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ㄱ. 읽으려고 사는 책

 

 제 일터인 도서관을 찾아오는 책손 가운데 “책 많이 모으셨네요?” 하고 여쭙는 분이 있고, “모은 책 다 읽으셨어요?” 하고 여쭙는 분이 있습니다. 이럴 때면 으레 “읽으려고 산 책이에요” 하고 대꾸를 하고 “사 놓고 바로 읽어야만 하지는 않아요. 한두 해쯤 지나서, 또는 열 해쯤 지나서 읽어도 좋아요. 사서 바로 읽는다고 해서 그 책에 담긴 뜻과 줄거리를 오롯이 헤아린다고 볼 수 없거든요. 사 놓은 그 책을 열 해쯤 뒤에 읽고서 비로소 깨달을 수 있고, 몇 차례 거듭 읽은 끝에 서른 해 뒤에 깨달을 수 있는 한편, 열 번 스무 번을 읽었어도 죽는 날까지 그 책에 담긴 고갱이 가까이 못 다가가기도 해요” 하고 덧붙입니다.

 

“교보문고에 가서 ‘이야 책 많네!’ 하고 말하지는 않잖아요. 헌책방에서든 도서관에서든 마찬가지라고 느껴요. 그곳에 책이 많으냐 적으냐에 눈길을 두기보다는, 이곳에서 내 마음을 적셔 줄 책으로 무엇이 있을까, 내 마음을 움직일 책 하나를 찾아야지, 하는 생각에 마음을 두면 좋겠어요” 하는 말도 덧붙여요.

 

우표를 모으듯 책을 모으는 사람도 있을 테고, 인형을 모으듯 책을 모으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러면, 책은 ‘모아서 어디에 쓸모가 있을’까요. 모은 책으로 사람들 앞에서 ‘나 이렇게 좋은 책 많소!’ 하고 자랑을 할 때? 인터넷으로 책방을 열어 장사를 할 때?

 

 “책을 몇 권쯤 모으셨어요?” 하고 여쭙는 분들한테는 “한 권 두 권 사서 읽다 보니까, 이렇게 모이더라구요. 사서 읽은 뒤 파는 책이 있고 동무들한테 선물하기도 해서, 몇 권이 있는지 몰라요. 저한테 책이 몇 권 있는지 세어 보는 일은 중요하지 않아요. 제가 어느 갈래 지식을 얼마만큼 머리속에 가두어 두고 있는 일이 그 갈래를 제대로 아는 일이 아닌 만큼, 제가 책을 몇 권 갖추고 있다는 일이 제가 그 책들을 사랑하거나 아끼는 일이 아니라고 느껴요. 또한 늘 새로운 책을 꾸준하게 사서 읽고 책꽂이에 꽂아 두고 있으니까, 지금은 몇 권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 몰라도, 바로 하루만 지나도 숫자가 바뀌어요. 한 해가 지나면 크게 바뀌겠지요. 그러면 그 숫자들은 우리가 책을 잘 읽거나 새기고 있음을, 또는 책을 읽어서 얻은 깜냥을 잘 곰삭이고 있음을 얼마나 제대로 보여줄까요?” 하고 되묻곤 합니다.

 

고개를 숙인다는 ‘익은 벼’는, 누구한테나 밥이 되어 줍니다. 넉넉하게 배를 채워 줍니다. 다부지게 일하거나 놀거나 어울릴 힘을 선사합니다. 익은 벼는 제 몸을 바쳐 다른 목숨들한테 새삶을 건네주며 자기는 조용히 스며듭니다. 우리가 읽는 책은 어디로 어떻게 얼마만큼 스며들고 있을까요.

 

 

ㄴ. 좋은 책 추천 안 하겠습니다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이나, 요즘 사람들한테 추천할 만한 책이 있으면 한 가지 이야기해 주셔요” 하고 묻는 분이 곧잘 있습니다. 이런 물음에는 으레 싱긋 한 번 웃은 뒤, “하나도 없네요” 하거나 “하나도 생각 안 나요” 하거나 “글쎄요” 하고 대꾸합니다. 제 대꾸를 듣는 분들은 저으기 놀라실까요. 저로서는 ‘좋은 책 하나 골라서 소개해 달라’는 물음이 참참참 어렵고 답답하답니다. 세상에 우리 마음과 삶을 가꾸고 살릴 수 있는 책이 얼마나 많은데, 그 많은 책을 스스로 하나하나 찾아서 읽을 생각은 못하며 ‘자기 몸은 안 움직이고 대신 움직여 달라’니요. 배고픈 사람이 스스로 쌀을 일고 씻고 안쳐서 밥을 해 먹어야 하듯이, 마음고픈 사람이 스스로 돈을 모아(일을 해서) 책방 나들이를 떠난 다음 책꽂이와 책시렁을 차근차근 둘러보며 마음에 밥이 될 책을 찾아서 사 읽어야 된다고 느껴요.


그렇지만 제 까칠한 대꾸를 들으면서도 “그래도 여태껏 책 많이 읽으셨을 텐데, 한 권쯤 기억나는 책이 있지 않아요?” 물으시면, 제 가방에 있거나 책상에 올려진 책을 슬쩍 보면서 이야기합니다. 제 책상머리 책이 언제나 그때로서는 하느님이거든요. 오늘은 제 책상에 <후지무라 미치오-청일전쟁>(소화,1997)이 올려져 있습니다. 청일전쟁이 일본 사회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떻게 영향을 끼쳐서 오늘날에 이르는가를 살핀 조그마한 논문.


그러고 보면, 우리들은 날마다 밥을 먹고 반찬을 먹지만, 몸소 논밭을 일구어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사람이 몹시 드뭅니다. 몸소 논밭 가꾸기를 안 하고 사서 먹는다고 해도, 쌀과 푸성귀와 물고기와 뭍고기 들을 손수 다듬고 익혀서 먹는 사람조차 퍽 드뭅니다. 부모님과 사는 분들은 어머님이, 혼인해서 사는 분들은 여자 쪽에서 밥상을 차립니다. 더구나 나날이 바깥밥 사먹는 분이 늘고 스스로 밥상을 차리는 사람조차 줄어요. 피자며 통닭이며 짜장면이며 국수며 돈까스며 …… 전화 한 통에 뾰로롱 달려와 갖다 바칩니다. 먹고 남은 것은 주마다 쓰레기차가 와서 거두어 갑니다. 형편이 이러하다 보니, 몸을 가꾸는 밥을 제 스스로 제 몸을 살피며 알뜰히 마련하는 문화란 사라지거나 옅어져요.

 

그래, 몸을 제 스스로 가꾸지 못하는 삶이다 보니까, 제 몸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느끼지 못하는 삶이다 보니까, 제 마음이 어떤지 헤아릴 수 있는 사람도 줄겠지요. 제 마음을 느끼고 살피면서 가꾸려고 하는 사람도 줄고요. 제 마음을 사랑하고 돌보며 고이 껴안는 가운데 이웃사람 마음을 따스하거나 넉넉한 품으로 어루만질 수 있는 사람 또한 자취를 감추지 싶습니다. 이런 세상이라면, 두 다리를 움직여 찾아가는 책방 문화란 발붙일 수 없구나 싶고, 인터넷으로 목록 죽 뒤져서 주문하는 경제논리만, 두고두고 읽는 책이 아니라 그때그때 유행 따라 읽어치우는 책만 잘 살아남고 두루 사랑받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 <시민사회신문>에 함께 보내는 글입니다.
- 인터넷방 <함께살기 http://hbooks.cyworld.com> 나들이를 하시면 여러 가지 우리 말과 책 이야기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책읽기, #책추천, #책이 있는 삶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