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금강소나무 산불피해 모습.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금강소나무 산불피해 모습.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3월 4일 시작된 울진·삼척 산불은 213시간 만에 진화됐습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6년 이후 단일 지역 산불로 최장 기간을 기록했습니다. 산불이 휩쓴 면적은 2만923㏊, 서울시의 1/3에 해당하는 규모가 불탔습니다.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불로 총 3988ha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축구장 약 5700개 면적입니다.

이번 산불이 덮친 울진·삼척 지역은 접경지를 중심으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민북 지역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입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림청이 산림 내 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보호·관리가 필요한 산림을 지정하며, 보호구역으로는 규제가 가장 강합니다.

울진·삼척·봉화의 접경 지역에 있는 소광리 일대는 국내에만 자생하는 금강소나무의 최대 군락지입니다. 조선시대부터 지켜온 산림보호 구역입니다. 또한 울진·삼척 지역은 꼬리진달래로 대표되는 한국특산식물이 다수 분포하는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삼척 응봉산 덕풍계곡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삼척 응봉산 덕풍계곡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산불에 그을린 산양 분변자리.
 산불에 그을린 산양 분변자리.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이 일대 산림보호구역은 국내 최고의 야생동물서식지입니다. 국립공원이나 백두대간 핵심 지역에 견줄만한 멸종위기종의 보고로, 환경부 멸종위기종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다수 서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울진·삼척은 멸종위기Ⅰ급 산양의 대표 서식지이자, 산양의 최남단 서식지로 생태적으로 큰 가치가 있습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 역시 큰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울진·삼척 산불은 국가적 재난으로 기록에서도 최대였습니다. 산림생태 복원의 원칙과 방향을 세우고 실제 자연과 산림의 생명력을 증진시키는 복원의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학계·민간 등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한 복원에 필요한 원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정확한 조사

산림복원의 출발은 '조사'입니다. 산불 피해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정밀하고 종합적인 조사가 복원의 성패를 좌우할 것입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생태계가 산불로 어떻게 훼손됐는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규명해야 합니다.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깃대종은 금강소나무, 꼬리진달래이며 동물은 산양입니다. 산불로 이 깃대종들이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정밀 조사가 필요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조사 초기부터 통합적인 조사 정보를 담는 울진·삼척 산불피해 종합조사 공간정보를 GIS(지리정보체계)에 담아야 합니다. 기초 조사에 충실한 GIS는 향후 산불피해지역의 산림생태복원에도 가장 중요한 기반 데이터 중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2. 생물다양성의 회복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복원은 철저하게 생물다양성 회복의 관점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산림보호법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림에 있는 식물의 유전자와 종(種) 또는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역'이라고 명시돼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전 지구적 차원에서 생물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은 당연한 일입니다.  산불 피해 지역의 산림을 생태복원하는 기준과 원칙에서도 생물다양성의 증진은 핵심으로 자리해야 합니다.

3. 유전자를 고려한 복원  

울진·삼척 산불피해 지역의 산림생태복원에서 훼손이나 사라진 식물과 동물을 재도입 및 회복시키는 과정에서 유전자 교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복원 사업으로 인위적인 손길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외래식물 또는 귀화식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 점은 IUCN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자연생태복원 또는 산림생태복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지적하는 원칙입니다. 

4. 자연기반 치유증진
 
100년가량 된 금강소나무 군락.
 100년가량 된 금강소나무 군락.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산불 피해 지역의 복원을 추진함에 있어서 자연과 산림이 가지고 있는 스스로의 치유 능력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자연 치유를 유도하기 위해 부분적인 인공 복원은 어느 정도 개입할 것인지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울진·삼척 산림보호구역에서 산불로 인해 원시성의 금강소나무가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올 여름까지 금강소나무 고사목은 계속 발생할 것입니다. 기존 서식지에 그대로 두게 되면 뿌리 뽑힘, 쓰러짐 등의 상황을 발생할 수도 있지만, 베어내게 되면 2차 훼손이 일어날 것입니다. 관계 분야의 전문가들의 집중적인 현장 조사와 토론을 통한 집단지성을 발휘해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5. 지속적인 모니터링

생태복원에서 사후 모니터링은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국내의 많은 자연 및 산림 복원 사업은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미흡했습니다. 복원사업의 시작부터 생태계가 정착되는 사후까지 장기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추진하는 사례는 많지 않았습니다.

산림복원사업에 대한 모니터링은 최소 30년은 기본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숲이 하나의 완결적인 형태를 갖추기 위해서는 최소 30년이 필요합니다. 실질적인 모니터링의 수행을 위해 되려면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수행 주체와 적절한 예산과 인력의 지원도 수반돼야 합니다. 

수백 년의 시간이 쌓여 만든 생태적·경관적 가치를 뽐내던 울진·삼척의 자연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수많은 생명들의 터전을 되살리는 복원이 되도록 산불이 꺼지길 기도하던 마음들을 다시 모을 때입니다.
 
울진에 서식하는 멸종위기Ⅰ급 산양.
 울진에 서식하는 멸종위기Ⅰ급 산양.
ⓒ 녹색연합

관련사진보기

 

태그:#복원, #산불, #울진
댓글

녹색연합은 성장제일주의와 개발패러다임의 20세기를 마감하고, 인간과 자연이 지구별 안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초록 세상의 21세기를 열어가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