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골목길 길고양이는 골목집 기름통에 앉아서 낮잠을 잡니다. 잘 자고 있는데 제가 옆에서 사진 찍으며 지나가니 슬쩍 뒤돌아보기는 해도 그냥 웅크리고만 있습니다. (인천 동구 만석동 골목길)
▲ 골목길 길고양이 골목길 길고양이는 골목집 기름통에 앉아서 낮잠을 잡니다. 잘 자고 있는데 제가 옆에서 사진 찍으며 지나가니 슬쩍 뒤돌아보기는 해도 그냥 웅크리고만 있습니다. (인천 동구 만석동 골목길)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집에 물이 나오지 않으니 괴롭지만, 집 앞에 있는 지하상가 뒷간에서 물을 떠 와 그럭저럭 씻기도 하고 보일러에 넣기도 하니 지낼만 했습니다. 그런데 지하상가가 일요일 하루 동안 문을 닫고 쉬는 바람에 물 한 방울 만지지 못하고 지내고 맙니다. 여느 날이 아닌 일요일에 지하상가가 쉰다니 놀랍고, 지하상가가 쉰다고 건널목 없는 이곳 인천이라는 동네에서 찻길을 가로지를 수도 없는 노릇인데 어떻게 다니라고 이리 하나 싶어 놀랍니다.

인천시에서는 이 지하상가를 '전통공예 특화 관광명소'로 삼고자 5억 원이라는 돈을 들여 공사를 한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그런데 공사를 한다며 지하상가를 거쳐 길을 건너는 동네사람 발걸음을 막지 않을까 걱정스럽습니다. 관광명소도 좋고 전통공예 지하상가도 좋습니다만, 먼 데서 찾아오는 손님들한테 보여줄 무엇인가에만 마음을 쏟는 나머지, 정작 이런 '관광명소'를 옆에 끼고 살아가는 동네사람 삶을 헤아리지 못한다면 어떤 보람이 있을는지 궁금합니다.

ㄷ출판사에서 전화가 옵니다. 곧 펴낸다는 자전거 이야기책에 넣을 제 사진을 저보고 한 장 찍어서 보내 주면 좋겠다고 합니다. 그러마 하고 말했지만 제가 제 사진을 찍어야 한다니, 더구나 자전거 타는 모습을 찍어야 한다니, 게다가 골목길에서 자전거 타는 모습으로 찍어야 한다니, 참 까마득합니다. 다른 사람한테 맡겨야 할 텐데, 맡아 줄 만한 분이 있을까 모르겠고, 맡아 준다 한들 제가 바라는 느낌으로 담아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보다, 이제까지 '자, 사진 찍자' 하면서 사진을 찍는 일이 없었기에, 어떤 틀에 따라서 사진을 찍어야 한다는 일이 고달픕니다. 고향동무한테 연락해서 몇 장 찍어 봅니다. 처음부터 썩 내키지 않았기에 사진을 찍는 내내 조금도 달갑지 않습니다. 사진찍기는 그만두고 동무녀석하고 두어 시간 남짓 수다를 떱니다. 동무녀석이 그 골목집에서 살았던 이야기, 지금 자리에서는 스무 해 넘게 살았고, 그에 앞서는 바로 앞집에서 살았으며, 몇 해 앞서 지금 집 바로 앞집에서 불이 나서 자기 어머니와 누나가 다칠 뻔했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둘이 골목집 담벼락에 붙어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동네 분들은 꾸준히 지나다니고, 동무녀석은 한 분 한 분 인사를 건넵니다. 교회 나들이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세 식구 뒷모습을 슬쩍 사진에 담는데, "야, 요즘 얼마나 무서운 세상인데 사람들 사진 함부로 찍어? 미○○○ 붙잡아 간 거 몰라?" "그래서 앞모습 안 찍고 뒷모습만 찍잖아." "뒷모습만 찍어도 위험해." "그래, 그래서 요새는 뒷모습 찍기도 잘 안 하고, 아예 사람을 못 찍겠더라."

사람이 자전거를 끌거나 타는 모습은 도무지 내키지 않고, 자전거만 달랑 골목길에 세워 둔 모습을 찍습니다. 자전거가 선 왼쪽 집이 동무녀석이 스무 해 동안 살던 골목집입니다. (인천 동구 만석동 골목길)
▲ 자전거와 골목길 사람이 자전거를 끌거나 타는 모습은 도무지 내키지 않고, 자전거만 달랑 골목길에 세워 둔 모습을 찍습니다. 자전거가 선 왼쪽 집이 동무녀석이 스무 해 동안 살던 골목집입니다. (인천 동구 만석동 골목길)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저녁나절, ㅈ당에서 사진찍기 모임을 하는 열두 분이 한꺼번에 도서관에 찾아옵니다. 아침 열 시 남짓부터 인천 골목길을 죽 돌아다니셨다고 합니다. 사진을 찍는다고 애 많이 쓰신다는 생각이 들고, 그렇게 걸어다녀야 골목을 알고 낮은자리 사람들 삶을 조금이나마 읽어내면서 사진에 어떤 이야기를 담을지를 헤아리게 될 테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북성동 중국인거리로 가신다고 하기에, 북성동3가에 자리한 우물터를 보여 드리고자 함께 움직이기로 합니다. 모두들 다리가 아프다고 하여 택시로 달려갑니다. 걸어가도 그리 멀지 않고, 택시를 타고 가 보니 길이 제법 막히고 택시기사가 부러 돌아가는 바람에(기본삯밖에 안 나오는 거리라), 더 볼 만한 골목 몇 군데를 지나치게 됩니다.

북성동사무소 앞에서 다시 만나, 동사무소 뒷길로 하여 '짜장면을 맨 처음 만든' 곳인 공화춘 옛 건물 앞에 섭니다. 인천까지 먼 나들이를 오신 분들이라 중국인거리에서 짜장면을 먹겠다고 하시니 공화춘 건물을 보여 드리는데, 이 건물은 1984년에 문을 닫은 뒤 스무 해가 지난 2006년에 문화재가 되었으나, 그동안 한 번도 손질이 되지 않아 그예 버려져 있습니다.

시에서는 자장면 박물관을 만든다며 몇 해 앞서부터 계획만 잔뜩 내놓고, 조각조각 떨어져 나가고 깨지는 간판이나 벽이나 유리창 들을 제대로 간수해 놓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공화춘 건물 앞에는 '문화재임을 알리는 푯말' 하나조차 없어, 중국인거리에 처음 오는 사람들은 '뭐 이런 다 쓰러져 가는 낡은 건물이 다 있어?' 하고 생각하기 일쑤입니다. 사진을 찍는 분들이 한 목소리로 '이만한 건물쯤 되면 제대로 보존하고 알려야 하지 않아요?' 하고 말씀합니다.

옳으신 말씀이고 올바른 생각이지만, 이 옳으신 말씀과 올바른 생각이 공직 사회 위쪽으로 가 닿지는 않고 있습니다. 중국인거리 패루 짓는 데에 몇 억을 쓰고, 뭐에 또 몇 억을 쓰고 하지만, 참 …….

우물자리를 찾다가 길만 헤맵니다. 다른 분들은 모두 밥집으로 들어가고, 혼자 북성동 골목을 더 돌면서 우물자리가 어디였던가 살펴봅니다. 어디였지, 어디였지, 혼자 생각하며 떠돌다가, 여기는 아닌 듯한데 하고 더 바깥으로 나가는데 왼쪽 골목으로 우물자리가 보입니다. 이런, 이쪽이었나? 가쁜 숨을 고르며 사진 두 장 찍습니다.

이제는 우물물 긷는 곳으로는 안 쓰지 싶습니다. 집집마다 수도물이 나오니까요. 그런데 이 우물터는 용케 헐리지 않고 고스란히 남아서, 골목 안쪽을 지켜 주고 있습니다. (인천 동구 북성동3가 골목길)
▲ 골목길 우물터 이제는 우물물 긷는 곳으로는 안 쓰지 싶습니다. 집집마다 수도물이 나오니까요. 그런데 이 우물터는 용케 헐리지 않고 고스란히 남아서, 골목 안쪽을 지켜 주고 있습니다. (인천 동구 북성동3가 골목길)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자주 다니는 길이면서도 때때로 헤매고, 늘 지나다니는 골목이면서도 곧잘 길을 잃습니다. 아침에 다니는 길과 낮에 지나는 길과 저녁에 거니는 길은 느낌이 다르고 둘레 모습이 다르기도 하지만, 오랜만에 다시 다니는 옛길이라 아직 몸에 익숙해지지 않습니다. 1994년에 떠난 뒤 2007년에 돌아와 열세 해 만에 차근차근 되밟고 있는 골목이라서, 옛 생각을 용케 해내 길그림책 없이 잘 찾아가는 때도 있으나, 영 갈피를 못 잡고 빙빙 돌 때도 잦습니다.

골목 삶터를 사진으로 담자면, 제아무리 제 고향동네라 하더라도 눈감고 더듬으면서도 몇 발자국을 디디면 어느 집이고 어느 길이고 어느 담벼락이고를 훤히 그려내야 함을 새삼 느낍니다. 문득, 아침나절 동무녀석이 "야, 나는 여기서 삼십 년 넘게 살면서도 요기 넘어를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어" 하고 꺼낸 말이 떠오릅니다. 자기 집 앞에서 공중화장실 쪽으로 가는 길과 학교로 나가는(동인천 쪽) 데로만 다니고, 만석동 안쪽 골목집들로 이어지는 길로는 갈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 어쩌면, 골목에 살면서도 골목 삶터를 찬찬히 읽어내거나 곰삭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지난주에 아기를 안고 일산 옆지기 식구들 집으로 가던 일을 떠올려 봅니다. 그때 우리는 아기 옷과 기저귀가 가득한 가방을 셋 지고 들고 하면서 길을 나섰는데, 전철역까지 가는 동안 골목길로 살짝 에돌아 가면서 다문 몇 장이나마 사진을 찍었습니다. 아기와 옆지기와 저 셋이 저잣거리 나들이를 갈 때에도 한손으로 아기를 안고 한손으로 사진기를 든 채 사진을 찍습니다. 길에서 스치는 이웃 동네 아주머니나 할머니들은 '저놈이 뭐하나?' 싶어 빤히 쳐다보다가도 아무 말씀을 않습니다. 한손으로 아기를 안으니 아기 허리가 휠까, 또는 떨어뜨릴까 걱정걱정 하면서 다른 한손으로는 사진기를 안 흔들리게 하려고 애쓰는데, 아기가 요리조리 몸을 틀거나 움직이면 사진도 흔들립니다. 가끔은 옆지기한테 아기를 안으라 맡기고 두 손으로 사진기를 쥐지만, 거의 언제나 한손 사진찍기를 합니다.

자전거를 타고 다닐 때에도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한손으로 사진기를 쥡니다. 내리막에서는 사진기를 안 들지만, 오르막에서는 어김없이 두 손을 나누어 자전거와 사진기를 붙잡습니다. 곰곰이 떠올려 보니, 지난날 자전거 몰며 신문배달을 할 때에도 오르막에서는 한손으로 자전거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바구니에서 신문 한 부 집어들어 허벅지에 탁탁 치면서 반으로 접고 다시 반으로 접어서 골목집 안마당으로 휙휙 던져넣을 수 있었으나, 내리막에서는 이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아기는 자기를 찍는 줄 알면 꼭 몇 초쯤 아빠를 빤히 바라다봅니다. 사진기를 들 때와 사진기를 들지 않을 때 몸짓과 얼굴이 제법 다르기에, 아기가 사진 찍는 아빠를 따로 알아보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 아기와 옆지기 아기는 자기를 찍는 줄 알면 꼭 몇 초쯤 아빠를 빤히 바라다봅니다. 사진기를 들 때와 사진기를 들지 않을 때 몸짓과 얼굴이 제법 다르기에, 아기가 사진 찍는 아빠를 따로 알아보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지난날 살아온 대로 오늘날을 살고 앞으로도 이처럼 살게 되는가 하고 생각하다가, 아기를 안고 사진찍기를 하는 지금 모습과 느낌을 아기는 어릴 때부터 몸으로 받아들이겠거니 생각하게 됩니다. 집에서 아기를 사진으로 담을 때, 아기가 '사진 찍는 아빠'를 알아보면서 몇 초쯤 멈칫멈칫 고 얼굴 고 모습 그대로 있어 주노라면, 이 아이가 앞으로 자라는 동안 지 아빠가 하는 일을 어떻게 받아들여 주려나 하고 깊이 돌아보게 됩니다.

좀더 느긋하게, 그러니까 아기와 옆지기는 집에서 쉬라 하고 혼자 나돌아다니며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이렇게 찍는 사진은 어쩐지 저한테는 즐겁지 않습니다. 비록 몇 장 찍기 어렵다고 하여도 아기를 안고 옆지기와 함께 골목을 거닐면서 찍을 때가 더없이 즐겁습니다. 어느 때에는 한 장도 못 찍고 집으로 돌아오곤 하는데, 이 때에는 사진기에 사진으로 담기지 못할 뿐이지, 우리가 돌아본 골목집과 골목길 느낌과 냄새를 가슴속으로 받아들였으니 이만큼으로도 즐겁습니다.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즐겁고,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이 즐겁습니다. 아기를 안은 손과 사진기를 든 손은 맨손이라 얼어붙어 있는데, 언손이 되어도 아기를 안고 사진기를 쥐고 하는 일을 놓지 못합니다. 장갑을 끼어도 나쁘지 않겠지만, 맨살로 아기 포대기를 안는 느낌과 장갑 낀 손으로 안는 느낌이 달라서 장갑을 안 끼게 됩니다. 사진기를 쥘 때에도 장갑 낀 손으로 쥐는 느낌과 맨손으로 쥐는 느낌이 사뭇 다릅니다. 날마다 빨래하고 밥하고 일하느라 손가락 그림이 닳거나 끊어지고 있어도, 손가락그림 작은 줄에 와닿는 느낌을 언제까지나 애틋하게 삭이고 싶습니다.

아기는 아무리 날이 추워도 꼭 손을 밖으로 내놓으려고 합니다. 장갑 안 끼며 사는 엄마와 아빠를 닮은 아기라서 그런지, 몇 번이고 손을 안으로 집어넣고 꽁꽁 감싸 놓아도 스스로 이리 꿈틀 저리 꼼틀 하면서 그예 손을 밖으로 빼내어 포대기를 붙잡거나 지 엄마아빠 머리카락이나 옷을 붙잡습니다. 가만히 보면, 애 아빠인 저는 맨손 살갗에 와닿는 느낌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장갑을 안 끼는데, 이런 삶이 아기한테도 이어지지 않느냐 싶기도 합니다.
▲ 손 내놓는 아기 아기는 아무리 날이 추워도 꼭 손을 밖으로 내놓으려고 합니다. 장갑 안 끼며 사는 엄마와 아빠를 닮은 아기라서 그런지, 몇 번이고 손을 안으로 집어넣고 꽁꽁 감싸 놓아도 스스로 이리 꿈틀 저리 꼼틀 하면서 그예 손을 밖으로 빼내어 포대기를 붙잡거나 지 엄마아빠 머리카락이나 옷을 붙잡습니다. 가만히 보면, 애 아빠인 저는 맨손 살갗에 와닿는 느낌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장갑을 안 끼는데, 이런 삶이 아기한테도 이어지지 않느냐 싶기도 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먼 뒷날, 아기가 자라 아이 앞길을 스스로 찾아나설 때, 지 아빠와 마찬가지로 사진쟁이 길을 걸을지 글쟁이 길을 걸을지 사진과 글을 함께하는 사람길을 걸을지, 동네 도서관 꾸리는 길도 걸을지 모르는 노릇입니다. 지 아빠와 엄마가 걷던 길이 싫어 홀로 박차고 나갈 수 있고, 지 아빠와 엄마가 걷던 길에서 몇 가지를 배워 아이 깜냥껏 새롭게 나갈 수 있습니다. 어느 쪽으로 걷든 아이 몫이니 아이가 알아서 하리라 봅니다.

다만, 아이가 아이 길을 찾아나서도록 돕는 몫이 저와 옆지기한테 있기에, 아이가 어릴 때부터 세상을 두루 맛보고 부대끼고 만날 수 있게끔 다리를 잘 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지식은 가르쳐도 지성은 못 가르친다'고 하지만, 우리 식구는 '지식은 가르칠 수 없고 지성 또한 가르칠 수 없지만, 지식을 스스로 얻도록 길동무가 되고, 지성을 스스로 갈고닦도록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아이한테는 더 많은 학원과 학교 교육보다, 더 많이 땅을 디디고 하늘을 껴안으며 뭇목숨과 어우러져야 하지 않느냐 싶어요.

우리 동네뿐 아니라 이웃 동네를 디디고, 우리 삶터가 '도시와 시골과 자연과 지구가 어찌 얽히며' 이루어져 있는가를 느끼게 해 주며, 사람은 사람대로 푸나무는 푸나무대로 짐승과 벌레는 짐승과 벌레대로 꾸밈없이 껴안고 같이 살아가는 님임을 깨닫도록 우리가 살아내야지 싶습니다.

사진찍기는 아이 아빠가 혼자서 좋아하며 하는 일일 수 있고, 밥벌이로 하는 일일 수 있으며, 사진책 도서관이라면서 꾸려내는 나눔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세상을 보는 눈일 수 있고, 사람들을 만나는 이음고리일 수 있으며,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목숨을 고맙게 느끼는 삶일 수 있습니다.

아기 기저귀를 빨면서 지겹거나 벅찬 적이 없기에, 이런 마음이 아기한테 고스란히 이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아빠 엄마가 먹는 밥을 하면서 귀찮거나 고달픈 적이 없기에, 이런 마음이 옆지기를 거쳐 아기한테 옮아간다고 생각합니다. 한손으로 아기를 안고 한손으로 사진기를 쥘 때 팔이 저리고 등이 휘지만 힘들거나 짜증난 적이 없으니, 이런 손길이 아기한테 살며시 스며든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좋아하는 두 사람이, 서로 좋아하는 책을 함께 고르려고 책방 나들이를 합니다. 사랑하기에 찾아서 읽는 책이고, 사랑하기에 스스로 즐기는 사진이라고 느낍니다. 우리 아기도 하루하루 무럭무럭 자라면서 자기가 사랑할 무엇인가를 알뜰히 찾아내고 받아들이면서 오래오래 즐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인천 배다리 헌책방 〈아벨서점〉)
▲ 책사랑을 함께 서로 좋아하는 두 사람이, 서로 좋아하는 책을 함께 고르려고 책방 나들이를 합니다. 사랑하기에 찾아서 읽는 책이고, 사랑하기에 스스로 즐기는 사진이라고 느낍니다. 우리 아기도 하루하루 무럭무럭 자라면서 자기가 사랑할 무엇인가를 알뜰히 찾아내고 받아들이면서 오래오래 즐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인천 배다리 헌책방 〈아벨서점〉)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그래서 저는 사진은 사랑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를 사랑하고 내 동무와 옆지기를 사랑하며 내 이웃과 겨레를 사랑하는 사진이라고 생각합니다. 내 목숨을 사랑하고 내 삶터를 사랑하며 내가 디딘 이 터전에서 함께 목숨을 잇는 모두를 사랑하는 사진이라고 생각합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작은자전거 : 인천+부천+수원 자전거 사랑이] http://cafe.naver.com/inbusu



태그:#사진, #사진말, #사진찍기, #사진가, #골목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