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노총 소속 노동자들이 산재로 사망한 전 세계 노동자들의 추모 행사를 열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위원장 이석행)은 28일 저녁 7시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산재로 죽어간 세계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4·28 세계 산업재해 사망 노동자 추모 촛불문화제'를 개최했다.

 

이날 발언을 한 김지희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2008년은 노동자 건강권 운동이 시작된 지 20주년 되는 해이다"라면서 "모든 노동자가 건강하게 일할 수 있고, 산재 없는 사회를 위해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형근 전국민간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이하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고객 서비스를 이유로 서비스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무차별 장시간 노동이 산업재해의 요인"이라며 "오래 서서 일하다 보니 정맥류가 튀어나오는 일도 허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궁현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이하 건설연맹) 위원장은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산재들은 대부분 자신의 이익만 챙기기 위해 살인행위를 시키는 자본에 있다"면서 "산업재해로 건설노동자들을 죽게 하는 자본가들을 과실치사 등 살인행위로 반드시 처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민정 서비스연맹 여성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산재노동자 추모제 및 문화제에서는 민주노총 조합원 및 간부 35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한손에 촛불을, 또 다른 손에는 풍선을 흔들며, 산재 사망노동자들을 추모했다. 이날 꽃다지의 노동가요 공연도 펼쳐졌다. 저녁 9시경 모든 행사를 마무리했다.

 

민주노총은 4월 노동자건강권 쟁취의 달을 맞아 지난 21일부터 28일까지 건강권 확보를 위한 대국민 선전 전국순회 투쟁을 진행했다. 민주노총 전국순회투쟁단은 지난 4월 21일 울산 전국순회 선포식을 시작으로 포항, 창원, 여수, 광주, 대전, 이천, 인천을 거쳐 28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 도착해 산재노동자 추모식 및 문화제에 합류했다.

 

한편, 4월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자건강과 관련한 행사가 열린다. 4월 28일이 '세계 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이기 때문이다.

 

1993년 4월 28일 태국의 한 장난감 회사에서 화재가 발생해 188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날을 잊지 않기 위해 전 세계 노동조합들은 매년 4월 28일 촛불을 밝히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해 추모의 날이 시작됐다.

 

이날을 전후해 세계 각국에서는 산업재해의 문제를 점검하고, 국가와 노사의 역할을 의논한다. 민주노총 또한 4·28 추모제를 전국에서 개최해, 4월 한 달을 노동자건강권 쟁취 투쟁의 달로 지정, 노동자건강과 안전의 문제를 한국사회에 집중 제기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4·28 세계 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The International Commemoration Day for Dead and Injured Workers)의 의미를 되새겨보면, 1993년 5월 태국 케이더(Kader) 장난감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188명(이 가운데 174명이 여성노동자)이 목숨을 잃었다. 이 사건은 '선진국 어린이들의 꿈이 담긴 장난감을 만드는 과정에 개발도상국 노동자의 피와 죽음이 묻어있다'는 현실을 각성하게 됐다.

 

1996년 4월 28일 미국 뉴욕의 유엔회의장 앞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위원회(Committee on Sustainable Development)' 회의에 참석했던 국제자유노련 각국의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산재사망 노동자들을 위한 촛불 집회를 개최한 이후, 산재사망의 심각성을 알리고, 전 지구적으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촉구하기 위해 매년 공동의 행사를 기획하게 된 것이 4월 28일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이다.

 

1996년 첫 행사가 개최된 이후, 국제자유노련(ICFTU)과 국제노동기구(ILO)가 이날(4월 28일)을 공식적인 추모의 날로 제정해 현재 110개국 1만 건 이상의 다양한 직접 행동과 행사를 벌이는 공동 행동의 날이 됐다. 놀라운 것은 13개국은 국가가 지정한 공식적인 기념일이 됐다(아르헨티나, 벨기에, 버뮤다, 캐나다, 브라질, 도미니카공화국, 룩셈부르크, 파나마, 페루,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대만).

 

한국은 지난 1988년 7월 2일, 당시 15살 노동자 문송면 군이 수은중독으로 숨지고, 원진레이온 사건이 사회화되면서 노동자의 안전과 작업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싹텄다. 그 후 1990년부터 민주노조운동이 산업재해, 노동자건강과 안전에 관한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면서 1990년 7월을 '산재추방의 달'로 정하게 된다. 민주노총은 2002년부터 4월을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의 달로 정해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4월 28일은 죽은 자를 기억할(Remember the Dead)뿐 아니라, 산 자를 위해 투쟁(Fight for the Living)하는 결의를 다지는 날로서, 전 세계 노동자의 생명의 존엄성을 재확인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태그:#세계 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 #민주노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미디어에 관심이 많다. 현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