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23 한류생활문화한마당 모꼬지 대한민국
 2023 한류생활문화한마당 모꼬지 대한민국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관련사진보기


글로벌 경기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OTT 구독자 증가세가 둔화되고, 숏폼 중심의 새로운 유통 플랫폼이 부상하는 등 글로벌 미디어 환경이 재편되는 상황에서도 북미시장 내 한국영화의 외연이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방탄소년단 휴지기에도 새로운 가수들이 음악 한류를 견인하는 한편, 수출국 다변화가 진행되는 K-뷰티제품의 미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45.2% 증가, 중국 의존도에서 탈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하 진흥원)은 글로벌 환경의 변화로 또 다른 성장 발판을 마련해야 하는 기로에 선 한류의 성과와 현황을 진단하고 당면 과제를 분석한 '2023 한류백서'를 최근 발간했다.

진흥원에 따르면 2023 한류백서는 방송, 영화, 음악, 게임, 웹툰 등 6대 한류 콘텐츠와 뷰티, 음식, 패션 등 3대 소비재 산업의 최근 변화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했고, 한류 산업 전반의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체계적으로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방송 부문의 콘텐츠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2023년 한국 기업은 해외 주요 6개 방송영상시장에서 1,519억원의 수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러한 실적은 2022년에 비해 81%가 증가한 수치다. 2023년 넷플릭스 글로벌 최다 시청작인 '더 글로리'를 시작으로 디즈니플러스의 '무빙', 예능인 '피지컬: 100'에 이르기까지 전년도의 글로벌 OTT를 통한 방송 한류의 성과를 이어갔다.

진흥원은 "예능 콘텐츠 역시 글로벌 시장에서 가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음은 특기할 만하다"면서 "그러나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제작환경이 재편된 상황에서 팬데믹 기간 빠르게 성장한 OTT 구독자 증가세 둔화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우려도 깊다"고 전망했다.
 
2023한류백서
 2023한류백서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관련사진보기


2022년 비약적 성장했던 한국 영화 수출은 2023년 10.2% 감소하며 주춤했지만, 한국 영화 수출액은 6,216만 달러(약 828억원)로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진흥원은 "극장과 OTT 플랫폼이 공존하는 새로운 질서 속에서 시리즈와 영화를 아우르는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국제영화제에서의 성과는 2022년에 비해 다소 저조했으나 <패스트 라이브즈>, <성난 사람들>, <엘리멘탈> 등 한국계 영화인들의 활약으로 북미시장에서 한국영화의 외연이 확장됐다"고 분석했다.

음악 부문에서도 2023년은 방탄소년단의 휴지기에도 글로벌 팬층을 탄탄하게 다져 온 3세대 남성 그룹 세븐틴과 스트레이 키즈는 음악 한류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2022년 약 8,000만 장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한국 음반의 판매량은 2023년 1억 1,500만 장을 뛰어넘으며 다시 한번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 만화·웹툰 수출 급증 추세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 만화‧웹툰의 최대 수출지는 일본으로 수출액은 2,277만 달러(약 303억원),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8%에 달하며 중화권(18.8%), 동남아시아(18.5%), 유럽(18.2%), 북미(14.4%) 순이다.

진흥원은 "2023년 상반기 만화‧웹툰 수출액은 8,985만 달러(약 1,2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71.3% 증가한 수치"라면서 "그러나 해외에서 한국이 원산지인 웹툰과 웹툰 플랫폼 서비스를 자국에서 차용하기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면서 만화‧웹툰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뷰티 한류'는 세계 경기 침체 및 교역량 위축 등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연간 화장품 수출액이 84억 7,100만 달러(약 11조 3,130억 원)로 전년보다 6.5% 증가했다. 진흥원은 "이러한 실적은 그간 오랜 과제였던 중국 의존도를 줄이면서 나타났다"면서 "2023년 중국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 22.9% 감소했으나 두 번째 수출국인 미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4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일본, 홍콩, 베트남 등에 대한 수출액도 크게 늘면서 수출국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팬데믹 종료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들의 명소인 명동이 부활하면서 로드숍 구매와 입소문이 수출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다시 나타나면서 한국 문화의 인기가 화장품 등 소비재 한류로 이어졌다.

진흥원 정길화 원장은 "국내외 미디어 환경 변화가 한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면서 각 부문의 한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진단의 중요성 또한 커졌다"면서 "2013년부터 진흥원에서 발간돼 올해로 통산 11년째인 한류백서가 그동안 축적된 자료와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류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간 의의를 설명했다.

'2023 한류백서'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홈페이지(kofice.or.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태그:#한류,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