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상 기술 이용 달걀 형태 검출
 영상 기술 이용 달걀 형태 검출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산란계 농가에서 '알을 낳지 않거나 산란능력이 정상적인 계군보다 낮은 닭(과산계, 寡産鷄)'을 선별하는 영상 기반 기술인 '지능형 과산계 선별 장치'가 개발 중에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일 "산란계 농가에서 과산계는 일반 산란계와 구별되지 않아 눈으로는 쉽게 선별하지 못하고, 또한 과산계가 많이 발생할 경우 인공수정사 또는 감별사를 이용한 선별 비용과 사료 비용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농촌진흥청이 산란계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추진중인 지능형 과산계 선별 장치 개발은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사업'의 일환으로 전북대학교와 엠코피아, 엘지유플러스(LGU+) 공동연구로 진행하고 있다. 
 
과산계 선별 장치 개발 모식도 *산업재산원 출원(10-2022-0101509, 2022)
 과산계 선별 장치 개발 모식도 *산업재산원 출원(10-2022-0101509, 2022)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농촌진흥청은 "지능형 과산계 선별 기술은 ICT를 접목한 카메라 영상을 통해 계사 내 달걀 이송 장치에서 인공지능(AI)으로 이동하는 달걀 형태를 인식한다"면서 "이를 토대로 계란 이송 장치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해 계사 내 과산계가 존재하는 케이지 위치를 파악하고 농장주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개발하고 있는 기술은 카메라에 AI를 접목해 각각의 달걀 형태를 인식함으로써 이전 달걀 인식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산계가 존재하는 케이지 위치를 더 정확하게 확인한 다음 이를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농장주에게 알릴 수 있다"고 부연했다.
 
개발된 과산계 선별 앱(APP) 프로그램
 개발된 과산계 선별 앱(APP) 프로그램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앞서 농촌진흥청은 이 같은 '케이지별 산란수 측정시스템'에 대한 산업재산권을 2022년 출원했으며, 현재 케이지 내 어떤 닭이 과산계인지 특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또한, 스마트폰 앱(APP) 프로그램과 연동해 과산계 위치 등의 정보를 농장주에게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까지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김시동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장은 "일반적으로 산란계 농장에서는 과산계는 선별하기 어려워 이로 인한 사료비 손실은 매우 크다"면서 "과산계 선별 기술이 개발되면 국내 산란계 농가의 경제적 손실 및 사양관리 개선 등 경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사육 산란계'는 약 7600만 수(통계청 2023년 3분기)이며, 이중 과산계는 전체 산란계의 3~4%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만약, 과산계를 조기 선별하는 기술을 적용하면, 일일 약 1억3000만 원의 사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백신 등 약품비용 및 산란계 관리에 드는 노동력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장시험을 위한 장비 설치
 현장시험을 위한 장비 설치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태그:#농촌진흥청, #산란계, #지능형과산계선별장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