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순서가 거꾸로 되어서 연오랑 세오녀보다 먼저 일본에 건너가서 일본의 최초 건국신으로 추앙받는 이자나기 이자나미 부부의 출신을 밝힌다.

기원전 57년 신라가 건국되고, 서기 42년 신라 유리왕은 경상북도 청도에 있던 이서국伊西國을 멸망시켰다. 이서국 왕손은 낙동강을 서남쪽으로 건너 가야국을 만들고,
동시에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의 건국신 이자나기 이자나미 부부가 되었다. 태양신을 모시는 이자나기 부부가 바다에서 건져올린 것이 일본 열도라고 전하며, 나라 이름은 대팔주국大八洲國이라 하였다.

신라 건국 이후, 일본에는 경상북도 고령高靈의 대가야大伽倻로부터 이자나기伊耶那岐(=이진아시伊珍阿豉)와 이자나미伊耶那美신이 도래하여 일본을 건국하였다. 이자伊耶는 일一과 같다. 뜻은 하나, 첫번째 신이라는 의미다. 또한 한반도의 이서국 출신 즉, 이서나기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 본래 이스伊西, 혹은 우스內는 구슬珍을 나타낸다. 구슬 진珍은 우쓰宇圖로 발음하라고 <일본서기> 저자가 주석하였다. 이스伊西는 동시에 여자 무당, 신녀神女를 의미한다.

고대 부여의 영역이었던 내몽고 서요하西遼河의 천산天山 지역에서는 지금도 남자 무당을 박博이라고 하며, 여자무당을 이도칸伊都干이라 부르는데, 굿驅邪을 하여 치병驅邪治病한다. 일본발음으로는 이쯔칸이 된다. 참으로 유구한 전통이다.

<삼국유사>에서 가야의 본래 관직명 이름은 아도간阿刀干, 여도간 등 9干이 있었는데 이도칸伊都干과도 관련된다. 이도간이 가야에서 일본발음과 같이 이스칸伊都干으로 변하여서 이서국伊西國이나, 일본의 이도伊都, 이세伊勢 등의 지명과 이스케요리伊須氣余理(신무천황비) 등의 인명을 남긴 것이다.

남자무당 박博에서 신라왕 박혁거세의 성씨 박씨도 유래되는 것이고, 방언으로 신라왕을 차차웅次次雄이라고도 했는데 차차웅은 무당이란 뜻이었다.

이자, 이진아의 어원은 이슬이다. 이는 '이어진 구슬 목걸이 영瓔'를 의미한다. 신라왕 박혁거세의 최초 호칭이 거서간 혹은 거슬한이었다. 거슬한居瑟邯의 거居도 훈訓인 이슬로 읽으면 이슬한이 된다. 고대 일본의 이름 중의 쿠시다마櫛玉姬나 타마쿠시玉櫛媛도 우리말 줄-다마에서 비롯되니 줄에 꿴 옥, 영瓔이라는 뜻이다.

신라 3대 유리이사금 때에, 신라의 확장으로 경상북도 청도淸道에 있던 이서국伊西國을 쳐서, 이서국이 서기 42년에 멸망하자, 이때 일본으로 건너간 이서국의 후손이 일본의 건국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부부다. 이서국성伊西國城이 있던 청도군 오도산성 부근의 예전리에서 발굴된 청동검을 보면 초기 비파형 청동검이다.

▲ 이서국의 청동검은 초기 비파검이다.(자료사진)
만주 요양시遼陽市와 무순시撫順市에서 이와 비슷한 초기 비파형 청동검이 발굴 되었는데 이는 후단군시대 최초 기자奇子였던 서우여徐于余의 번한조선番韓朝鮮에서 만든 형식이다. (졸저 <한국고대역사지리> 참조) 즉 이서국이 서기 42년에 망했어도 이미 천년 역사를 가진 나라라는 뜻이다.

경상북도 고령군의 대가야에는 이진아시伊珍阿豉라는 왕이 있었다. <신중동국여지승람-고령군高靈郡>에는 신라 석학 최치원이 남긴 대가야의 기록이 있다.

"대가야의 시조는 이진아시伊珍阿豉(혹은 내진주지內珍朱智)이고 도설지왕까지 520년이었다. 가야산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에 감응하여서 대가야왕 뇌질주일과 금관국왕 뇌질청예를 낳았으니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의 별칭이고 뇌질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다."

뇌질주일, 뇌질청예는 가야산 정견모주正見母主의 후손이다. 그녀의 남편 이비가夷毗訶는 일본식으로 이히고伊-日子로 보면 큰 제사장이라는 뜻이니 이서국의 왕 또는 남자 무당을 의미한다.

그런데 42년에 신라 유리왕이 이서국을 멸망시켰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그해 42년은 바로 대가야와 금관가야 등의 건국년도이기도 하다. 즉 42년에 망한 이서국의 왕실로부터 정견모주와 두 아들이 경상북도 청도로부터 낙동강을 건너서 경상북도 고령으로 피난와서 42년에 대가야를 세운 것이다. 김해의 금관가야도 역시 42년에 건국되었다.

두 아들의 성을 뇌질惱窒이라 하였는데, 고대 일본말로 보아서 뇌질의 어원은 뇌직瀨織(일본발음 세오루)으로 고려된다. 지금 일본말로는 금칙錦織이다. 즉 비단을 짜는 일이다. 따라서 '비단 짜는 신녀, 뇌직瀨織'의 아기다. 일본의 히미코여왕이 된 세오리츠瀨織津가 연오랑의 세오녀였는데 뇌惱, 瀨는 우리말 동사로서 바늘을 누비다, 자수를 놓다의 어간 '놓'이다.

아메리카인디언 풍속에서 보듯이 신석기시대에는 사나운 동물을 죽여서 그 짐승들의 이빨을 줄줄이 꿰어 매달은 목걸이가 힘 센 추장의 상징이었다. 그런데 점차로 사회가 발달되어서 이빨이 아니라 구슬을 꿰어 달게 되었다. 굽은옥曲玉의 생김새도 본래 동물의 이빨 모양에서 유래된 것이다.

'주몽검 쿠사나기쯔루기'와 함께 대대로 전승되어 온 일본 천황의 신보神寶 중에도 구멍이 뚫린 곡옥曲玉이 있다. 따라서 이빨(보물)의 고어가 이슬(잇살)이었거나, 이빨을 꿴 것, 혹은 구슬을 꿴 것이 이슬이 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언이 있는데 구슬을 꿴 것이 바로 또 '이슬'인 것이다.

그리하여 삼한시대 마한馬韓 등에서는 금은金銀보다 옥玉이 더 가치 있는 보물이었다. <후한서>와 <위지동이전>의 마한 설명을 보면, 마한은 오로지 구슬-목걸이瓔珠를 중시했다. 마한은 구슬목걸이를 재보로 삼았다. 혹은 구슬을 옷에 달기도 하고,혹은 목에 매달아서 늘여뜨렸다. 금은비단이 이슬珍을 대신하지 못하고,구슬을 꿰어서 목에 걸었다.

따라서 주옥珠玉을 달아맨 구슬-목걸이瓔珠에 대한 우리말이 바로 이슬이었던 것이다. 구슬은 단지 옥玉이고, 구슬을 꿴 이슬을 진珍, 영주瓔珠, 영락瓔珞이라 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라왕칭 거서간, 거슬한, 이사금은 모두 '이슬한'을 가리키고 이는 이빨, 즉 곡옥을 매단 목걸이의 왕이라는 뜻이다.

고령군의 북쪽 성주군星州郡은 고대 성산가야星山伽倻, 벽진군碧珍郡 등으로 불렸는데 별한, 변한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별한의 왕도 역시 그래서 이진아시伊珍阿豉라고 적은 것이고, 이진아시는 '이슬아시'로 읽고 이슬아시는 가야왕의 호칭이 된다. 그런데 일본에 건너가서 이자나기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가야산 정견모주가 낳은 대가야왕은 뇌질주일朱日이라 하였는데 붉은구슬赤玉을 의미하고, 금관가야왕은 뇌질청예靑裔라고 하였는데 푸른옷靑衣를 의미한다.

서기 42년 육가야 건국 직후에 대가야왕 뇌질주일, 즉 이진아시는 일본 열도로 건너가서 일본의 건국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부부신이 되었다. 일본의 여러 지방의 토착신들은 이 대가야의 왕 이자나기와 그의 부인 이자나미의 후예라고 하는데, 대가야에서 함께 건너간 가야인들의 세력이 된다.

김수로왕이 자리잡은 바닷가 금관가야에는 서기 48년 7월, 중국 사천泗川 안악安岳으로부터 피난해온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이 건너와서 김수로왕과 결혼하고 불교 세력을 펼치고 있었다. 김수로왕비의 고분에 보주태후普州太后라고 적힌 것은 그녀의 출신지 사천 보주普州에서의 내력에 의한 것이다.

이자나기 부부 중에서 이자나미는 가야로 돌아와서 죽었고, <고사기>는 이를 황천국荒天國으로 떠났다고 기록하였다. 이자나기는 가야에 돌아왔다가 다시 일본으로 갔다.

요즘 일본 사람들이 제 뿌리를 찾아서 이서국을 탐방한다고 한다. 뿌리를 찾는 것은 사람의 본능이다. 우리도 사람답게 본능을 살려서 뿌리를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저~기 만주 내몽고 말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