야. 선생님의 말을 들으면서 식장 맨 앞줄에 힘없이 앉아 있는 네 모습이 많이 안쓰러웠다.

 

특히 다른 친구들은 모두 제 발로 걸어가서 상장을 받고 서서 졸업가를 부르는데 넌 밀어주는 휠체어에 앉아 상장과 장학금을 받고 졸업가를 부르는 모습에 마음이 짠해왔단다. 그런 널 바라보는 네 엄마 아빠는 더 했겠지.

 

 

욱아!

넌 이제 중학생이다.

다른 친구들이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학원에 다니며 공부하는 호사(?)는 꿈도 꾸지 못하는 처지지만 이제 중학교에 들어간다며 책을 읽고 모습에서 너의 마음가짐을 조금은 엿볼 수 있었다. 그런 네 모습에서 중학교 생활을 잘 해낼 거라는 믿음이 생기는구나.

 

 

시간이 흐를수록 네 몸은 굳어가고 허물어져 가겠지만 네 마음과 생각은 더 큰 꿈의 나래를 펼쳐가길 바란다. 그리고 스스로를 놓지 말고 말이야. 넌 제주가 참 많잖아. 그리고 말이야. 넌 지금 길고 긴 겨울을 보내고 있는 거라고 생각하렴. 마른 칼바람이 부는 겨울 한복판에 서있는 너, 하지만 네 곁엔 널 사랑하는 가족이 있고 친구가 있다는 것도 생각하고. 그런 믿음이 있으면 네게도 봄의 새순이 돋을 거라 믿는다.

 

봄의 생명의 물이 네 몸에도 흘러 네 근육에도 살이 붙고 생명의 힘이 돋아 언젠가는 너도 걸을 수 있는 날이 올 거라 믿으렴. 아니 그렇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하렴.

 

난 지금 나무들의 새순을 바라보며 네 얼굴을 떠올리고 있단다. 그리고 졸업식장에서 싱긋이 웃고 있는 네 미소도. 그 미소가 오랫동안 계속되기를 기도하마. 그러니 너도 절망 속에서 울지 말고 희망의 그물을 펼치기 바란다. 포기하기엔 넌 아직 어리잖아. 그리고 네가 앓고 있는 몸의 병도 언젠가는 치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거라는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태그:#졸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너! 나! 따로 가지 말고 함께 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