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월의 흐름을 보통 사람들이 감각하지 못한다. 그들은 일시적인
안온 가운데에 살고 있다. 그러나 기항지 비행장에 도착해서 끊임없이 불어오는
그 무역풍이 우리를 덮쳐 누를 적에는 우리가 그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대지>中 - '생텍쥐베리'


▲ 부산역전 화재로 인해 폐허가 된 환도 후의 풍경
ⓒ 부산시
불구경 많았던 시절

부산은 1950년대뿐만 아니라 60년대와 70년대까지 크고 작은 화재가 유난히 많았던 도시다. 화재의 원인은 수도 피난민의 판잣집이 대개 원인이었다. 다닥다닥 붙은 판잣집은 바다의 거센 해풍에 불길을 잡을 수 없는 큰 화재로 번져갔다.

중앙정부가 환도한 22일 만에 일어난 부산역 대화재. 근처 동리는 거의 초토가 되었다. 이는 전쟁의 간접적인 화마였다. 수도가 환도한 후 피난민이 두고 떠난 판잣집의 화마를 다시 건설하는 힘든 업을 떠맡은 부산, 그 화마로 인해 피해를 유난히 많이 본 곳은 부산시 중구 중앙동 40계단 주위 일대이다.

역사는 아는 만큼 보인다

그림은 아는 만큼 본다고 한다. 그러나 사진은 몰라도 다 알려준다. 사진의 기록은 이런 의미에서 그림보다 위대하다고 할까. 40계단에서 부산역 방향으로 약 150미터쯤 되는 곳과 그 곁에 야트막한 언덕 같은 산이 두 곳 있었는데, 이를 쌍산이라 불렀다. 쌍산 주변 아래 해안엔 논치어장이라는 정치망(定置網, 자리그물) 어장이 있었다. 40계단의 윗길은 지금의 초량방면으로 통하는 산길로 영선 고개라 불렀다.

1876년 강제 개항 이후, 일본제국주의는 을사보호 조약 이후 대륙침략을 꿈꾸며 부산항을 대륙침략의 전초기지로 삼기 위해 부산항 확장 공사를 실시하고, 1902년 부산북빈매축공사를 시행한 현장으로 1905년 당시 40계단은, 부산 북항 일대로 해안이었다.

▲ 화재 전 40계단의 풍경
ⓒ 부산시
세월이 약이 될 수 없어요

어떤 아픔도 세월을 이길 장사가 없고, 세월을 약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세월은 바위하나를 모래로 만들만큼 아픔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1953년 부산역전 대화재가 있은 이후, 3년 뒤인 1956년에 다시 국제시장 화재로 인해 집을 불태운 이재민들이 40계단 주변에 몰려들어 집단 판자촌을 형성했다고 한다.

부산역전 대화재로 잿더미가 된 집이, 3천여채나 되었으며, 29명의 사상자에 6천 세대의 이재민을 만들었고, 이듬해는 새벽 용두산에 자리 잡은 피난민촌에 불이 나서 무려 1100세대 가까운 이재민을 내었다고 한다. 이 때 불타서 민둥산이 된 용두산은 뒤에 용두산 공원으로 부활하게 되었다 한다.

수도 환도 이후, 전쟁의 잔해 같은 판짓집의 연이은 화재로 인해 부산 시민들은 전쟁보다 더 가난과 허기에 시달려야 했다. 어디 6.25 전쟁의 상흔이 없는 곳이 이 땅에 어디 있을까 마는, 부산만큼 안으로 시퍼렇게 전쟁의 아픈 멍이 든 도시는 없는 것이다.

▲ 대화재 이후 정비된 중앙로
ⓒ 부산시
바람이 불면 중앙동에 가고 싶다

중앙동은 부산 행정의 중심지였고, 부산 상권의 중심에 있었지만, 이제 중앙동은 부산시청이 연제구로 옮겨가면서 지리적 중앙역할을 유지하면서 부산을 지키고 있다. 지리적으로 한가운데이면서 상업도시 부산의 변두리로 변해가는 중앙동, 그래도 '바람이 불면 중앙동으로 가고 싶다'는 노래를 부르는 노시인들이 많고, 예술인들의 사랑방 같은 옛날식 주점과 옛날식 다방이 아직도 적산가옥의 낡은 건물 안에 서울 인사동과 같은 중심문화를 지키고 있다.

'세월은 얻기 어렵고, 잃기는 쉽다'는 <사기>에 나오는 말처럼 세월은 중앙동의 번영과 중심 문화를 다 잃게 만들었다. 서울의 명동을 연상케 하던 남포동 황금어장의 상권들도 지난날의 화려한 번영을 추억하는 쓸쓸한 불빛만 지키고 있다. 많은 것이 변화하고 바뀌지만 아직도 산동네 판자촌의 형태는 남아 있고, 그 산동네로 올라가는 돌계단들은 여전히 아랫동네로 내려오는 길을 잇고 있다.

이 아득히 높은 산동네의 계단에는 웃지 못할 오래된 일화가 있다. 전후 부산에 놀러온 외국인 여행객은 판잣집의 높은 층층대 불빛에 깜짝 놀라서, 이렇게 아름답고 화려한 도시는 세계 어디에도 없을 거라고 감탄했지만, 다음날 아침에 부산역 앞 어느 여관의 창을 열어보고, 산동네 고지대의 밀집된 판자촌에 다시 경악했다고 한다.

▲ 대화재전 중앙로
ⓒ 부산시
부산은 누가 뭐라고 해도... 항구 도시, 최첨단 유행의 도시

부산은 항구를 끼고 있는 무역상업도시다. 1876년 개항을 한 이래 일본식민지의 관부연락선과 조선, 만주 철도를 잇는 교두보로서 근대화 길을 걷기 시작한 부산은 대한민국 근대화 역사 속에서 전통 중심권 동래에서 용두산과 용미산을 잇는 지금의 중구권으로 옮겨지게 된다.

당시 채 40만이 안되었던 부산 시민은 현재 400만에 가깝다. 열배 이상 불어난 인구처럼 부산은 이제 전차 대신 3호선까지 개통된 지하철이 달린다. 지도가 바뀔 정도로 바다가 매립되었고, 우후죽순 같은 고층아파트들이 해안가에 밀집되어 있다.

▲ 대화재 직후, 부산 풍경
ⓒ 부산시
부산문화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부산을 만들고 기록한다

부산은 무역의 도시, 일본과 가까운 관계로 언제나 한국의 유행은 부산항에서 서울로 역류해 올라갔다.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 등 많은 대중가요가 부산을 시발점으로 전국에 확산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이도 옛말이 됐다. 파리에서 어제 시작한 유행이 한국 명동과 부산의 서면에서 동시에 부는 시대다. 점점 유행이 사라지고 똑 같은 짝퉁의 문화가 횡행하는 것은 부산도 마찬가지다.

▲ 1971년 당시 영주동 판자촌 일대
ⓒ 부산시
부산은 항구 도시이기도 하지만 관광의 도시이기도 하다. 빼어난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아들지만, 부산을 알고 찾아오는 사람은 많지 않다.

부산의 중요한 상실된 사진 자료들을 수집하고, 부산의 문화의 전통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지도를 보관하고 있는 '부산문화 연구회'가 있다. 도서관이나 박물관에서 찾기 힘든 부산문화에 대한 다양한 책과 정보를 부산시민들을 위해 열람하기도 하고 대여하기도 한다. 이렇게 부산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있는 한, 부산의 역사는 누대에 아낌없이 전해질 것이다

한 시대가 가고 또 한 시대가 가고....남은 것은 사진의 기록을 통해 미래에 남은 사람들이 지금처럼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고 느끼고 그래서 우리의 지금의 현재의 삶은 사진을 통해 불멸로 남아 있을 것이다.

내가 중앙을 헤매일 때 중앙동은 보이지 않는다
그의 문을 빠져나와 가로수를 저만큼 세워 놓았을 때
그는 보였다.
'중앙동'의 전철 표시탑이 보이고
다시 성냥갑 속의 사람들이 차례로 쏟아졌다.
머리에 하나 같이 모자를 눌러쓰고
회전문을 돌고 돌아 복사되어 나온다.
계약을 끝낸 나뭇잎이 떨어져 날리고
강물은 도시의 도로 위로 흘러간다.
어느 것이 원본인지 알 수 없는
생각도 배고픔도 복사되어
중앙동 바람에 날린다.
중앙동을 빠져나올 때
용두산 타워가 송곳처럼
중앙동의 심장을 뚫고
단단한 철끈으로 묶는다.

<중앙동 복사점> '자작시'

덧붙이는 글 | 옛날 사진으로 본 부산풍경


태그:#부산, #중앙동, #40계단, #대화재, #한국전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이 곧 인간이다고 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라고 한다. 인간의 모두는 이러한 마음에 따라 그 지성이 나타난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