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 중구 삼덕동 옛 대구형무소 사형장터에 조성된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외벽에 대구형무소 터가 있었던 자리임을 알리는 조형물이 조성돼 있다.
 대구 중구 삼덕동 옛 대구형무소 사형장터에 조성된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외벽에 대구형무소 터가 있었던 자리임을 알리는 조형물이 조성돼 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일제강점기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순국한 대구 중구 삼덕동 옛 대구형무소 사형장터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이 들어선다.

대구 중구청은 대구형무소 사형장터에 세워진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공령로 22)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대구형무소 역사관은 지난해 11월 착수해 사업비 4억 원을 투입해 면적 115㎡ 규모로 조성하며 2024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형무소는 1908년 중부경찰서 뒤편에 지어져 대구감옥으로 불렸으나 1910년 4월 삼덕동으로 이전한 뒤 1923년 5월 5일 조선총독부령 제72호에 따라 대구형무소로 개칭했다.

일제강점기 서울, 대구, 평양 전국 3대 형무소 중 하나로 1919년 3.1운동 이후 5000여 명의 조선인이 수감되고 많은 독립운동가가 순국한 가슴 아픈 장소이다.
  
대구시 중구 삼덕동 삼덕교회에 있는 이육사 벽. 이곳은 옛 대구형무소 터가 있던 곳이다.
 대구시 중구 삼덕동 삼덕교회에 있는 이육사 벽. 이곳은 옛 대구형무소 터가 있던 곳이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민족시인 이육사 선생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의거 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대구형무소에 1년 7개월 동안 수감됐으며 당시 수인번호였던 264번을 따 이육사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또 1946년 10월항쟁 당시 수많은 시민이 붙잡혀 수감되었다 6.25 전쟁 직후 재소자 중 2574명이 달성군 가창골 등지에서 대량 학살되었다.

대구형무소는 1961년 대구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되고 1971년 삼덕동에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로 신축 이전했다.

이후 삼덕교회가 1979년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대구형무소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졌고 2016년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을 지으면서 기념관 1층 로비에 대구형무소 사적기념관 등 일부만이 남아 있다.

중구청은 순국열사들의 희생을 기리고 감사함을 되새기고자 2021년 7월 삼덕교회와 대구 형무소 역사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2021년 10월 옛 대구형무소가 민족 수난의 현장임을 알리고 민족지도자의 뜻을 대구시민들과 함께 기리고자 옛 대구형무소 상징 조형물을 설치했다.

또 2022년에는 삼덕교회에 대구형무소에서 희생된 애국지사 206인의 명단을 새긴 추모의 벽을 조성했다.
 
대구 중구청은 삼덕동 옛 대구형무소 터가 있던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을 조성한다.
 대구 중구청은 삼덕동 옛 대구형무소 터가 있던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을 조성한다.
ⓒ 대구 중구청

관련사진보기

  
중구청은 내년에 조성이 완료되는 대구형무소 역사관을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을 재조명하고 도심 근대역사·문화자산과 연계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독립운동가 순국의 터인 대구형무소 역사관을 조성해 이곳에 수감되었던 애국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되새기고 역사교육 및 추모 공간으로 만들어 근대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태그:#대구형무소터, #삼덕교회, #대구형무소역사관, #대구중구청, #독립운동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