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토요일(13일), 직장에서 가을 체육행사로 창녕 화왕산에 다녀왔습니다. 20일부터는 '갈대제'가 열리는데, 미리 그 장관을 접합니다. 내려오는 길에는 쫄깃하면서도 특히 향기가 좋은 송이를 맛보는 것도 좋습니다.

우리가 오른 길입니다. 3년치 주독을 땀으로 빼어서인지 몸이 한층 가벼워진 듯합니다. 옆 등성이에 초소와 텐트를 친 모습이 보이는데, 몰래 송이를 채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밤을 새는 모양입니다.
▲ 환장하게 넘기 힘든 고개 우리가 오른 길입니다. 3년치 주독을 땀으로 빼어서인지 몸이 한층 가벼워진 듯합니다. 옆 등성이에 초소와 텐트를 친 모습이 보이는데, 몰래 송이를 채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밤을 새는 모양입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바위 틈에 수줍게 피었는데, 어린 순은 먹을 수 있습니다
▲ 산부추꽃 바위 틈에 수줍게 피었는데, 어린 순은 먹을 수 있습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처음 만난 억새모습입니다. 여기서부터 시작입니다.
▲ 정상에서 본 억새 처음 만난 억새모습입니다. 여기서부터 시작입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등산로 옆에 버린 과자봉지입니다. 쓰레기를 되가져가는 것보다 미리 가져오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길에 버린 양심 등산로 옆에 버린 과자봉지입니다. 쓰레기를 되가져가는 것보다 미리 가져오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너무 깨끗해서 눈이 시린 구절초 무리를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에 만났습니다.
▲ 순백의 구절초 너무 깨끗해서 눈이 시린 구절초 무리를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에 만났습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사진을 찍은 곳은 음식을 파는 곳입니다. 어묵 1000원, 막걸리와 부추전은 5000원, 도토리묵은 7000원으로 생각보다 비싸지는 않았고 환경때문인지 맛도 참 좋았습니다.
▲ 막걸리와 억새 사진을 찍은 곳은 음식을 파는 곳입니다. 어묵 1000원, 막걸리와 부추전은 5000원, 도토리묵은 7000원으로 생각보다 비싸지는 않았고 환경때문인지 맛도 참 좋았습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이 꽃의 어린 싹과 잎은 먹을 수 있고 뿌리를 용담이라고 하는데, 이름(용의 슬개)처럼 매우 쓰고 위에 좋다고 합니다
▲ 억새 숲의 소담스런 용담 꽃 이 꽃의 어린 싹과 잎은 먹을 수 있고 뿌리를 용담이라고 하는데, 이름(용의 슬개)처럼 매우 쓰고 위에 좋다고 합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용지로 가는 길에 찍었는데, 잔바람에 사그락대는 소리와 물결에 잠시 가슴이 먹먹했습니다.
▲ 잔바람에 일렁이는 은빛물결 용지로 가는 길에 찍었는데, 잔바람에 사그락대는 소리와 물결에 잠시 가슴이 먹먹했습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용지 또는 산지는 화산활동으로 생긴 분화구에 있습니다. 화왕산은 '큰 불이 이는 뫼'란 뜻입니다.
▲ 창녕조씨 시조 탄생설화가 있는 용지 용지 또는 산지는 화산활동으로 생긴 분화구에 있습니다. 화왕산은 '큰 불이 이는 뫼'란 뜻입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잠시 길가에 앉아 가을꽃을 보면 잔잔한 감동이 밀려옵니다.
▲ 용지 부근의 개쑥부쟁이 잠시 길가에 앉아 가을꽃을 보면 잔잔한 감동이 밀려옵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용지 일대는 습지로 갈대제를 처음 개최했던 1971년까지만 하더라도 갈대가 무성하였다는데, 지금은  갈대가 거의 없어 안타깝습니다. 일부에서는 '억새제'로 그 명칭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한다는데, 억새와 갈대의 차이는 억새는 산이나 비탈에 주로 자라는 반면 갈대는 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가에 무리를 이룬다는 점, 또 꽃의 색깔도 갈대는 갈색빛을 띠고 있으며, 억새는 흰색을 띠고 있는 점입니다.
▲ 용지의 갈대군락 용지 일대는 습지로 갈대제를 처음 개최했던 1971년까지만 하더라도 갈대가 무성하였다는데, 지금은 갈대가 거의 없어 안타깝습니다. 일부에서는 '억새제'로 그 명칭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한다는데, 억새와 갈대의 차이는 억새는 산이나 비탈에 주로 자라는 반면 갈대는 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가에 무리를 이룬다는 점, 또 꽃의 색깔도 갈대는 갈색빛을 띠고 있으며, 억새는 흰색을 띠고 있는 점입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사적 제64호로 창녕뿐 아니라 영산(靈山) ·현풍(玄風)까지를 포용하는 성으로서 군사적으로 주요 요충지였으며, 임진왜란때 홍의장군 곽재우의 의병 근거지였다고 합니다.
▲ 화왕산성 사적 제64호로 창녕뿐 아니라 영산(靈山) ·현풍(玄風)까지를 포용하는 성으로서 군사적으로 주요 요충지였으며, 임진왜란때 홍의장군 곽재우의 의병 근거지였다고 합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길가에 핀 꽃향유입니다. 가을에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밀원식물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감기나 오한, 설사를 치료하는 약으로도 섰다고 합니다.
▲ 꽃향유와 벌 길가에 핀 꽃향유입니다. 가을에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밀원식물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감기나 오한, 설사를 치료하는 약으로도 섰다고 합니다.
ⓒ 한성수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의 제 블러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화왕산, #억새, #갈대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 주변에 있는 소시민의 세상사는 기쁨과 슬픔을 나누고 싶어서 가입을 원합니다. 또 가족간의 아프고 시리고 따뜻한 글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글공부를 정식으로 하지 않아 가능할 지 모르겠으나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