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용빈씨가 가장자신있는 표정을 지어보이고 있다.
▲ 웃음 박용빈씨가 가장자신있는 표정을 지어보이고 있다.
ⓒ 문경숙

관련사진보기


자원봉사도 '왕', 웃음도 '왕'인 이가 있다. 자원봉사 1만시간 달성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한국웃음치료센터 박용빈(50) 소장은 웃음이 담뿍 묻어나는 자원봉사에 한눈팔 여유가 없다. 그런 그가 <웃음치료 완전정복; 신나는 웃음치유 길라잡이>라는 책을 펴냈다. 자원봉사 왕인 그가 웃음치료 전문가로 나선 사연이 궁금했다.

형편이 어려운 사람을 그냥 지나치지 못해 조금씩 돕던 일이 30여년 이어졌다. 특히 장애인과 노인복지시설을 돌며 각종 행사나 직원교육을 지원하고 강의와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했다.

박 소장은 "누구나 자원봉사를 생활화하면 달성할 수 있는 시간으로 1만 시간은 그리 큰 시간이 아니"라며 "가진 것을 나눈다는 여유와 함께 사는 즐거움, 이웃을 돌아보는 정성이 중요할 뿐"이라고 말했다.

박용빈씨가 쓴 웃음치료완정정복
 박용빈씨가 쓴 웃음치료완정정복
ⓒ 문경숙

관련사진보기

그는 자원봉사를 하면서 사회복지관련 공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지난 2004년 서울사이버대학 사회복지학과에 늦은 나이에 입학했다.

그러나 학교공부와 기존의 사업체 운영, 봉사활동 등을 동시에 하다보니 몸에 무리가 따랐다. 지난해 봄 뇌출혈로 쓰러졌고 뇌병변 1급판정을 받았다. 장애인이 된 것이다.

스스로 병과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다. 자활치료를 하며 웃음치료를 알게 됐다. 웃음만큼 사람의 마음을 치료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공부한 후 최근에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담은 책까지 내게 됐다.

박 소장은 "웃음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기쁘거나 즐겁거나 우스운 일이 있을 때 미소 짓는 것을 뜻한다"며 "그리고 행복이란 사람이 살아가면서 얼마나 보람을 느끼고 삶의 목적을 달성해 가느냐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그는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파하기 위해 웃음치료 전도사가 됐다.

"많이 웃으세요. 웃으면 사람의 수명이 7년 정도 길어진다고 합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행복과 웃음은 비례관계랍니다."

인터뷰 내내 웃음바이러스에 감염되는 느낌이었다. 그는 "노인복지관에서 어르신들을 위한 웃음강의가 있다"며 서둘러 일어섰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인천시인터넷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웃음치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