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태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1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과학탐구영역 생명과학Ⅱ 정답 결정 취소 소송 선고 결과와 관련해 사퇴 입장을 밝힌 뒤 브리핑실을 떠나고 있다. 서울행정법원 재판부는 이날 수능 생명과학Ⅱ 응시자 92명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상대로 낸 정답 결정 처분 취소 소송을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Ⅱ 20번 문항 정답을 5번으로 결정한 처분을 취소하라"고 밝혔다
 강태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1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과학탐구영역 생명과학Ⅱ 정답 결정 취소 소송 선고 결과와 관련해 사퇴 입장을 밝힌 뒤 브리핑실을 떠나고 있다. 서울행정법원 재판부는 이날 수능 생명과학Ⅱ 응시자 92명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상대로 낸 정답 결정 처분 취소 소송을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Ⅱ 20번 문항 정답을 5번으로 결정한 처분을 취소하라"고 밝혔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수능 생명과학Ⅱ 문항 오류가 법원의 판결로 일단락됐다. 평가원의 수능 문항 검토 과정은 꽤 심도 있게 진행된다. 조금 과장하면 편집증에 걸린 사람들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여러 각도에서 주도 면밀하게 문제를 살핀다. 추측컨대 검토 과정에서 논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어할 수 있다며 자신있게 밀어붙인 출제진이 있었거나, 막판에 문항이 갑자기 수정되며 충분히 검토할 시간을 갖지 못한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해 본다.

문항 오류는 매우 큰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사안이긴 하지만 수능은 쉬우면 쉽다고, 어려우면 어렵다고 늘 말이 많았다. 쉽게 출제되면 변별력이 떨어져 입시에서의 선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어렵게 출제되면 학교 수업만 가지고 수능에 접근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국 전자보다는 후자를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아마 생명과학Ⅱ의 문항 오류도 어렵게 내려다가 발생한 문제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수능이 어렵게 출제되면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은 차치하고, '문제를 위한 문제', '틀리게 하기 위한 문제'가 출제될 수밖에 없다. 출제진의 입장에서는 한정된 내용으로 문제를 점점 진화시켜야 한다. 진화가 인위적으로 될 수 있을까?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런 문항이 변별의 척도가 되고, 그런 문제를 잘 푸는 능력이 훌륭한 대학 수학 능력이 돼 버린다. 과연 그런 문제 풀이 능력이 중요한 대학 수학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실제로 수능에서 어려운 문제들은 교육 과정 밖의 문제들이거나 뻔한 사실을 실수하기 쉽도록 아주 교묘하게 뒤틀어 버린 문제들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회문화의 경우에는 표 분석 문제로 변별을 한다. 실제로 교과서에서는 표를 분석하는 수준이 비율의 추이 정도를 판단하면 되는 수준이다. 그런데 수능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로 기출 문제 표 분석 연습을 열심히 하지 않으면 1등급을 받을 수 없다. 교과서의 내용은 정해져 있고, 학생들은 기출 문제로 훈련되어 있고 (문제풀이 머신이 돼 있다고 농담을 하곤 한다. 때로는 문제 풀이를 출제한 교수나 교사사보다 더 잘 하는 학생도 있다!) 기존의 유형과 유사하면 출제하는 사람들은 어렵게 느껴도 우수한 학생들은 별로 어렵게 느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어렵게 출제해도 만점짜리 학생들이 속출한다. 그래서 어렵게 출제해도 다수는 징징대지만 표점은 높아지고, 잘 보는 학생들은 여전히 더 잘 본다. 수능을 어렵게 낼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수능은 한계에 봉착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시 본래의 취지로 돌아가야 한다. 교육 과정의 성취 기준에 충실하게 출제하고, 학교 공부만 열심히 하면 잘 볼 수 있고, 교과서에 충실하게 기본 학습 능력을 점검해 주는 수준이면 된다. 대학 갈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 고사로 활용되는 것이 수능의 목적에 부합한다.

대학에서 더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보고 학생을 선발하고 싶다면 현재 수시에서 활용되는 평가 방법인 면접과 논술을 본고사 형식으로 대학에서 좀 더 심화해서 도입하면 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구성하여 쓰거나 발표하는 능력은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오지 선다에서 답을 고르는 능력보다 훨씬 더 유용한 능력 아닌가? 학교 수업도 이젠 단순 강의식에서 벗어나 읽기, 쓰기, 말하기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혹자들은 수능만으로 대학 가는 것이 가장 공정하다고 생각하는데, 정량화된 결과로만 평가한다고 공정한 것은 아니다. 물론 현재의 수시 제도에 대해 더 고민할 필요가 있지만 정시만이 답이 될 수는 없다는 의미이다. 지역별 서울대 정시 합격자 수만 보더라도 서울의 특정 지역에서는 정시 합격자 수가 매우 적거나 심지어 없는 지역도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수능 만능이 되면 사교육 열풍을 잠재우기 힘들고, 지역 간 입시 격차는 더욱 심해지며, 공교육은 황폐화되고, 학생들은 정말 중요한 것을 제대로 배우지 못할 수 있다.

수능은 한계에 도달했고, 진지하게 자격 고사화를 논해야 할 때가 되었다. 그런데 교육부에서는 한계에 도달한 수능을 주관식을 도입해 변화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들린다. 그냥 소문으로 끝나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필자는 현직 교사입니다. 개인 블로그에 올린 글입니다. https://blog.daum.net/teacher-note/1802


태그:#수능, #문항오류, #수능 난이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간과 동물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사회를 꿈꾸는 사회과 교사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