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강의 중인 존 그린버그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곽우신

관련사진보기

 
"공화당은 팩트를 존중하는 것에서 멀어졌다(The republican party has moved away from respecting facts)."
 
미국 정치 관련 팩트체크 전문매체 <폴리티팩트(Politifact)>의 존 그린버그(Jon Greenberg) 선임 특파원은 한국의 기자들에게 <폴리티팩트>, 그리고 미국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폴리티팩트>가 미국 공화당 혹은 공화당 지지자들로부터 '진보(Liberals)' 혹은 '민주당 편'이라고 공격받는 상황을 말한 것이다.
 
'팩트체크 디플로마'에 선발된 한국 기자들은 지난 10월 말, 워싱턴 D.C <폴리티팩트>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이었다. 존 그린버그는 미국 전문기자협회로부터 탐사 보도 부문 기자상을 두 번이나 받은 전문 기자다. 백악관과 미국 의회를 출입하며 팩트체크하는 게 그의 주된 업무이다. 존은 이 프로그램을 총괄하며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한국 기자들에게 나름의 노하우를 전수했다.
 
그는 도널트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출현 이후 미국 정치 환경이 변했음을 토로했다. "우리는 여전히 팩트에 집중해서 나아가고 있지만, 보수적인 사람들 혹은 보수 진영에서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더 팩트를 뒤트는 경향(tend to twist the facts more)이 있다"라며 "우리는 변하지 않았는데, 그들이 우리를 다르게 보이도록 한다"라고 꼬집었다. 
 
정치인들이 불편해할 만한 사실을 지적했을 때, 지지자들로부터 SNS나 이메일 등을 통해 신변 위협이 담긴 악성 공격을 받는 것은 미국이나 한국이나 비슷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팩트'의 힘을 믿으며, 어느 정파에도 치우치지 않고 정치인의 거짓말들을 파헤치고 있었다.
 
<폴리티팩트>, 정치인의 거짓말을 파헤치다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강의 중인 존 그린버그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곽우신

관련사진보기

 
국제팩트체킹연맹(IFCN)의 멤버이기도 한 <폴리티팩트>는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팩트체크닷오르그(FactCheck.org)', <워싱턴포스트>의 상설 팩트체크 칼럼 '팩트체커(FactChecker)'와 함께 미국 3대 팩트체크 기관으로 꼽힌다.
 
<폴리티팩트>의 시작은 2007년이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주자들의 발언을 경마식으로 그대로 전달하는 언론 보도에 문제의식을 느낀 이들이 당시 <세인트 피터즈버그 타임스>의 빌 아데어 워싱턴 지국장을 중심으로 의기투합해 '사실검증'에 나서면서 출발했다. 최근에는 검증 범위가 더 넓어졌지만, 여전히 이들의 가장 주요한 검증 대상은 주요 정치인들의 연설이나 주장, 정당이나 캠프의 보도자료나 공약 등이다.
 
매체로서 그렇게 길지 않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폴리티팩트>가 빠르게 그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건 몇 가지 원칙과 시스템 때문이다. 모든 취재원을 실명으로 취재한다든가, 팩트체크의 모든 과정을 독자들에게 공개한다든가, 팩트체크 기사 1건을 위해 3명의 에디터가 협의해 보도 여부와 판정 결과를 논의하는 게 대표적이다. 독자적인 사실 검증에 실패했을 경우, 그 역시 함께 밝히는 것도 특징이다.
 
'끈질김'도 <폴리티팩트>의 장점이다. 이미 팩트체크가 완료된 사안이라고 하더라도, 이후로 추가적인 팩트가 드러났을 경우, 이런 부분들까지 기사에 업데이트해 반영하기도 한다. <폴리티팩트>의 팩트체크에 정치인이 반박할 경우, 그 반박까지 다시 '팩트체크'에 나서기도 한다.
 
또한 '새빨간 거짓말(Pants of Fire)'부터 '사실(Truth)'까지, 6단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진실 검증기(Truth-O-Meter)'가 독자들에게 직관적으로 다가간 것도 성공 요인이다. 독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검증 대상을 선정하기도 한다.

이는 독자들이 <폴리티팩트>를 유료로 구독하고 후원해주는 동기가 된다. 지난해 기준 5000여 명의 독자(일시·정기후원 포함)들로부터 66만5000달러(약 8억6500만 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그 외에도 재단이나 대학의 지원, IFCN 프로그램 참여 기금, 메타와 같은 소셜미디어업체의 팩트체크 기관으로 참여하며 받는 돈 등 다양한 수입원을 통해 매체를 운영하고 있다.
 
똑같은 횟수로 팩트체크하는 게 공정? 기준은 숫자가 아니다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강의 중인 존 그린버그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Senior Correpondent)이 한국에서 온 기자들을 상대로 팩트체크의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폴리티팩트>의 트레이닝 세션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SNU팩트체크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존 그린버그 기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들이 동참했다.
ⓒ 곽우신

관련사진보기

 
<폴리티팩트>는 '비정파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들은 공정이나 불편부당성처럼 언론이 추구해야 할 가치를 존중하고, 이를 말이 아니라 실천에 옮기고 있었다. 기자들이 사실을 검증할 때는 개인의 정파적 이해관계(Partisan Interests)를 최대한 배제해야 하고, 그렇게 찾아낸 팩트를 인정하고 겸손해야 한다. 팩트체커들이 우선해야 할 건 오직 사실 그 자체뿐이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기계적으로 똑같은 횟수를 맞춰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어느 정도의 균형은 필요하지만, 팩트체크의 기준은 숫자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년 대선을 앞두고 <폴리티팩트>는 공화당과 관련해 75번 팩트체크에 나섰다. 같은 기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민주당에 대해서는 35번 검증에 나섰다. 이 횟수가 다른 건 <폴리티팩트>가 민주당에 편향적인 매체라거나 진보적이라서 그런 게 아니다. 대신 누가 더 시민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발언을 하는지, 누가 더 거짓말을 많이 하는지가 기준이 된다.
 
물론, 한국 사회와 마찬가지로 미국 사회 역시 정치적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사람들은 사실 그 자체보다, 그 사실이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에 유리한지 혹은 불리한지를 따진다. <폴리티팩트>는 이러한 현상을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 존은 "우리가 팩트로 설득할 수 없는 사람들도 있다"라며 정파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허위·조작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민들이 있음을 이야기했다.
 
팩트체크를 해도 계속해서 거짓말을 반복하는 정치인이 있다. 사실을 알리려고 해도, 허위·조작정보가 더 빠른 속도로 더 넓게 퍼지고는 한다. 하지만 세상에는 양극단에서 강하게 소리치는 사람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합리적인 다수의 시민들이 있다. "다수의 독자는 여전히 무엇이 진실인지 알고 싶어한다"라는 민주 시민에 대한 믿음이 바로 <폴리티팩트>가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낙담하지도 않는 이유였다.
 
무엇보다 그는 <폴리티팩트>의 팩트체크가 사람들의 정치적인 견해나 생각을 바꾸기 위한 게 아니라고 이야기했다. <폴리티팩트>는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알려줄 뿐이다. 그 사실을 해석하고 토론하고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만들어나가는 건 시민의 몫이다.

그렇다고 단순한 사실관계를 제시하는 것에 끝나서도 안 된다. 존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과 멕시코 사이 국경에 장벽을 세웠던 사례를 들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장벽을 세운 뒤 텍사스 주의 국경 도시인 엘파소의 범죄율이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장벽을 세운 시점과 이후 엘파소의 범죄율 추이를 보았을 때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진짜 팩트체크는 여기서 끝나서는 안 된다. 엘파소의 범죄율은 장벽이 건설되기 이전부터 이미 떨어지고 있었다. 장벽이 범죄율 하락의 원인이 됐다고 단정짓기 어려운 셈이다. 정치인들은 대개 이처럼 약간의 사실을 왜곡해서 교묘하게 이야기한다. 정치인들의 주장에 기자들이 민감하게 촉을 세워야 하는 이유이다.

또한, 설사 정파적 편향성을 강하게 띠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본래 지지해야 하는 게 개별 정당이 아니라 그보다 더 높은 수준의 가치와 덕목이라는 점을 상기시켜주는 것도 언론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존은 이야기했다. 예컨대, 불리한 팩트체크에 반발하는 민주당원에게 '진보'의 본래 의미가 무엇인지 깨우쳐주자는 제안이었다.
 
"팩트체크는 외줄 위 자전거 타기... 계속 나아가야 한다"
 
그는 최근 한국에서 팩트체크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전했다. 보수 정권이 들어선 이후 SNU팩트체크센터와 이를 후원하는 포털을 향한 정치권의 압박도 거세졌다. 결국 네이버가 SNU팩트체크센터의 재정적 지원을 중단했고(관련 기사: 네이버, SNU팩트체크 서비스 중단... 여당 '외압' 논란), 이에 대해 IFCN을 포함한 여러 단체와 팩트체커들도 비판적인 입장을 표했다(관련 기사: "팩트체크는 민간 몫... 정부 나서면 객관성·공정성 의심받아").
 
세계 최대의 팩트체크 컨퍼런스 행사인 '글로벌 팩트10'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 존은 SNU팩트체크센터가 그간 쌓아온 성과를 높이 평가했고,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활동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부에게도 허위·조작정보에 대처해야 할 나름의 역할이 분명히 있지만, 이처럼 직접적으로 개입해서 재단하는 데 대해서도 걱정을 숨기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으로 돌아갈 기자들에게 여러 가지 당부와 조언도 잊지 않았다. 존은 한국과 미국의 상황이 다르고, 미국 사회가 반드시 한국 사회보다 더 나은 사회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서로 처한 조건이 다른 만큼, 긴 호흡으로 시간을 갖고 기사를 쓰는 <폴리티팩트>의 방식을 한국의 일간 매체들이 그대로 따라할 수 없다는 점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에 돌아간 기자들이 서로 연대하고, 함께 작은 프로젝트라도 시작할 수 있기를 소망했다. 각자의 안부를 묻는 것부터, 독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할 방법을 찾는 것까지. 또한 팩트체크 기사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 기사를 쓸 때라도, 팩트체크에 대한 마음가짐을 잊지 않는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무엇보다 그는 팩트체크 기사를 쓰는 것을 외줄 위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에 비유했다. 어쩌면 한국에서나 미국에서나,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일지 모른다.
 
"외줄 위에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람이 멈춘다면, 그 자리에 그대로 버티기가 매우 어려울 겁니다. 하지만 계속 앞으로 나아간다면, 줄 위에서 버티기 훨씬 쉽겠죠. 여러분들 각자의 관점을 갖고, 여러분의 흐름대로 질문을 던지세요. 같은 정보를 반복하지 말고, 새로운 정보를 계속 제공하면서 독자들의 물음에 답하세요. 여러분들이 그 이야기를 계속 앞으로 끌고 나간다면, 독자들도 진실에 도달할 수 있을 겁니다."
 
지난 10월 27일, 모든 트레이닝 세션을 마친 한국 기자들이 정은령 SNU팩트체크센터 센터장, 한국언론진흥재단 관계자 그리고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과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 2023 팩트체크 디플로마 지난 10월 27일, 모든 트레이닝 세션을 마친 한국 기자들이 정은령 SNU팩트체크센터 센터장, 한국언론진흥재단 관계자 그리고 존 그린버그 <폴리티팩트> 선임 특파원과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 곽우신

관련사진보기


[관련기사]
윤 대통령 당황케 한 미국 기자 "그게 바로 기자가 하는 일" https://omn.kr/26eld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SNU팩트체크센터, 포인터 연구소가 공동 진행한 팩트체크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태그:#팩트체크, #폴리티팩트, #사실검증, #IFCN, #존그린버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