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선일이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그간 보수언론은 대선 후보 도덕성 검증보도에서 노골적인 ‘이명박 감싸기’를 지적 받았다. 민언련은 이에 지난 7월과 8월 도덕성 검증 보도에 대한 모니터 보고서를 통해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민언련은 도덕성 검증 못지 않게 중요한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보도 모니터를 실시했다. 이명박 후보의 경선출마 선언일인 6월 11일부터 9월 30일까지 6개 조간신문(경향,동아,서울,조선,중앙,한겨레)의 정책 기획보도만을 대상으로 했다. 이 분석에서 신문사들이 스스로 기획하여 추진한 보도형식이 아닌 토론회 보도, 후보 인터뷰 중심의 보도들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번 모니터 보고서는 그간 언론이 후보들의 정책에 대해 유권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와 의제설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지를 평가 목표로 삼고, 양적 평가를 중점으로 특정 정책·공약에 대한 편중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단, 양적 수치와 질적 수준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다. 예컨대, 같은 양으로 보도된 한겨레와 조선일보의 경우 한겨레의 보도 한 건에는 다양한 정책참여인단이 참여해 후보정책 전반에 다양하고 깊이 있는 분석을 담은 반면, 조선일보는 겉핥기 식 보도에 치중돼 있다는 점이다.


 

한편, 모니터는 민언련 대선모니터단이 대선시민연대와 동참하여 평가하게 될 6대 의제(단, 민언련은 여성분야를 지역분야로 차별화)에 대해서도 분류해 분석됐다.

 

Ⅰ. 6개 일간지 기획연재 분류

 

조선·중앙, 유권자 없는 정책검증과 겉핥기식 보도

 

조선일보는 5월 28일에 시작한 <차기정부 10대 국정과제>연재를 통해 의제를 제시했다. 조선일보와 한반도선진화재단 공동기획으로 진행됐으며, 재단 전문가들의 직접 집필로 이뤄졌다. 그러나 <(6)교육혁명 없이 미래 희망 없다>(07/14) 이후 연재되지 않고 있다.


조선일보의 대선자문교수 모임인 ‘정책과 리더십 포럼’은 후보들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를 내놓았다. 조사는 대표적인 선거 슬로건과 5대 핵심 정책을 주관식으로 묻고, 정치·외교·경제·사회 등 4개 분야에 대해 객관식으로 진행됐다. 모니터 기간인 7월 민주노동당 후보, 9월에는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를 검증했으며 지난 4월 한나라당 경선 후보들을 검증했었다. 그러나 설문에 대한 심층적 해설과 분석이 미미했다.

 

한편, 조선일보가 후원하고 한국정책학회 대선정책평가기획단이 주최한 ‘대선 예비후보 정책공약 토론회’에 대한 기획특집은 비교적 양호한 분석을 내놓았다. 7월 당시 유력 대선주자 3인인 이명박·박근혜·손학규 후보가 지정한 각측 대리인들이 ▲대북정책 ▲수도권 규제 ▲비정규직 문제 ▲성장 주도 산업에 대한 발언에 대해 세 후보의 입장을 정리해 이해를 더했다.

 

중앙일보는 한국의회발전연구회와 공동으로 <대선 후보 자질 평가>(상),(중)을 연재했다. 평가팀은 ▲부동산·주택문제 ▲교육문제 ▲자유무역협정(FTA)를 핵심 정책으로 제시하고 후보들의 정책을 비교했다. 그러나 사안에 대한 단순 비교 언급에 그쳤다.[<표1>참고]

 

동아, 최소한의 노력도 없어


동아일보는 정책기획기사가 한 건도 검색되지 않았다. 이는 유권자들에 대한 대선후보 정책 검증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징표이다. 후보들의 인터뷰 기사는 모든 신문에서 이루어져 제외시켰으나 동아일보의 경우 특기할 만한 것이 9월 14일 이명박 한나라 대선 후보 인터뷰를 1면 머릿기사도 모자라 4면, 5면 전체를 활용하는 등 심혈을 기울여 보도했다는 점이다.

 

동아일보가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참여정부 언론대못질>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 8월 24일부터 매일 연재되는 <참여정부 언론대못질>은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며 독자들의 비난을 사고 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유권자들에게 후보들의 정책검증에 대한 알권리마저 팽개친 무개념한 행태는 대선 보도의 기본 책무조차 망각한 행위이자, 유권자들과 독자들을 기망한 것과 다름없다.


한겨레·경향·서울, 유권자와 함께하는 정책검증 완성도도 높아


한겨레는 한겨레 대선자문단 자문위원과 ‘100인유권자위원회’(한겨레와 참여연대가 함께 기획)신청자들이 함께 참여해 전문가의 시각과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검증했다. 선거보도의 ‘주인’인 유권자들의 자리를 되찾아주겠다는 기획으로 이루어진 한겨레의 보도는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다양한 시각을 수용하고, 전문가적 평가를 함께 이뤄내며 완성도 깊은 검증을 보여주었다.

 

한겨레는 심도 깊은 정책검증을 위해 유권자위원들에게 각 후보들의 핵심 정책·공약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검증과 토론을 거친 뒤, 전체 평가를 내리는 과정들을 거쳤다. ‘100인 유권자위원회’ 자문교수단 이현우 교수는 기획의도에 대해 “1000~2000명 대상의 객관식·규격화된 여론조사가 아니라 심도 깊은 인터뷰와 거듭된 질문으로 유권자들의 의식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 파악할 수 있는 공론조사의 성격을 띤다는 의미”라고 설명하며 “누가 얼마나 앞서간다는 경마식 보도보다 공약의 구체적 내용과 이에 대한 유권자의 판단, 의식의 변화 과정을 보도하는 것은 언론보도의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은 정책기획 시리즈에 대한 적극적 노력이 단연 돋보였다. 경향은 5월 31일 ‘2007 한국인의 자화상’ <(1)임대주택 거주민 6명 집담회>를 시작으로 <(15)지방에서 살아보니…6인 집담회>까지 서민들의 삶 속에 투영된 고달픈 삶을 연재했다. 이러한 서민들의 목소리는 8월에 경향이 선보인 ‘대선 10대 의제’를 추출해 내는 토대로 쓰여 대선 후보들의 정책을 검증하고 있다.

 

<한나라 5인 정책.공약 대해부>는 한나라당 경선후보들이 사회를 어떻게 진단하고 어떤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며, 어떤 정책에 우선순위를 두고 국가를 운영하고자 하는지를 살펴보자는 의미로 기획됐으며, 경실련과 각계 전문가 21명이 참여했다.

 

<2007 대선공약 허와 실을 밝힌다>는 이명박 후보의 대운하 공약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8개의 시리즈를 통해 심층성을 더했다.

 

서울신문은 <정책선거 원년으로>를 기획하고 역대 대선공약에 대한 해부를 시작으로 후보들의 공약 검증을 함께 이어나갔다. 이와 함께 8월 14일부터 16일까지 진행한 한나라당 경선후보 정책검증은 분석과 비판, 후보측 재반박을 함께 담으며 정책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내놨다.

 

Ⅱ. 양적 분석

 

소외된 민주당과 문국현

6·7월 한나라당 경선의 시작과 8월 경선투표로 정책검증에 대한 관심은 7배 가량 치솟으며 8월 가장 많은 양을 쏟았지만,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노동당, 민주당의 경선이 함께 진행되고 있는 9월의 저조한 보도건수는 경선에 대한 건조한 사회적 반응과 언론보도의 무관심이 함께 어우러진 현상으로 풀이된다.[<표3>참고]

정책보도에 대한 편중은 당별·후보별 분석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물론 한나라당의 경선일정이 다른 당에 비해 앞서 있었고, 후보 확정이 이루어진 현실을 간과할 수 없다. 대통합민주신당의 계속되는 경선 잡음도 문제로 지적된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관련 정책보도는 다른 당의 후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민주당 경선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인제 후보와 문국현 후보의 정책검증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심각한 편중·소외현상은 문제로 지적된다.[<표(4)>참고]

 

공약과 정책 검증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져야

 

신문의 정책 검증은 대부분 후보들이 내세운 공약을 바탕으로, 혹은 신문사측에서 제안한

핵심의제에 관한 후보들의 공약 검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도된 공약들을 크게 정치·경제·사회·통일·환경으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공약과 보도의 집중이 경제와 사회문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치와 환경에 대한 공약에 대한 검증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양을 보였다. [<표5>참고]

 

민언련 대선모니터단은 위 분류에 의한 공약 검증에서 더 나아가 ‘6대 의제’에 대한 검증과 제안을 함께 병행하고자 한다. 양극화 해소와 경제민주화 실현(경제·노동), 개발주의를 넘어선 녹색사회 실현(환경), 국민 누구나의 존엄과 행복을 보장하는 복지사회 실현(복지), 학벌경쟁이 아닌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교육개혁 실현(교육), 안보국가를 넘어선 평화국가 실현(평화통일), 지역균형발전(지역)이 그것이다. 한나라당의 공약들은 복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6대 의제와 상치되지 않아 체크되지 않았다.

 

분석 결과 지역과 관련한 의제의 정책검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경향신문이 경제분야와 복지분야에 편중돼 있는 반면, 한겨레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이는 경향신문이 제시한 10大 의제가 서민들의 삶과 직결된 의제로 추출된 것에 근거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해당량이 적은 것은 정책검증 방향성의 차이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표6>]참고]

 

 

Ⅲ. 대선은 끝나지 않았다. 열성적으로 정책검증에 임하라

 

보수언론의 정책검증은 미지근하다 못해 차갑기까지 하다. 정책보도에 대해 손을 떼다시피한 동아일보를 비롯해 한겨레·경향·서울신문의 보도 1건에 그치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수박 겉핥기식의 보도는 유권자들에 대한 기망과 다름없다.

 

이명박 후보의 일거수일투족에 대한 가십성 보도를 일삼는 보수언론의 행태에 견주어 볼 때, 이명박 후보를 벌써부터 대통령 당선자로 간주하고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정책검증 노선의 차이성에 대한 분석은 뒤로 하고서라도, 유권자들이 후보들의 정책검증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사고(思考)의 장마저 단절시키는 보수언론의 보도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12월 19일 대통령 선거일까지 계속해서 후보들은 정책을 새롭게 제안하고 기존에 내놨던 제안을 개선·보충하게 된다. 유력 보수언론들이 특정 후보에 대해서는 도덕성 검증은 외면하고 특정 후보 띄우기에 급급하더니, 후보들의 정책 제안이 가시화되는 시점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심층분석과 검증은 고사하고 제대로 알리는 기본 보도마저 시원찮으니 참으로 답답한 노릇이다.


유권자와 구독자가 언론에 대한 신뢰를 저버리는 최악의 형벌에서 벗어나려면 보수언론은 오만과 책무유기를 당장 버려야 한다. 단순 검증에 그치는 보도에서 한발 짝 나아가, 적극적으로 바람직한 정책의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후보의 정책을 심층 분석하고, 미흡한 부분을 채울 것을 제안하는 등 열성적 자세로 임하길 촉구한다.


 


태그:#민언련, #정책보도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