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위원장 이경숙·이하 인수위)가 언론사 간부들과 주요 광고주에 대한 성향 조사를 한 것에 대해 이명박 당선인이 나서서 '절대 불가' 방침을 천명했지만 파문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은 13일 오전 10시 서울 삼청동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1차 업무보고를 듣기 전에 이번 사건을 언급하면서 "차기 정부에서 그런 일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 당선인은 "진상이 밝혀졌다고 하고, 좀더 알아봐야겠지만 (인수위의 업무 중) '옥에 티'라고 생각한다"고 이번 사건에 대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이 당선인은 또한 "고의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그런 사고를 가진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언론사 간부들의 성향을 개인적 용도로 조사한 것으로 밝혀진 사회교육문화분과의 한 전문위원을 꼬집은 말이다.

 

이 당선인은 "차기 정권 5년은 생각의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며 "아무리 열심히 한다고 해도 방향을 잘못 정하면 사고가 난다"고 강조했다. 이 당선인은 "예민한 언론 문제를 보고하라는 것은 차기 정권에 맞지 않는 사고"라며 "맞지 않는 사람이 인수위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금치 못 한다"고 질타했다.  
 
인수위, 후속 보도에 정정 요청..."정정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 검토"

 

이 당선인이 직접 나서 '프레스 프랜들리(언론 친화적)' 입장을 강조했지만 이번 파문은 일부 언론의 후속 보도로 이어지면서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노컷뉴스>는 이날 "인수위의 언론사 간부 성향조사에 문화관광부 파견 공무원 외에 또 다른 인수위 전문위원이 간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문광부에서 인수위로 파견된 한 전문위원의 개인적 돌출행동"이라는 인수위의 해명을 뒤집은 것이다.

 

이 매체는 이 당선인 비서실 인사의 말을 인용해 "인수위가 언론사 간부 성향을 조사한다는 보도가 나온 뒤 진원지를 파악할 결과 인수위 사회교육문화분과의 한 전문위원이 (문과부에서 인수위로 파견된) 박아무개 전문위원에게 조사를 지시했다는 정황이 나왔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당선인 비서실이 자체 경위 파악에 나선 만큼 이번 사안을 주도한 박 전문위원과 또 다른 전문위원 등 관련자들을 상대로 한 진상조사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인수위가 설득력이 떨어지는 해명을 내놓은 뒤 서둘러 파장 진화에 급급한 것도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인수위는 이같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박정하 부대변인은 오전 11시 기자실을 찾아와 "1차 조사 결과 (노컷뉴스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해당 언론사에 정정 보도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박 부대변인은 "만약 보도가 정정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까지 검토중"이라며 "너무 앞서가는 보도는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인수위는 전날(12일) <경향신문>의 첫 보도가 나간 뒤 이경숙 위원장이 직접 나서서 "이 당선인과 국민께 죄송하다"고 공개 사과했고, 자체 진상 조사를 통해 "부처에서 인수위에 파견된 한 전문위원의 개인적 돌출행동이었다"고 해명했다.


태그:#언론인 성향파악, #이명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