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화일보>가 18일자 신문에 신정아씨 누드사진 게재와 관련한 사과문을 실은 것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여성 및 언론 관련 시민단체들은 이날 각각 발표한 성명을 통해 "<문화>가 사과문을 게재한 것은 진일보한 행동"이라고 인정했지만, 내용에 대해서는 "자신들의 잘못을 짚어내기보다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내용으로 사과문을 채우고 있다"고 비난했다.

 

각 단체들은 "신씨의 불법적 행동이나 구속과 누드 사진과의 연관성에 대해 밝혀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면서 "사진의 진위여부에 대해서도 제대로 규명된 된 것이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여성계 "누드사진은 여전히 국민의 알 권리였나"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등을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누드 사진의 게재가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켰느냐"며 사과문의 내용을 꼬집었다.

 

<문화>가 사과문을 통해 "사진을 지면에 게재하는 것이 이번 사건 전체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필요불가결한 단서라고 판단, 국민의 알권리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보도했다"며 사진 게재 배경을 밝혔기 때문이다.

 

여성단체들은 "누드 사진을 게재한 지 한달여가 지난 지금까지도 누드사진과 사건과의 관련성을 밝혀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화>쪽은 자신의 보도행태가 국민의 알 권리와는 무관했음을 인정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누드 사진을 게재하면서까지 성로비를 추측한 보도는 한국에서 여성들이 잘못을 저지르면 남성들과는 사뭇 다른 종류의 의심을 받게 되고, 개인의 기본적인 사생활조차 지켜지지 않는 수준의 사회적 처벌을 감내해야 하는 여성 혐오가 반영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화>가 "선정성 논란과 인권 침해라는 비판이 제기된 데 대해 충심으로 사과한다"고 밝히자, 여성계는 "<문화>가 알 권리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했지만 결과적으로 논란과 비판이 제기돼 사과한다는 해명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계자 문책은? 재발방지 대책은?"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는 이날 입장문을 발표해 "<문화>가 진정으로 사회적 비판을 겸허한 자기반성의 기회로 삼고, 사생활 등 인권보호를 최우선시하는 종합일간지가 되려면 재발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았어야 한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는 지난달 13일 신씨의 누드사진이 게재된 후 기자회견과 1인시위 등을 통해 <문화>측의 공식 사과와 관계자 징계, 선정적 보도의 재발방지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촉구해왔다.

 

이 단체는 "사과문이 매우 부족한 수준이었지만, 일단 사과를 수용하겠다"면서 "<문화>가 지면을 통해 더 이상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거나 선정적인 보도로 상업적 이익을 취하려는 행태와 자정능력을 의심케 하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태그:#문화일보 , #사과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