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톨릭교회의 프란치스코 교황은 자신의 회칙 <찬미받으소서(2015)> 4장에서 생태 문제에 "인간적 사회적 차원을 분명히 존중"하며 접근하는 '통합 생태론'을 제안한다. 여기에 따르면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기후위기 또한 사회적인 동시에 환경적인 하나의 복합적인 위기다.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의 라즈 파텔도 기후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강조한다. "마법 같은 해결책은 없다. 만약 기후변화의 싸움에서 이긴다면, 칼을 천 번은 휘둘러 얻은 승리일 것이다. 칼은 다양한 부문에서 휘둘러야" 한다(라즈 파텔 <경제학의 배신>, 251쪽).

기후위기는 불평등, 젠더, 인종, 식민주의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얽혀있는데, 이 다양한 문제의 근원은 '자본주의'로 수렴된다(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156쪽 참조). 나오미 클라인이 자신의 저서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의 부제 '자본주의 대 기후'로 천명했듯이 기후위기는 자본주의 문제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노동력과 자연의 자원을 최대한 저렴하게 추출해 생산과 소비에 동원함으로써 이윤을 최대화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삶과 자연이 함께 훼손됐고, 경제성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구가 뜨거워져 기후위기가 닥쳤다.
 
달러.
 달러.
ⓒ pexels

관련사진보기

  
기후위기를 비롯한 삶의 총체적 위기는 자본주의 체제에 내재하는 '성장'의 역학에서 비롯한다. 기업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끊임없이 성장을 추구한다. 더구나 자본주의는 성장하지 않으면 사회적 고통이 커지는 체제로서 구조적인 성장 압박 요인이 내재한다. 시장에서 경쟁하며 이윤을 최대화하는 기업은 언제나 노동생산성 향상에 매달린다. 생산성이 올라가면 생산에 필요한 총노동량이 감소하여 생산 비용이 감소하고 이윤은 늘어난다.

또한 상품 가격을 내려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고용 수요가 감소하면 사회적으로 실업 요인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른바 '생산성의 함정'이다. 경제 규모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계속해서 생산성을 향상하면 실업자는 늘 수밖에 없다. 실업자가 많아지면 사회 전체의 구매력이 떨어져 상품이 덜 팔리고 기업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요약하면, 생산성 향상은 이윤을 최대화하려는 개별 기업으로는 최선의 선택이지만 사회 전체로는 실업자가 늘어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생산성 향상으로 실업자가 느는 것을 막으려면 일자리를 늘려야 하고, 일자리를 늘리려면 생산을 늘려야 한다. 팔리지 않는 것은 생산하지 않으므로 생산을 늘리려면 소비를 늘려야 한다. 이 생산과 소비의 증가가 바로 성장이다. 그러니까 필요가 늘어서가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려고 성장하는 것이다. 또한, 개별 기업은 성장함으로써 더 많은 이윤을 거둔다(조현철(필자), <JPIC, 예언자의 세상 읽기> 104~106쪽).

자본주의에서 성장은 수단이 아닌 목표다. 무엇을 위한 성장이 아니라 성장을 위한 성장이다. 성장이 숙명인 자본주의 체제에서 '성장이 곧 발전이요 진보'라는 '성장 신화'가 생겨났다. 성장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믿음, 많은 것이 좋은 것이라는 믿음, 성장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리라는 믿음, 미국의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가 말했듯이 "성장은 모든 배를 뜨게 하는 밀물"이라는 믿음이 우리를 지배한다.

자본주의 성장 체제에서 소비주의는 자연스러운 귀결이며, 생태적 부담과 피해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생산과 소비를 늘리는 성장은 더 많은 자원과 에너지의 사용을 뜻하고, 생산·유통·소비·폐기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비롯한 쓰레기와 오염물질 배출도 늘어난다.

성장은 결국 우리가 이전보다 자연에서 물질을 더 많이 추출해 생산하고 소비했고 그래서 더 많은 쓰레기를 만들었다는 뜻이다. 계속 성장하는 한, 우리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적기에 필요한 만큼 줄일 수 없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자체의 작동 기제에 따라 자기의 터전을 먹어치울 때까지 성장을 멈추려 하지 않는다.
 
공장 굴뚝.
 공장 굴뚝.
ⓒ pexels

관련사진보기

  
성장을 좇는 자본주의는 소수에게 물질적 풍요로움을 안겨줬지만, 다수의 삶은 피폐해졌고 불평등은 늘어났다. 자연은 파괴되고 기후위기가 닥쳤다. 이들 문제는 우리 대다수가 자본주의 체제를 용인하는 방식으로 세계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더욱 더 복잡해지고 해결하기 어렵게 된다. 근대 이전, 동양과 서양은 자연을 생명의 원천, 일종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로 여기는 유기체적 세계관이 지배했다. 자연에 생명이 깃들어 있다고 보는 유기체적 세계관은 인간이 자연을 존중하고 함부로 다루지 못하게 제어하는 기능을 했다.

16세기 들어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오는 하늘을 관찰하며 우주를 생명이 없는 '죽은' 물질로, 우주의 변화는 기계적 질서와 운동으로 이해했다. 17세기 데카르트는 세계를 사유 주체와 사유 객체, 정신과 물질로 분리하여 인식하는 철저한 이원론적 세계관을 정초했다. 물질은 연장(res extensa)을 뜻했고, 연장은 길이·넓이·깊이를 가진 것을 총칭했다. 세계는 다양성과 고유성, 생명을 잃고 물질이라는 단일 범주로 균질화됐다. 세계는 물질과 기계적 운동으로 이뤄지는 거대한 기계로, 세계의 모든 것은 기계의 부품으로 여기게 됐다. 유기체적 세계관을 대체한 기계론적 세계관이 등장했다.

기계론적 세계관은 세계를 물질로 여김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간의 행동 제어 장치를 제거했다. 인간이 자연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사상적 근거를 제공한 것이다. 물(水)을 모든 생명의 원천으로 보면 물을 존중하고 소중하게 대하게 된다. 반면, 화학 기호 H₂O로 여기면 물은 우리가 마음대로 조작해도 되는 물질이 된다. 기계론적 세계관은 자연을 인간이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는 물질 덩어리로 만들었다.

이제 인간에게는 물질인 자연을 지배하고 통제할 힘, 자연을 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는 '힘'의 획득이 과제로 남았다. 과학기술은 인간에게 바로 이 힘을 안겨줬다. 데카르트는 자연의 탐구로 인간은 자연의 지배자와 소유자가 된다고 말했다. 베이컨이 말했듯이 '아는 것'은 인간이 자연을 마음대로 휘두르는 힘이다. 힘이 생긴 인간은 더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하여 자연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뽑아내는 데 몰두했다(LS 106항 참조). 과학 기술은 급속한 성장을 가능케 해 자본주의 체제를 뒷받침했고, 그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급격히 늘어났다.

덧붙이는 글 | 가톨릭뉴스 지금 여기,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웹진에도 함꼐 보냅니다.


태그:#기후위기, #자본주의, #기계론적 세계관, #성장, #과학기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천주교 예수회 신부로 서강대학교 교수로 일합니다. 비정규노동자의집 꿀잠과 녹색연합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함께, 조금 더 작게, 살려고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