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모성을 함께 쓰기'운동은 호주제 폐지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성계가 호주제 폐지를 위한 일상적 문화운동으로 부모성을 함께 쓰자며 운동을 벌려 왔었기 때문이다.

부모성 함께 쓰기는 지난 1997년 3·8 한국여성대회에서 여성계가 '부모성함께쓰기 운동'을 선언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다. 올해로 10년째 인셈이다.

당시 이 운동은 부성 강제 조항을 반대하면서, 여성학자인 이이효재 선생을 비롯해 시민단체·학계·정계·문화예술계·의료계 등에서 170여명의 인사가 동참해 큰 파장을 일으킨바 있다. 부계혈통만 강조한 채 부성을 따르도록 강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다.

이 같은 운동이 펼쳐진 지난 10년간 우리국민들은 이 운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관해 여론을 조사한 결과가 지난 4일 발표 되었다.

이 여론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국민들은 이 운동이 펼쳐진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은 반대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S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앤조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되었다. 

부모양성쓰기 운동이 시작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우리국민들은 불편한 시각이 많다는 여론조사결과다. 하지만, 이 같은 반대 의견이 젊은층 특히 20대에서는 찬성하는 비율이 높게 조사 되어 흥미를 끈다.
 부모양성쓰기 운동이 시작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우리국민들은 불편한 시각이 많다는 여론조사결과다. 하지만, 이 같은 반대 의견이 젊은층 특히 20대에서는 찬성하는 비율이 높게 조사 되어 흥미를 끈다.
ⓒ 리얼미터

관련사진보기



이 조사에서, '부모성 함께 쓰기'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38.7%로 찬성 24.1% 보다 15%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양성쓰기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아직은 만만치 않음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37.2%로 조사돼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이 명확하지 않은 응답자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성씨 별로, 양성쓰기 바라보는 의식차이 커

흥미를 끄는 부분중 하나는 성씨별로 ‘부모성함께쓰기’에 대해 편차가 심했다는 점이다. 윤씨(60.1%>21.7%), 최씨(44.4%>1.9%), 이씨(42.1%>26.7%)에서는, ‘부모성 함께쓰기’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와 반해,  박씨(27.9%>25.7%)와 강씨(24.0%>3.4%)는 상대적으로 반대 의견이 낮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윤씨, 최씨, 이씨 성의 가족에게서 가부장적 요소가 더 강하게 존재한다는 추론을 낳게 한다.

지역별로도 다른 반응이 나왔다. 보수적 성향이 강할걸로 생각되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반대의견이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응답자가 52.1%가 이 운동에 반대했다. 이와 반해 찬성은 13.9%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대구/경북에 이어, 반대가 많은 지역은 강원(43.3% >7.7%), 대전/충청(41.0% > 32.0%), 서울(39.8%>33.1%)순이었다. 이와 반해, 전북(30.5%<35.4%)과 제주(6.0%<53.0%) 지역에서는 부모성 함께 쓰기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부모양성쓰기’에 대해, 남성의 경우 48.0%가 반대 의견을 보여 찬성 17.2%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남성들의 거부감이 상상인것. 이와 반해, 여성들의 경우 찬성이 1% 가량 높게 나타났다. 반대 29.9%에 비해 찬성은 30.6%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젊은 층일수록 ‘부모양성쓰기’에 대한 거부감이 적었다. 20대의 경우 찬성이 35.7%인데 반해, 반대는 25.4%에 그쳐 젊은층의 경우 이 운동에 많이 친숙해져 있다고 보여진다. 이와 반해, 30대(45.8%>26.1%), 40대(44.9%>28.4%), 50대(37.9%) 순으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이 조사는 10월 2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67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8%였다.


태그:#양성쓰기, #호주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화물차는 굴러가는게 아니라 뛰어서 갈 수도 있습니다. 물론 화물칸도 없을 수 있습니다. <신문고 뉴스> 편집장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