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혼탑에 참배하는 구충곤 전남도의원과 박광재 화순군의원.
 충혼탑에 참배하는 구충곤 전남도의원과 박광재 화순군의원.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항일애국지사 해석 김용상(海石 金鏞相, 1858~) 선생과 송정 김영하(松亭 金榮夏, 1872~1921) 선생의 충혼탑이 도암면 도장마을에 세워졌다.

김용상 선생과 김영하 선생은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출신으로 숙질(叔姪) 지간이며 스승과 제자 사이다.

65호 100여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도장리 마을의 두 분 선생 생가터에는  후손들이 새로 집을 지으면서 원래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김용상 선생의 생가터에는 손부 정석순(71)씨가 홀로 터를 지키고 있고 손녀 김금순(74)씨가 인근 용강리 마을에, 김옥순(70)씨가 나주시 금천면에 생존해 있다. 김영하 선생에게는 김성인 민주평통화순군협의회장의 넷째동생인 김현식(경기도 거주)씨가 손자로 있다.

김용상 선생의 손부가 살고 있는 생가터(파란대문집)
 김용상 선생의 손부가 살고 있는 생가터(파란대문집)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대부분의 항일운동가들이 그렇듯 김용상 선생이나 김영하 선생에게도 직계자손이 없다. 생존해 있는 자손들은 가문을 잇기 위해 양자로 들인 후손들이다.

김용상, 김영하 선생은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한일합방이 되면서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하자 전재산을 항일운동을 위해 내놓고 애국단체를 구성, 일제에 항거하다 밀고자에 의해 체포, 고문에 의해 사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용상 선생은 경향의사단을 조직, 전재산을 국권회복헌금으로 내놓고 군자금을 모아 광복군과 의병을 돕다가 체포, 징역 8월을 선고받고 광주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출옥한지 3일만에 고문의 여독으로 사망했다. 후손들의 노력으로 2003년 독립의사 대통령표창이 추서됐다.

김영하 선생은 양재 김교탁 등과 함께 지하비밀독립운동단체인 광복단을 조직, 전재산을 애국헌금으로 내놓고 도내 부호들로부터 군자금을 모아 광복군과 의병을 돕다가 능주헌병대에 체포, 징역10년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대구형무소에서 옥중사망 했다.

이후 후손들의 노력으로 1980년 독립의사 건국포장이,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김석주 문중 순국순절비 건립 추진위원장
 김석주 문중 순국순절비 건립 추진위원장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김영하 선생과 달리 김용상 선생은 기록이 소실돼 업적을 인정받는데 어려움이 많았지만 진주김씨 순절비 건립추진위원장인 후손 김석주씨의 10여년에 걸친 노력에 의해 업적을 인정받았다.

김석주씨는 “항일운동을 펼쳤던 김용상 선생이 기록상에 사기죄로 복역한 것으로 되어 있어 업적을 인정받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며 “기록소실이나 엉뚱한 죄목으로 기록돼 업적을 인정받지 못하는 애국지사들의 공적을 밝히는 일에 후손들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충혼탑 건립은 김영하 선생에 이어 김용상 선생의 업적이 인정돼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003년 문중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순국순절비’ 건립을 위한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석주)가 구성됐고 화순종중과 화순군사회단체가 동참하면서 2005년 충혼탑건립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영복)가 구성됐다.

화순군사회단체들이 동참하면서 화순군에서도 4천만원의 예산을 지원, 문중에서 마련한 성금 등을 보태 생가터 인근의 빈집을 매입, 충혼탑이 건립됐다.

충혼탑 제막식.
 충혼탑 제막식.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5일 오전 11시에 열린 충혼탑 제막식에는 이영복 추진위원장과 진주김씨문중, 구충곤 전남도의회의원, 박광재 화순군의원, 문병민 광주지방보훈청장, 조성인 광복회 광주전남연합지부장, 문인수 화순부군수, 김판일 도암면장 등 관내 기관사회단체장과 주민 등이 참석했다.

이영복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후손이라면 선조의 아름다운 행적을 알고 전해야 한다”며 “충혼탑이 나라를 잃은 설움을 알지 못하는 후손들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성인 지부장도 축사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김용상 선생과 김영하 선생의 공훈과 애국충정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영복 충혼탑 건립 추진위원장.
 이영복 충혼탑 건립 추진위원장.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충혼탑 제막.
 충혼탑 제막.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충혼탑이 세워진 화순군 도암면 도장마을.
 충혼탑이 세워진 화순군 도암면 도장마을.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충혼탑에 참배하는 홍기평 능주향교 전교.
 충혼탑에 참배하는 홍기평 능주향교 전교.
ⓒ 박미경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남도뉴스와 SBS유포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화순, #충혼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어떤 사항에 대해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고 이야기하고 싶고 글로 남겨 같이 나누고싶어 글 올립니다. 아직 딱히 자신있는 분야는 없지만 솔직하고 공감이 가는 이야기를 쓰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