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본 도쿄도(都) 교육위원회가 26일 내년 4월 개교 예정인 도쿄(東京) 도립 하쿠오(白鷗)고교 부속중학교에서 사용할 역사교과서로 우익단체인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하 '새역모')’이 만든 후소샤(扶桑社)판을 채택, 파문이 일고 있다.

'새역모'는 지난 2001년 중국 난징(南京)학살과 조선인 위안부 문제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해 한ㆍ중ㆍ일 외교적 파문을 일으킨 바 있는 단체. 따라서 이번 도쿄도 교육위원회의 결정은 독도와 동해표기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한ㆍ일 외교관계를 더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이런 가운데 지난 82년 제1차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당시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번진 규탄운동을 보여주는 '대한뉴스'를 발굴, 당시의 상황을 동영상으로 소개한다.

▲ 1982년 한시택시 사업자들(지금의 개인택시)은 '일본인 승차거부'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 KTV

'대한뉴스'는 당시 일본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중 한국관계 부분이 24개 항목에 걸쳐 167군데가 사실과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한반도와 만주침략을 '진출'로 표현한 점, 안중근 의사를 단순한 암살범으로 표현한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일제의 잔혹한 만행을 소개하면서 1905년 '을사보호조약' 직후에 국권을 회복하려는 한국 의사들과 가족 등 10여만명을 학살했던 사실, 3.1운동 당시 수많은 양민을 교회당에 감금해놓고 불을 질러 학살한 일, 태평양전쟁 때는 한국인을 5백만명이나 끌고가 노예처럼 혹사했던 사실, 조선 처녀들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위안부 노릇을 강요했던 일, 농민들의 토지를 몰수하고 곡식을 약탈했던 일, 신사참배 강요와 창씨개명을 강요한 사실을 왜곡해서 기술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국회 문공위원회에서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민족대표 33인 유가족회와 대한노인회 등의 규탄대회, 특히 한시택시 사업자(지금의 개인택시)들이 일본인 승차거부 채택 궐기대회를 여는 등 전국적으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분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1982년 당시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실어 문제되었던 일본 교과서들.
ⓒ KTV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