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선거 당락과 관계없이, 자택을 제외한 전재산을 헌납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명박 후보의 재산 대부분은 대지와 건물입니다. 이명박 후보 본인 명의의 서초동 영포빌딩과 대명주빌딩, 양재동 영일빌딩을 헌납하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공개된 이명박 후보의 재산내역에 따르면, 이 3개의 빌딩을 합친 가격은 총 278억 2516만 8천원입니다.

이에 대한 타후보 진영의 반응이 특히 재밌는데,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측 최재천 대변인은 "도곡동 땅 매각대금과 다스 소유 문제 등 이 후보의 '차명재산'이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면서 "이 후보의 '재산환원'은 선관위에 신고된 '위장재산'으로 '은닉재산'을 보호하는 '위장환원'에 불과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사실, 그동안 이명박 후보는 친형 이상은씨 명의였다던 '도곡동 땅'과 자동차시트제조업체인 '다스(옛 대부기공)', 그리고 BBK투자자문의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검찰조사에 따라 '무혐의'라는 결과가 나왔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이 상황에서 이명박 후보의 재산문제에 관한 옛 기사들을 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검찰이 '무혐의' 처분을 내린 이유는 대체로 "증거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언론의 보도기사도 '간접적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최소한 "증거가 없다"는 검찰에 판단근거를 제공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이명박 후보의 재산문제에 대해 이명박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보수언론도 과거에는 세밀하게 보도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파문을 일으킨 이명박 후보

먼저,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이명박 후보가 공개한 재산내역부터 확인해봅시다.

"◎총6,232,400,932원
▲본인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 327.59㎡ 981,619,920원 (처와 공동명의) △부동산 서초구 양재동외 1건 5,051,681,012원 △회원권 3건 113,100,000원 △자동차 그랜저·소나타 13,000,000원 △예금 73,000,000원" -<한겨레> 1993년 3월 27일자 12면 기사 <이명박 전국구(민자의원­당무위원 재산공개 내용)>

하지만, 곧 파문이 일어납니다.

"전 현대건설 회장 이명박 의원의 경우도 강남의 '금싸라기' 땅을 공시지가의 절반수준으로 축소해 신고했다. 이 의원은 서울 서초동 1717­1 대지 등 3필지 2천6백36.6㎡를 ㎡당 2백44만원씩으로 계산해 총 64억원(공사비 미지급금 포함)으로 신고했으나, 이 땅들의 평균 공시지가는 ㎡당 5백65만원으로 공시지가로만 계산해도 이곳의 땅값은 신고액의 두배가 넘는 1백48억7천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또 빌딩이 들어서 있는 서초동 1709­4 땅 3백77평의 금액을 전세보증금 32억9천만원을 뺀 5억5천만여원으로 신고했으나, 공시지가를 적용해도 땅값만 64억8천만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 1993년 3월 23일자 15면 기사 <공시지가 보다도 낮아 "아연"/김영광·이명박·김문기의원>의 일부

<동아일보> 기사 화면 캡쳐
 <동아일보> 기사 화면 캡쳐
ⓒ 박형준

관련사진보기



"또 이명박 의원이 노른자위 땅인 서울 서초동 소재 대지 3백77평, 연건평 1천7백56평의 빌딩을 정확한 번지수도 밝히지 않은채 기준시가 및 시가로 5억5천7백만원이라고 신고하자 당내에서는『눈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고 노골적으로 비난하고 있다. 당에는 『지금 당장 10억원을 내놓을테니 그 땅을 사자』는 비아냥 전화가 빗발쳤고 동료의원들조차 『부끄러워 말을 못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아일보> 1993년 3월 23일자 3면 기사 <민자 재산공개」 정가반응>의 일부

"▷이명박의원◁
TV드라마 「야망의 세월」 주인공 중 한사람으로서 전문경영인 출신의 이의원이 민자당 의원중 11번째 재산가로 밝혀지자 세간에선 그의 재산형성과정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게 사실이다. 평생을 현대라는 기업체에서「월급쟁이」생활을 한 데다 유산이라고는 손톱만큼도 없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의원이 공개한 재산총액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소재 건물및 대지 44억6천만원,서초구 양재동 건물 및 대지 5억9천만원, 강남구 논현동 주택 9억8천만원등을 합쳐 62억3천여만원이다. 기준시가 및 시가로 부동산값을 평가, 건물 전세보증금과 공사비 미지급금 78억7천여만원을 빼고 계산한 액수다.


3개 부동산중 양재동땅은 지난 72년 현대건설 상무시절 3백10만2천원어치의 지하철공채를 샀다가 2년뒤인 74년 12월 공채만기시 현금대신 체비지로 받은 것이라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또 가장 큰 부동산인 서초동땅의 경우 지난 76년 6월 현대건설 부사장이었을 때 사우디대형항만공사를 수주한 공로로 회사에서 지급한 특별상여금 3천만원 중 약2천5백만원을 들여 구입했다는 주장이다.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는 오해와 투기의혹을 받지않기 위해 1년여 전부터 서초동땅을 팔려고 내놓았으나 평당 9백만원에도 나가지 않고 있다』고 말한 이 의원은 순수한 동기로 땅을 구입,십수년간 변동없이 본인명의로 갖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의원의 설명이 사실이라면 강남지역의 땅값폭등으로 가만히 앉은 채 15년사이에 재산이 2백배로 불어난 셈이다.

그러나 현대측에서는 그의 재산이 밝혀진 것뿐이겠느냐며 축재과정에 대해서도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특별취재반>" <세계일보> 1993년 3월 24일자 4면 기사 <"내재산 이렇게 모았다"… 「물의 4인」의 라이프스토리>의 일부


그러면서, 당시 이명박 의원이 재산공개 6일 전에 강남 일대의 80평 아파트를 서둘러 처분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명박 의원은 민자당 의원들의 재산을 공개하기 6일전인 지난 16일 지난 80년 구입한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76동 401호 80평형(시가 12억∼13억원 상당)을 도모씨 명의로 소유권을 이전등기했다. 이 지역 부동산업소에 따르면 이 의원의 아파트는 지난해부터 팔려고 내놨으나 그동안 부동산거래의 침체로 팔리지 않았다는 것.


그러던 중 재산공개 이틀전인 지난 20일 의원의 부동산관리인이 매물을 내놨던 부동산업소들에 『아파트가 팔렸으니 신경쓰지 말라』는 내용의 전화를 걸어왔다는 것. 부동산업자들은 『매물을 내놨다 팔렸다고 통지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일로 내부자 거래나 명의신탁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지난해부터 아파트를 처분하려 했으나 전세인이 퇴거를 거부, 매매가 늦어졌다』며 『재산공개와는 관계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 아파트는 이 의원의 재산공개목록에는 포함돼 있지 않다." -<동아일보> 1993년 3월 26일자 23면 기사 <재산공개전 서둘러 처분/민자의원>의 일부

그리고, 놀랍게도 "도곡동 땅은 이명박 의원의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 세계일보

관련사진보기


"◎천3백여평 처남명의로 등기/공개전 아파트처분… 매각대금 신고 누락국회의원재산공개에서 총재산이 62억3천2백40만원이라고 신고한 민자당 이명박 의원(52·전국구)이 85년 현대건설사장 재직 때 구입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시가 1백50억원 상당의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한 사실이 26일 밝혀져 이번 재산공개에서 고의로 누락시켰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의원은 현대건설사장에 취임한 77년부터 서울 강남개발 붐이 시작되자 회사차원의 부동산투자를 해오다 85년부터 강남구 도곡동 165일대 현대체육관 인근 나대지 1천3백13평을 개인적으로 구입,부인 김윤옥씨(46)의 동생 재정씨(44·우방토건대표·강남구 논현동35) 명의로 등기해 놓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의원은 85년 5월15일 도곡동 163의4 2백66평과 164의1 6백57평,164의2 2백95평 등 1천2백20평을 전모씨(51)로부터 구입, 토지대장에 김재정 외 1인으로 소유권 등록을 했으며 같은해 6월5일 169의4 93평을 현대건설로부터 소유권이전하는 등 현대종합체육관 옆 나대지 1천3백13평을 사들여 「김재정」 또는 「김재정외 1인」의 명의로 소유권을 이전했다.


이들 나대지는 지목이 답으로 되어 있는데도 공시지가는 평당 5백61만∼1천2백30만원으로 평가될 정도로 요지에 위치하고 있다. -<세계일보> 1993년 3월 27일자 23면 기사 <이명박 의원 150억대 땅 은닉/도곡동 “금싸라기 땅”…현대사장 때 매입>의 일부

<경향신문> 7월 2일자 기사 <李처남 47곳 땅 224만㎡ 매입…개발 수혜지 많아> 기사
 <경향신문> 7월 2일자 기사 <李처남 47곳 땅 224만㎡ 매입…개발 수혜지 많아> 기사
ⓒ 박형준

관련사진보기



그로부터 석달 뒤, 이명박 의원은 서초동 일대의 땅을 공시지가 절반 가격에 매각합니다.

"◎4백70평 서울변협과 계약/“재산 재공개에 대비” 구설수 지난 3월 재산공개 당시 부동산 투기시비를 불러일으켰던 이명박 민자당 의원의 서울 서초동 땅이 서울지방변호사회에 팔렸다. 서울지검 청사 바로 앞에 있는 문제의 땅은 서초동 1718의 1,1718의 2 약 4백70평으로 공시지가는 평당 2천4백만원. 서울변협은 재산공개 파동이후 이 땅의 매입을 추진, 지난달 말 평당 1천2백75만원에 계약을 체결했다. 서울변협은 21일 임시총회에서 이 계약을 최종 승인했다.



한편 이 의원측은『이 땅은 지난 73년 서울시로부터 불하받은 것으로 지목이 주거용으로 돼있어 인근 상업지역과는 달리 시가가 평당 1천2백여만원선』이라며 『재산 재공개를 앞두고 헐값에 팔았다는 얘기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변협은 이 땅에 지상 5층 지하 4층 규모의 새 회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동아일보> 1993년 6월 23일자 30면 기사 <이명박의원 서초동 땅/공시가의 반값에 매각>

전국건설노동조합연맹은 이명박 의원에게 크게 반발했다고 합니다.

"전국건설노동조합연맹은 27년간 건설업에 봉급자로 몸담았던 민자당 이명박 의원의 재산이 2백74억2천만원에 달하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이같은 엄청난 재산을 모은 방법과 경로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다. 전국건설노동조합연맹(위원장 배석범)은 9일「이명박의원의 축재과정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엄청난 천문학적 수치에 달하는 이의원의 재산규모에 입을 다물 수 없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이 성명서는 또 『이의원이 다른 봉급자와 다른 점이 있다면 소박한 신입사원으로 출발해 보기드문 초고속 승진을 했다는 사실뿐』이라고 덧붙였다." -<세계일보> 1993년 9월 10일자 6면 기사 <“민자 이명박의원 축재과정 밝혀라”/건설노련,해명 요구>

우리가 이 기사들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는 "'도곡동 땅'을 당시 이명박 의원이 처남 명의로 은닉했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것입니다.

1996년, 김유찬 폭로와 함께 드러난 '대부기공'

이명박 후보를 회오리에 몰아넣었던 1996년 당시의 '김유찬 폭로', 당시 언론보도를 보면그 유명한 '김유찬 도피'와 'D기공(대부기공)'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서울지검 공안1부는 25일 신한국당 이명박 의원이 지난 총선에서 서신대필 등의 목적으로 자원봉사자를 가장한 유급운동원을 대거 동원,수억원의 자금을 사용한 혐의를 잡고 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조사결과 이 의원의 친척이 경영하는 D기공의 경리책임자가 선거운동과정에서 자금을 총괄했다는 결론을 내리고 조만간 이 경리책임자를 직접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에 따르면 D기공은 선거운동기간동안 이 책임자를 통해 1주일 단위로 수천만원씩을 이 의원 선거캠프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날 신한국당 종로지구당 관계자 3∼4명을 불러 이의원측이 동원한 자원봉사자 인원 및 전화홍보비 내역 등에 대해 추궁했다.

검찰은 추석연휴기간 중 이의원측의 선거운동원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집중조사를 벌인뒤 다음주 초 이 의원의 소환시기를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박병권〉" -<국민일보> 1996년 9월 25일자 27면 기사 < 유급운동권 대거 동원 수억원 살포혐의 포착/이명박 의원 수사>-

그리고 2년 후에는 '도곡동 땅'이 언급된 기사가 발견됐습니다.

"(전략) 감사원은 이밖에 포철의 하와이 연수원 건립추진, 정덕진씨 소유로 알려진 희전관광호텔 매입 및 매각, 이명박 전 의원이 실소유자로 알려진 도곡동 부지 매입 등과 관련된 자료 네 건을 수사 참고자료로 검찰에 넘길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만제 전 회장은 “감사원의 발표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나에게 뒤집어씌운 것”이라고 반박하고 “검찰에 가서 모든 것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김씨는 또 “감사원이 나에 대해 불법으로 계좌추적을 했다”고 주장했다.<장정수 기자>" -<한겨레> 1998년 12월 26일자 1면 기사 <포철 김만제 전 회장 고발키로>의 일부-

이명박 후보는 이 기사들에 대해 어떤 해명을 할지 궁금합니다. '오보'일까요?

'이명박'과 '다스'의 기묘한 관계

'대부기공'은 2002년 서울시장 당선 후에도 '다스'라는 이름으로 다시 나타납니다. 2002년 2월 출판기념회 행사에서 총무부장 신학수씨 등을 비롯한 선거운동원을 통해 불법유인물(이 후보의 저서 <절망이라지만 나는 희망이 보인다>)를 배포함으로써, 사전선거법을 위반했다는 것입니다. 신학수씨는 다스 아산공장 관리차장 직함으로 급여도 받아 '공직선거 및 부정선거방지법 위반혐의'가 추가됐습니다.

하지만 서울지법 1심과 고법 항소심 재판부는 이명박 후보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지난 7월, '도곡동 땅'에 대한 검찰 수사결과와 마찬가지로 "물증이 없기 때문"입니다.

"신학수는 피고인(이명박)의 고향 후배로서 1993년부터 1997년까지 피고인이 위원장으로 있던 지구당의 총무부장으로 근무했다. 1997년부터 2000년 5월까지 피고인이 이사장으로 있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 총무부장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 6월부터는 피고인의 친형인 이상은이 경영하는 다스 충남 아산공장 관리팀장으로 일했다.

그러다가 2001년 12월 중순부터 다시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총무팀장으로 일하면서 피고인의 서울시장 출마 기자간담회 및 출판기념회 개최준비, 피고인의 저서 구입 및 배부, 피고인의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 피고인의 무교동 선거사무실 임대차계약 체결 등의 업무를 담당했고, 2002년 4월 설치된 무교동 선거사무실에서도 시설공사, 공간배정 등 총무역할을 했다."

그런데 이명박 후보가 철썩같이 믿는 '대한민국 검찰'은 당시 이런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신학수는 10여년 동안 피고인과의 인연으로 생계를 유지해왔고, 피고인의 주선으로 피고인의 친형인 이상은이 경영하는 다스에서 일하다가 피고인의 선거운동을 돕기 위해 회사를 사직했다. 다스는 신학수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은 채 5개월 동안 1350여만원이나 되는 돈을 급여로 지급했다. 아산공장 공장장에게는 이러한 편법적인 업무처리를 할 권한이 없는 점 등에 비춰보면 이상은이 피고인의 선거운동을 돕기 위해 회사를 사직한 신학수를 배려해 위와 같이 급여를 지급했고, 피고인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맞다."

한가지 더 흥미로운 것을 말하자면, 검찰이 "(BBK투자자문에 190억원을 투입한 것은) 자금 여유가 있어 정상적인 투자행위"였다고 발표했던 시기에, 주식의 49%를 소유했다는 이명박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는 자금난에 처해 있었다는 점입니다.

"다스가 투자한 시점은 2000년이다. 그런데 그 시기 최대주주인 김재정씨는 자금난에 시달렸다. 김씨는 2000년 10월11일 자신의 논현동 집을 담보로 자신이 운영하던 태영개발 명의로 4억원(근저당권 4억4500만원)을 대출해야 했다. 결국 김씨의 논현동 집은 2002년 6월 다른 회사에 넘어갔다.

회사 등기부등본에 나타난 김씨의 거주지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 N아파트인데 소유주는 다른 사람이다. 김씨가 최대주주로 있는 다스는 여유자금이 넘쳐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하고 있던 시기에 정작 사주인 김씨는 자금난으로 허덕이고 있었던 셈이다. 그렇다면 김씨는 명의만 빌려준 것일까. 김씨는 이에 대해 “주식은 내 소유가 맞다”고 주장했다." -<신동아> 2004년 10월호 기사 <이명박 서울시장 관련 의혹 기업 ‘다스’ 미스터리>의 일부

다스의 사장 김성우씨는 현대건설 부장 출신이고, 다스의 사무실은 이명박 후보 소유의 영포빌딩과 양재빌딩을 거쳤습니다. 김성우 사장은 이에 대해 당시 <신동아> 엄상현 기자를 향해 이렇게 해명합니다.

"양재동 건물관리는 우리가 직접 한다. 해외 비즈니스를 위해 서울지사가 필요했는데, 마침 (이 시장이) 건물을 판다고 하기에 공시지가 수준에서 매입했다. 사무실도 만들었지만 미국과 비즈니스가 잘 안돼 철수하고 여직원 한 명만 남겨놨다. 그런데 이 회장이 이명박 서울시장선거를 좀 도와주라고 해서 (여직원이) 파견 나가 있는 것으로 안다. 그 여직원은 대부기공 소속이다."

1996년에도 'D기공'이 이명박 의원의 선거를 돕다가 선거법 위반으로 호되게 치도곤을 맞은 것으로 아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이명박 후보는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선거법을 철저하게 위반한 셈입니다.

이명박 후보, '재산 헌납' 이전의 과거사 해명부터

지금까지, 이렇게 과거의 언론보도를 심층적으로 돌아봤습니다. 언론보도에는, 심지어 <동아일보>마저도 이명박 후보의 부끄러운 과거를 보도하며 신랄한 지적을 남깁니다.

이 보도들을 모두 종합해 보자면, 정동영 후보 측 최재천 대변인의 언급이 맞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명박 후보는 검찰의 '무혐의' 발표만 믿지 말고, 이 보도들에 대해서도 해명해야 합니다. 45%의 국민들이 'BBK 특검'을 찬성할 정도로, 검찰의 '이명박 무혐의' 발표를 믿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기왕 재산헌납을 할 예정이라면, 여타 정당 대변인들의 논평을 확실하게 해명하는 차원에서라도 최재천 대변인이 언급한 '은닉재산' 의혹이나 이 숱한 과거 언론보도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기왕이면, AIG 국부유출 의혹, 교통체제개편 와중에 불거진 'T-머니 특혜 의혹', '현대건설 분식회계 의혹', '현대건설 이라크공사대금 미수금 의혹' 등에 대해서도 진솔하게 해명하는 것도 좋습니다.

보수언론이 침묵하고 있어 많은 유권자들이 이를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습니다. 해명의 필요성, 이만하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미디어다음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이명박, #다스, #도곡동 , #BBK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