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근래 가장 이슈였던 일을 떠올리면, '전청조 사건'을 빼놓을 수 없다. 해당 사건은 '전과 10범'이라는 전청조의 지난 행적과 '혼인 빙자 사기'라는 죄명과 다르게, 등장부터 너무나도 '유쾌'했다. 자신을 부풀리는 사기꾼들 중에서도 유독 전청조만이 '웃긴' 이유는, 다름 아닌 '밈' 때문이다.

'밈'이란 'SNS 등에서 유행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복제되는 짤방 혹은 패러디물, 혹은 그러한 텍스트'로 정의되고 있다. '짤방', '유행어', '신조어'와 궤를 같이하는 용어라고 보면 충분할 것이다.
  
전청조의 카톡 내용
▲ 전청조 카톡 내용 전청조의 카톡 내용
ⓒ JTBC

관련사진보기

 
JTBC는 10월 26일, <뉴스룸>을 통해 전청조의 카톡 내역을 공개한다. 이때 전청조의 말투가 대중의 눈에 띄었다. 특히 'I am 신뢰에요'가 '밈'으로 발굴되어, 보도 직후부터 봇물 터지듯 사용됐다. SNS 사용자, 뉴스, 병원, 사업체들의 홍보 문구 등등. 'I am 신뢰에요'를 웃기게 받아들이지 않는 구역은 미디어의 망 안에서 존재하지 않았다.
   
I am 신뢰에요 밈을 포스터에 사용 중인 병원
▲ I am 신뢰에요, 병원 I am 신뢰에요 밈을 포스터에 사용 중인 병원
ⓒ 온라인 커뮤니티

관련사진보기

 
I am 신뢰에요 밈이 공중파 예능에서도 언급됐다.
▲ I am 신뢰에요, 지석진 I am 신뢰에요 밈이 공중파 예능에서도 언급됐다.
ⓒ 런닝맨

관련사진보기

 
'밈'은 희화화나 조롱이 아니라, 단지 '유행'에 불과하다는 시선도 많다. '사딸라', '무야호', '묻고 더블로 가' 등의 밈이 이에 속한다. 이것은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인기'와 가깝다. 하지만 전청조의 경우엔 말이 다르다. 왜냐하면, 그는 사기 피해자를 낳은 가해자이기 때문이다. 즉, 전청조를 기억하고 전청조에게 금전적 또는 사회적 피해와 사기를 당했을 피해자들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단 창작물이나 예능의 유행어뿐만이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사건에서조차 '밈' 포인트를 찾아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에 어떤 비방과 희화화의 의도가 있다기보다는, 대중들의 사고에 '밈'이라는 요소가 너무 당연하고 필수불가결한 텍스트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밈'이라는 것은 원래 특정한 SNS 각각에서 존재하는, '미디어까지 진출되긴 어려운' 유행어였다. 하지만 요즘은 여러 미디어 매체들이 '밈'을 사용하고, 그로부터 SNS 문화에 깊이 연결되어 있지 않던 사람들조차 '밈'이라는 형태에 익숙해진다.

'밈'의 현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SNS를 사용하지 않는 김민지(28)씨를 인터뷰했다. 그는 "'I am 신뢰에요'가 정말 수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걸 보고, '범죄를, 하물며 현재 진행 중인 범죄를 유행어 삼아도 괜찮은 건가?'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김씨처럼 SNS를 사용하지 않는 중장년층 신주연(55)씨 "이 사건 자체도, 처음엔 무슨 일인지를 잘 몰랐어요. 'I am 신뢰에요'라는 말로 접하게 되었는데, 그것 때문에 범죄에 연루된 일은 아니고 단지 조금 웃긴 사람인 건가 생각하고 사건을 접하게 됐죠. 그렇다 보니 사건의 심각성이 잘 와닿지 못했던 부분도 있는 것 같아요"라고 답했다.

이처럼, 무차별적인 '밈화'의 가장 큰 문제는 피해자들에게 피해 사실을 상기시킨다는 것이고, 그것으로 하여금 피해 사실 혹은 피해 사실의 가해자를 희화화하는 결과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무차별적인 '밈화'에 익숙해지다 보면, 자연스레 '밈'으로만 사고하는 것에 익숙해지게 된다. '어, 이래도 괜찮은가?'라는 경계 의식이 차츰 희미해진다는 것이다.

미디어라는 것은 대중들과 가장 밀접하게 닿아있는 요소다. 대중들은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고, 정보가 품은 뉘앙스나 방향을 느낀다. 그리고 각각의 미디어 매체가 어떤 정보들을 우선시해서 다루고, 어떤 유행에 탑승하고자 결정하는지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변화한다.

'밈'의 발전은 언론과 대중의 경계를 좁혀주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미디어와 함께 계속해서 발전될 것이다. 그렇기에 더더욱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하여 '밈'으로 삼아도 되는 것과 아닌 것, '이래도 괜찮은가'라는 물음의 경계선을 확실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태그:#전청조, #밈, #소셜미디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