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글 한류 열풍으로 세종대왕과 훈민정음에 관한 관심이 나라 안팎으로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한국문화의 대표적 상징이라 할 수 있는 '훈민정음'(한글)의 창제자 문제에 대해, 2009년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종이 사전을 바탕으로 한, 포털사이트 다음(Daum) 국어사전이 '훈민정음' 풀이를 "조선 시대, 1443년에 조선의 4대 왕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라고, 집현전 학사들과의 공동 창제로 풀이해 놓은 것은 오류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다음> 국어사전의 ‘훈민정음’ 풀이 갈무리
 <다음> 국어사전의 ‘훈민정음’ 풀이 갈무리
ⓒ 다음 국어사전 화면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집현전 학사 협찬설은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의 사실과 진실을 담고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지 않고 저술한 것으로 보이는, 16세기 초 성현의 <용재총화>나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근거 없이 써놓은 단편적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를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과의 공동 창제 또는 협찬하여 창제했다는 주장은, 해례본이 1940년에 발견·소개되기 이전인 일제강점기에는 그런 추측이 가능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제는 공신력 있는 여러 역사 기록이 '세종'이 친히 창제하였다고 되어 있어, 하나의 설로도 성립할 수 없는 잘못된 역사 내용이다. 세종 단독 창제는 역사적 사실로 보나 조금도 의심할 수 없는 역사적 명제가 되었다.

현행 초중고 교과서들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회장 최홍식),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와 한글학회(회장 권재일), 국어문화운동본부(회장 남영신) 등의 노력으로 모두 세종 단독 창제로 최근 3년 사이에 모두 고쳤다. 그런데도 이용자가 많은 포털 국어사전에서 잘못된 역사 내용을 그대로 풀이하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훈민정음 세종 단독 창제 주장은 세종대왕을 위대한 성군으로 우상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그것이 역사적 사실이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가장 중요한 기록인 <세종실록>, <훈민정음> 해례본(1446)에서 세종이 직접 단독으로 창제했다고 스스로 말했고, 신하들도 한결같이 그렇게 증언하고 있다.

세종실록 기록으로 보면 세종은 창제(1443) 17년 전인 1426년부터 어려운 한자에 대해 고민하는 어전 회의 내용을 전하고 있다. 조선 시대 양반 사대부들은 조선 말까지도 한글을 주류 문자로 인정하지 않았을 정도이니 이들이 한자가 아닌 새 문자 창제에 참여한다는 것 자체가 지나친 역사적 상상이다. 18, 19세기 정약용, 박지원, 박제가 등 수많은 실학자들조차 실용적인 지식을 한글이 아닌 중국식 한문으로 펴낼 정도였다.

다른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국어사전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그대로 따라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라고 세종의 창제를 분명하게 밝혀 풀이해 놓았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훈민정음’ 풀이 갈무리.
  <네이버> 국어사전의 ‘훈민정음’ 풀이 갈무리.
ⓒ 네이버 국어사전 화면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필자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사전 내용 수정을 다음카카오에 요청하였으나 지난 10일 고객센터는 '훈민정음' 등재 내용에 대한 필자의 수정 요구에 대해, 기한에 대한 언급 없이 '제공 기관(고려대 한국어사전 편찬실)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는 두 차례의 같은 답변만 내놓고 있다. 오류를 고치는 일인데 보름 넘게 수정을 미룰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다음 국어사전은 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편찬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과 함께, 표제어 '훈민정음'에 대한 정의를 하루 속히 바로 잡아 '훈민정음'의 사전적 정의를, 정확하고 근거가 분명한 정보로 국내외 독자들에게 제공하기를 바란다. '훈민정음'(한글)은 1443년 창제와 1446년 반포 이후 지금까지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문화의 대표적 상징이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는 훈민정음학과 세종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국어학자입니다.
* 참조: 김슬옹 지음, <한글교양>(아카넷), <한글혁명>(살림터)


태그:#훈민정음, #창제자, #국어사전, #세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훈민정음학과 세종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