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경남 합천에는 '일해공원'에 찬성(사진 위쪽)하는 현수막이 내걸리기도 했지만, 반대(사진 아래쪽)하는 현수막도 내걸렸다.
ⓒ 오마이뉴스 윤성효

전두환 전 대통령의 아호를 딴 '일해공원' 논란이 쉽게 매듭지어지지 않고 오래갈 것으로 보인다. 새천년생명의숲을 '일해공원'으로 바꾼 경남 합천군은 '철회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며, 반대 단체들은 이에 맞서 장기전에 대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2004년 경남도비 등을 받아 '새천년생명의숲'을 조성한 합천군은 2006년 12월말 새마을지도자와 마을이장 등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을 조금 넘는 인원이 '일해공원'에 찬성하는 결과를 얻었다. 합천군은 지난 1월 29일 '일해공원' 명칭 확정을 공고했다.

@BRI@합천군은 '새천년생명의숲'으로 돼 있는 안내판을 그대로 두고 있으며, 아직 '일해공원'으로 바꾸지 않고 있다. 심의조 합천군수는 전두환 전 대통령한테 '일해공원'이라는 휘호를 받아 안내문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이런 속에 '전두환(일해)공원 반대 전국대책위'와 '경남대책위', '새천년생명의숲 지키기 합천군민운동본부' 등 '일해공원' 반대 단체들은 장기 대책을 세우고 있다. 우선 한나라당에 '일해공원'에 대한 입장과 한나라당 소속 심의조 군수의 징계 여부 등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지난 8일 발표한 전국대책위는 이번 주까지 답변을 기다리기로 했다.

최현석 경남대책위 사무국장은 "박근혜 전 대표 등 일부 정치인들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냈지만 후속 조치가 없으며 한나라당에서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면서 "원래 지난 9일까지 답변을 달라고 했지만 아직 아무런 소식이 없는데, 이번 주까지 기다려본 뒤 그래도 없을 경우 구체적인 대응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전 대통령 조상 초상화 철거 작업 등도 진행 예정"

경남대책위와 합천군민운동본부는 '일해공원' 논란에 대응할 장기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 두 단체는 16일 창원, 17일 진주에서 각각 거리 선전전과 서명운동, 거리 여론조사 등을 벌일 예정이다.

배기남 합천군민운동본부 사무국장은 "해당 지역의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거리 선전전을 벌일 예정"이라며 "자체 제작한 유인물을 나눠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현석 사무국장은 "'일해공원' 논란이 빠른 시간 안에 매듭지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며 "지금까지는 특별한 사안이 생길 때마다 기자회견 등을 통해 입장을 밝혔는데, 앞으로는 장기적인 대비책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에게 '일해공원'의 실상을 제대로 알려내고 국민 속으로 파고드는 투쟁을 할 것"이라면서 "경남도청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조상인 전제 장군 초상화 철거 문제 등 지역에 있는 전 전 대통령의 잔재를 청산하는 문제도 함께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해공원' 반대운동에 나섰던 윤재호 합천군의원(열린우리당)은 "최근 며칠은 '일해공원'과 관련해서는 조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별한 움직임은 없다"고 말했다. 박현주 군의원(민주노동당) 제명 거론문제와 관련해 윤재호 합천군의원은 "더 이상 거론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합천군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최근에도 하루에 몇 건씩 관련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한 인터넷 카페에서는 '전두환 공원 반대 서명운동'이 벌어지고 있는데, 1만6000명 이상 서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 전 대통령의 고향인 합천군 율곡면에는 '일해공원' 찬성 현수막이 내걸리기도 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반대하는 현수막도 내걸려 있다.

한편 전남 목포시의회는 지난 7일 성명을 통해 "'일해공원'은 5·18 희생자들을 또다시 희생시킴은 물론 광주·전남 시민들을 우롱하고 무시하는 행태이며, 병술국치 이후 가장 치욕적인 반민주적 행위로 판단돼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 전두환공원 반대 전국대책위는 한나라당에 공개질의했던 답변서를 이번 주까지 기다리기로 했다. 사진은 경남대책위가 한나라당 경남도당 앞에서 연 집회 모습.
ⓒ 오마이뉴스 윤성효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