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인의 원혼이 서려있는 귀 무덤[耳塚:미미즈까]은 일본 쿄토 토요토미 히데요시를 신으로 모시는 풍국신사(豊國神社) 앞에 있다. 이 신사 앞에서 길을 건너 몇 발자국을 가면 미미즈까가 자리잡고 있다.

▲ 조선인 2만 여 명의 잘린 귀가 묻혀있는 교토 풍국신사 앞 귀무덤 모습
ⓒ 이상율
한 길가이기는 하지만 어쩐지 을씨년스러운 모습이다. 입구에 서 있는 게시판에는 일본어와 한국어로 이 무덤에 대한 슬픈 역사를 잘 설명해 놓았다.

이 무덤은 16세기말 일본 전국을 통일한 도오토미 히데요시가 대륙진출의 야심을 품고 한반도를 침공한 이른바 분로쿠 게이쵸 역(한국역사에서는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1592-1598)과 관련된 유적이다.

히데요시 휘하의 무장들은 예로부터 전공의 표식이었던 적군의 목 대신에 조선 군인 남녀의 코나 귀를 베어 소금에 절여서 일본에 가지고 돌아왔다.

이러한 전공품은 히데요시의 명에 따라 이 곳에 매장되어 공양의식이 거행되었다고 한다.


▲ 안내판. 입구에 서있는 안내판에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귀무덤의 유래를 자세하게 적었다.
ⓒ 이상율
이것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귀 무덤(코 무덤)의 유래다. 귀 무덤은 사적 오도이 토성 등과 함께 교토에 현존하는 토요토미 히데요시 관련 유적 중 하나이며 무덤 위에 세워진 오층석탑은 1643년 그려진 그림지도에도 이미 모습이 나타나있어 무덤이 축조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창건한 것으로 추정한다.

히데요시가 일으킨 이 전쟁은 한반도 민중들의 끈질긴 저항에 패퇴함으로써 막을 내렸으나 전란이 남긴 이 귀 무덤(코 무덤)은 전란 하에 입은 조선 민중의 수난을 그대로 보여 준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왜군들은 전리품으로 목을 베어 가다가 그 수가 너무 많아 대신 귀와 코를 베어 그것을 소금에 절여 크기를 줄인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전리품으로 받쳤다.

후세에도 풍신수길의 업적과 영광을 기리기 위해 풍신수길을 신으로 받들고 있는 풍국신사 옆에 만명이 훨씬 넘는 조선인의 코 무덤을 만든 것이다.

그 후 풍신수길은 밤마다 조선의 혼령이 괴롭혀 잠을 이루지 못해 공양탑을 만들고 위로했다고 한다. 그래서 무덤 위에 5층 석탑을 만들었다.

▲ 이총어린이공원. 귀무덤 옆에 어린이공원을 세워 일본인들의 호전성을 가르치는 것 같아 불쾌했다.
ⓒ 이상율
귀(코)무덤 옆에는 이총(耳塚) 어린이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감수성이 예민한 어린이들의 공원을 하필 귀 무덤 옆에 두었을까. 마치 히데요시의 한반도 침략을 정당화하고 일본의 우월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불쾌했다.

일본의 지방자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곳을 방문한 여수시민협 일행은 조상의 원혼들이 깃들여 있는 귀 무덤 앞에 섰다. 그리고 묵념을 올려 이들을 추모했다.

제단에는 국화꽃 두 다발과 색종이로 만든 종이 학 두 다발이 가지런히 놓여있다. 국화꽃 리본에는 한국보이스카웃, 종이 학 한 다발에는 일본어로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쓰였고 나머지 두 다발은 이름조차 없다.

▲ 속죄봉사. "부끄러운 역사를 속죄하기 위하여 열심히 주변 청소를 하고 있다"는 89세의 스미즈시로 노인
ⓒ 이상율
마침 시미즈시로(89)라는 일본인 노인이 열심히 귀 무덤 주변을 청소하고 있었다. 왜 귀 무덤 주변을 청소하느냐고 물었다. 그 노인은 “부끄러운 역사에 대한 속죄의 뜻”으로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 노인을 보며 일본인 중에서도 양심이 실종되지 않은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조금은 위로가 됐다.

일본의 귀 무덤은 교토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카야마현 비젠시 교외에 천비총(千鼻塚)이라는 코 무덤이 있었다. 정유재란 때 왜병들이 전리품으로 베어간 수많은 선조들의 코 가운데 2만 여 개가 묻혀있던 곳이다.

천비총은 정유재란 때 1만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왔던 우키다 히데이에가 조선인들의 코와 귀를 잘라간 데서 비롯된다. 잘라간 귀와 코 가운데 귀는 교토의 히데요시에게 바치고 코는 자신의 전공을 자랑하기 위하여 영지인 오카야마로 가져온 것이다.

이 코 무덤은 히데이에가의 중신 나카후나 기이의 깃대잡이로 종군했던 천민출신 로쿠스케에게 만들도록 하였으며 천비영사라는 사당을 지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85년 부산외대 김문길 교수가 발견, 92년 부산 자비사의 박삼중 스님과 함께 코 무덤 한국 이장을 추진해 왔으며 안치 장소를 물색 중 전라좌수영의 본영이었던 여수가 반대하자 93년 11월 임란 당시 격전지중의 하나였던 전북 부안군 감교리 호벌치로 이장 안치했다.

4백 여 년 간 원혼으로 방황하던 선조들의 영혼이 고국으로 돌아와 편히 쉬게 된 것이다. 그러나 교토의 귀 무덤은 아직도 풍국신사의 그늘아래 놓여 있어 조국을 위해 희생한 영령들을 돌아보지 않는 후손들을 원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귀 무덤이 조국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은 우리의 몫인데….

▲ 묵념. 여수시민협 방문단 일행은 선조들에게 죄스러운 마음으로 참배했다.
ⓒ 이상율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구닥다리 기자임. 80년 해직후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면서 밥벌이 하는 평범한 사람. 쓸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것에 대하여 뛸뜻이 기뻐하는 그런 사람. 하지만 항상 새로워질려고 노력하는 편임. 21세기는 세대를 초월하여야 생존할 수 있다고 생각 하는 사람.

이 기자의 최신기사세계의 아름다운 섬을 찾아라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