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나라당이 총선 공약을 발표하면서 쟁점을 피해가기 위해 대운하 공약을 제외하고도 금강운하 계획을 충청권 공약에 교묘히 끼워 넣기해 논란이 예상된다. 

 

한나라당 정책위원회는 27일 오전 대전시당에서 강재섭 대표, 안상수 원내대표, 이한구 정책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하고 대전·충남북 충청권 지역공약을 발표했다.

 

문제는 공약내용에 '금강 뱃길 복원사업'이 들어 있는 것. 한나라당 정책위원회는 이와 관련 "금강은 자연 하천 원형 그대로 활용 가능하며 대청댐으로 인해 풍부한 수운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며 "내륙교통망과의 연계성, 양호한 뱃길 등 내륙항으로서 입지조건이 우수해 낙후된 충청권 경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자를 유치, 금강의 옛 뱃길을 복원해 수질개선 및 생태계 보전사업을 통한 친환경생태하천을 조성하고 중부 광역경제권의 중심내항으로 집중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또 "내항 관련 산업과의 연계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금강 뱃길 복원사업'은 기존 금강운하 건설사업의 또 다른 표현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환경단체 "금강운하, 교묘히 끼워 넣기 술수"

 

 

이에 대해 대전환경운동연합 김종남 처장은 "금강을 광역경제권의 중심내항으로 개발하고  내항관련 산업과 연계하기 위해 금강 뱃길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갑문과 댐 설치가 불가피하다"며 "이는 명칭만 교묘히 바꾼 금강운하 건설계획에 다름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말 뱃길복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군산-서천 앞바다에서 부여까지 밀물과 썰물에 의한 자연의 물길을 복원하는 것"이라며 "대청댐 물을 끌어다 유량을 확보하겠다는 발상은 당초 구상인 금강운하를 만들겠다는 얘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처장은 "이는 한나라당이 금강운하를 포기하지 않았음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민을 기만하는 끼워 넣기 술수를 그만 두고 정정당당히 금강운하를 놓고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 심판을 받으라"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해 대선 예비 후보 자격으로 대전을 방문한 자리에서 충청권 공약으로 충남 연기 행정도시에서 서천 금강 하구둑까지 약 120km에 운하를 건설해 관광과물류의 핵심기지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은 대전과 충남, 충북, 전북 익산·군산의 총선후보자 134명에게 금강운하에 대한 찬반 여부와 의견을 묻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태그:#금강운하, #총선, #한나라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