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8일 수요일 오후 1시 용산참사 현장 앞에서는 ‘용인참사 살인정권 퇴진! 빈민진영 투쟁선포’ 기자회견이 열렸다.
 28일 수요일 오후 1시 용산참사 현장 앞에서는 ‘용인참사 살인정권 퇴진! 빈민진영 투쟁선포’ 기자회견이 열렸다.
ⓒ 김환

관련사진보기


전국빈민연합, 전국철거민연합, 주거권실현을위한국민연합 등 20여 개 단체가 28일 오후 1시 '용산 참사 현장' 앞에서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 구속과 용역의 개입 여부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특히 전국철거민연합(이하 전철연) 회원 장영희씨는 용역직원의 폭력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며 검찰 조사를 촉구했다.

장씨는 "용역들이 온 뒤로 그들은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루도 발을 뻗고 자본 적이 없다. 용산 지역뿐만 아니라 모든 철거지역에서 같은 방식으로 주민들을 협박했다"며 "그들은 심한 욕설도 서슴지 않았다. 심지어는 말을 듣지 않으면 성폭행을 하겠다고 협박했다"고 울분을 토했다.

또 그는 "용역들이 날마다 찾아와 유리창을 깨고 영업을 방해했다. 경찰에게 신고하면 늑장 대처로 일관했다. 하지만 철거민 측에서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경찰이 바로 달려와 신속하게 처리했다"며 "경찰은 노골적인 용역 편들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의견이 분분했던 용역들의 폭력행위와 경찰의 '수수방관'에 대한 철거민의 공개적인 주장이 이번에 나온 셈이다.

이에 앞서 전국빈민연합 공동의장 심호섭씨는 "모든 책임을 전국철거민연합에게 돌리려는 행위는 당장 중단해야 한다. 김 내정자를 구속수사하고 빈곤층을 보호하라"고 주장했다.

또 주거권실현을위한국민연합 공동대표 김상호씨는 주거요구안 발표에서 '철거민 탄압 중단' , '용역 폭력 척결' , '순환식 재개발 의무화' 등을 요구했다. 김 공동대표는 "계속된 개발을 중단하지 않으면 이번 참사와 같은 사태가 또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 변경을 촉구했다.

한편 인권운동사랑방을 비롯한 몇몇 국내 인권단체들은 유엔에 용산 철거민 참사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인권운동사랑방의 활동가 명숙씨는 "한국정부가 1995년과 2001년 두 차례에 걸쳐 유엔으로부터 강제퇴거를 즉각 중단하라는 경고를 받았음에도, 10년이 지난 지금도 강제퇴거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과잉진압으로 5명이 숨졌고, 수사당국이 유족 동의 없이 시신을 부검하고 사고현장을 은폐하는 등 철거민들의 인권이 유린당했다"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1월 31일 청계광장에서 빈민대회를 개최해 '이명박 정권퇴진'과 '빈민탄압 중단'을 위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용산 참사 현장에 투입됐던 한 용역업체 관계자는 "터무니없는 억지"라며 철거민들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도 사람인데 설마 성폭력 협박 같은 걸 했겠느냐"며 "철거민들의 말은 사실과 다른 점이 많다"고 밝혔다.

선포식 후 진행된 정부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퍼포먼스.
 선포식 후 진행된 정부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퍼포먼스.
ⓒ 김환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9기 인턴기자 김 환 입니다.



태그:#용산참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