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철새서식지 훼손 등 생태계 파괴 논란이 불거지자 협약과 공동조사를 거쳐 나온 낙동강유역환경청의 대저대교 대안노선. 그러나 부산시가 대안노선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파장이 계속되고 있다.
 철새서식지 훼손 등 생태계 파괴 논란이 불거지자 협약과 공동조사를 거쳐 나온 낙동강유역환경청의 대저대교 대안노선. 그러나 부산시가 대안노선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파장이 계속되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낙동강 하구 부산 대저대교 건설을 둘러싸고 환경부가 대안노선을 제시했지만, 부산시가 이를 거부하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환경단체는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부산시가 아직도 '일방소통'의 관료주의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라며 '소통·협치' 관련 공개 질의를 던졌다. 

85개 단체가 박 시장에게 질의서 보낸 이유

지난 25일 부산시와 환경단체는 대저대교 관련 라운드테이블(원탁회의)를 열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의 4개 대안노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자리였다. 환경단체에서는 습지와새들의친구·부산녹색연합·부산환경운동연합 등이, 부산시에서는 도시계획국장과 관련 부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저대교 환경영향평가서가 일부 거짓·부실 작성된 사실이 드러나고, 큰고니 서식지 등 생태계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계속되자 환경청, 부산시, 환경단체는 지난해 12월 겨울 철새 공동조사·평가 협약을 체결했다. 수십 차례의 조사를 바탕으로 논의가 이어졌고, 환경청은 기존과 다른 노선안 4개를 공개했다. 

세 주체는 애초 협약서를 통해 최종 결정을 따르기로 했으나 이런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부산시는 이날 회의에서 대안노선 4개 모두 이견을 표시했다. 교통량 증가에 따른 대저대교의 필요성이 여전히 강조됐지만, 부산시는 논란 끝에 나온 대안노선에 불복 의사를 분명히 했다.

부산시 도로계획과 관계자는 "환경 파괴 가능성이나 시민안전의 문제, 사업비 과다 문제로 등으로 대안노선을 그대로 받기는 힘들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존 안이 최선의 안이지만, (대안노선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85개 단체로 꾸려진 낙동강하구 대저대교 최적노선 추진 범시민운동본부가 31일 부산시청을 찾아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대저대교 대안노선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공개 질의를 던졌다. 발언 중인 범시민운동본부 상임대표 김해창 경성대 교수.
 85개 단체로 꾸려진 낙동강하구 대저대교 최적노선 추진 범시민운동본부가 31일 부산시청을 찾아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대저대교 대안노선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공개 질의를 던졌다. 발언 중인 범시민운동본부 상임대표 김해창 경성대 교수.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환경단체는 바로 반발했다. 85개 단체로 꾸려진 낙동강하구 대저대교 최적노선 추진 범시민운동본부는 31일 부산시청을 찾아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보내는 공개 질의서를 낭독했다. 질의서에는 "관료주의적인 부산시 일부 공무원들이 '소통과 협치의 시정'을 강조하는 박 시장의 생각과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라는 성토가 담겼다.

특히 지난 회의 결과를 전하며 "시장과 어떤 교감도 없는 상태에서 일부 부서가 밀어붙이기식 행정을 펼치고 있는게 아니냐"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성장지상주의 난개발 토건행정의 당위성보다 천연기념물 179호 낙동강 하구 보전을 위한 최적 노선을 찾고 협치시정을 펼쳐달라"고 제안했다. 범시민운동본부는 조만간 공문을 통해 질의서를 전달하고 답변을 받기로 했다.

범시민운동본부 공동대표인 김해창 경성대 교수는 "박 시장이 소통과 협치의 리더십을 말한다면, 이 사안을 해결하기 위한 제대로 된 라운드테이블을 열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환경부는 원칙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평가과 관계자는 "부산시가 어떤 안을 선택하거나 변경안을 제시한 상황이 아니다. 현재로서는 협약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 환경청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시가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해서 제출하면 전문 검토기관의 의견을 종합해 이를 협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태그:#대저대교, #교량, #큰고니, #부산시, #박형준 부산시장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