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만금 8월 18일~8월 27일 총 거리 115.4km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새만금은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군, 부안군의 1시, 2군에 걸쳐져 있는 거대한 습지대이다. 그러나 1991년부터 농지확대, 관광시설, 공업구역 확보를 목적으로 대규모적인 간척사업이 개시되어 우여곡절 끝에 2006년에 전장33km의 방조제가 완성, 그 사업에 대한 반대운동 등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장소이다.

새만금 사업 현황
 새만금 사업 현황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그 장소를 7일간에 걸쳐서 한국 분들과 걸을 수 있었다.
많은 간석지가 말라붙고 잡초가 뒤덮이고 곳곳에 죽은 조개, 게 등 간척공사의 비참함을 눈앞에서 보게 되었다.

대초도에서
 대초도에서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이 간척사업에 따라 많은 생물이 모습을 감추고 뉴질랜드, 호주에서 건너온 철새의 급격한 감소,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사람들의 피해・수산물 어획을 할 수 없게 되어 도회지로 이주한 사람들, 생계를 위해 잡일을 하는 등, 걸으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렸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피해는 막을 수 없다. 방파제 건설 때문에 새만금 주위에 서식하는 새, 남측에 위치한 해안의 불가사의한 쓰나미, 염분이 포함된 모래바람으로 다른 주위 농지에도 피해가 간 것도, 주위의 사람들에게 들은 이야기였다. 

대초도에서
 대초도에서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대초도에서
 대초도에서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환경파괴, 또 피해상황에도 불구하고, 새만금 그리고 그 주위에는 아직 많은 자연이 살아있으며, 그 환경에서 생식하는 다양한 생물, 그리고 이것을 먹이로 먹기 위해 날라오는 새들이 있다. 또한, 철새 들도 많이 변화된 모습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계화에서
 계화에서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많은 한국인들이 새만금이 겪은 많은 경험을 통해, 새만금을 사랑하며 새만금을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지금도 자연이 남긴 새만금을 반드시 예전 모습 그 이상의 훌륭한 모습으로 되돌리려 노력하고 있다.

일해옥에서
 일해옥에서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물고기 수확을 할수없게 되어 생계를 위해 풀 베기를 하는 마을 사람들
 물고기 수확을 할수없게 되어 생계를 위해 풀 베기를 하는 마을 사람들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옛 염전이 있었던 곳
 옛 염전이 있었던 곳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 미야타 유지

관련사진보기



태그:#새만금 , #새만금 찾기, #자연
댓글

"자연과 공존하는 초록의 길에서, 지구 그리고 당신과 함께합니다" 8만회원, 54개 지역환경연합, 5개 전문기관, 8개 협력기관으로 구성된 환경운동연합은 전국 환경 이슈의 현장 속에, 그리고 당신의 생활 속에 언제나 함께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