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기자 = 국회는 22일 법제사법, 정무, 재정경제위 등 13개 상임위별로 소관 부처와 산하기관에 대한 엿새째 국정감사를 벌였다.

 

초반 국감이 정쟁에 치우치며 민생 국감이 실종됐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날 국감도 주요 상임위 마다 대선을 앞둔 각 정당의 대선후보 검증문제를 놓고 전방위 충돌이 이어졌다. 특히 감사원을 대상으로 한 법사위 국감은 증인채택 문제를 두고 설전과 욕설 시비 끝에 정회 소동을 빚는 등 구태를 재연했다.

 

대통합민주신당은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의 탈루 의혹 등과 관련한 공세를 이어갔고, 한나라당은 국세청 등의 이 후보 `불법조사' 의혹 추궁으로 맞섰다. 신당 정동영 대선후보와 문국현 대선 예비후보검증 논란도 벌어졌다.

 

재경위의 국세청 국감에 앞서 신당 송영길 의원은 질의자료를 통해 이명박 후보가 김경준씨와 함께 설립했던 LK-e뱅크와 관련, "지난 2001년 2월 이 회사 주식을 외국계 회사에 매각할 당시 양도소득세 등 3억5천여만원의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문석호 의원도 질의자료에서 "이 후보 및 친인척들이 전국에 사놓은 부동산은 최소 2천300억원에 달하며, 면적은 85만9천평"이라면서 "국세청은 편법증여 의혹이 있는 부동산에 대해 엄정한 조사를 통해 관련세금을 추징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또 제3자 소유 의혹이 있는 `도곡동 땅'과 관련, 국세청의 공식 세무조사 착수를 요구하는 한편 이 후보의 처남과 친형이 공동소유한 `다스'의 실소유주 조사도 요구했다.

 

반면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국세청의 이 후보 `불법조사' 의혹과 관련, "국세청과 국정원 등 사정기관이 동시에 이 후보 사찰에 동원됐다는 의혹이 있다"면서 "외부의 지시.압력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지난해 9월 이 후보와 친인척의 재산검증 및 결과보고서를 작성했던 본청 조사1과 직원들이 공로를 인정받아 승진했다는 의혹이 있다"면서 국세청 조사 결과의 청와대 보고 여부 등을 추궁했다.

 

이 의원은 또 부산건설업자 김상진씨 관련 의혹에 대해 "김씨 관련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 당시 부산국세청 조사국장이던 이모씨가 김씨 관련 기업의 고문으로 이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엄호성 의원은 "국세청은 야당 대선후보에 대해서만 검증을 하느냐"며 "정동영 통합신당 후보 처남의 주가조작 사건은 물론 참여정부의 변양균.신정아 사건, 정윤재.김상진 사건 등 권력형 게이트사건에 대해서도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에 대한 정무위 국감에서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은 "문국현 대선 예비후보가 사장 재직시절 유한킴벌리가 불공정거래행위로 2차례 시정명령 처분을 받았고, 친환경주의자라면서 발암물질 기저귀를 판매하는 부도덕성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한국철도공사를 상대로 한 건교위 국감에서 신당 홍재형 의원은 "경부운하 건설 비용에 준하는 40조4천억원의 투자로 88조2천129억원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는 철도건설이 경부운하의 객관적 편익보다 훨씬 더 크다"면서 이 후보의 경부대운하 공약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j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태그:#국정감사, #법사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