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교육비 총 규모
 사교육비 총 규모
ⓒ 교육부

관련사진보기

 
초중고 학생 10명 중 7명 이상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사교육비는 19조5000억 원이었다.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9만1000원이었고,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대구 순으로 높았고, 충남이 가장 낮았다. 소득수준별 사교육비의 양극화도 심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2일 통계청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전국 초·중·고 1486개교 학부모 4만여 명을 대상으로 했다.

우선 사교육비 총액은 2017년 18조7000억 원에 비해 4.4% 증가한 19조5000억 원이었다. 학원 및 보습교육 물가상승분(2.0%)을 고려하면 사교육비 총액은 18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가 증가했다.

학교급별로 보면 사교육비 증가 추세는 초등학생이 8조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2%가 증가했다. 고등학생은 5조9000억 원으로 3.5% 증가했고 중학생은 5조원으로 3.5% 증가했다.

교과별로 보면 사교육비 총액은 14조3000억 원으로 전년 13조6000억 원에서 7000억 원이 증가했다. 이중 국어는 1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2%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영어는 5조7000억 원, 수학은 5조5000억 원이었다.

예체능 및 취미·교양 영역도 증가 추세다. 이 분야의 사교육비 총액은 5조1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천억 원 증가했다. 이 중 음악은 1조6000억 원, 미술은 9000억 원, 체육은 2조1000억 원이었다.
 
1인당 평균 사교육비
 1인당 평균 사교육비
ⓒ 교육부

관련사진보기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9만1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1만9000원 증가했다. 학교급별로 보면 고등학생이 32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 31만2000원, 초등학생 26만3000원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72.8%에 달했고 전년 대비 1.7%p 상승했다. 초등학생이 82.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년에 비해서는 0.1%p 낮아졌다. 사교육을 받는 중학생은 69.6%, 고등학생은 58.5%였고 각각 전년에 비해 2.2%p, 2.6%p 높아졌다.
 
학교급별 사교육 시간
 학교급별 사교육 시간
ⓒ 교육부

관련사진보기

 
일주일에 사교육에 참여하는 시간은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한 6시간20분이었다. 학급별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6시간50분이었고, 고등학생은 5시간30분이었다. 일반 교과는 4시간으로, 예체능 및 취미·교양 2시간20분보다 높았다.

2018년부터 분석하기 시작한 진로·진학 학습상담에 사용하는 비용도 연간 616억 원에 달했다. 학교급별로는 고등학생 324억 원(30.2%)으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생 166억 원, 중학생 127억 원 순이었다. 지난해 학생 10명 중 3명 이상(3.6%)이 진로·진학 학습상담 사교육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진학 학습상담 사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은 1인당 연간 평균 2.6회 상담을 했으며 1회당 상담 비용은 평균 11만8000원을 썼다. 학교급별로 초등학생이 회당 평균 8만5000원, 중학생 10만9000원, 고등학생 15만2000원이었다.

교과의 경우 사교육 수강목적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학교수업보충·심화'(49.0%)이 가장 높았고, '선행학습'(21.3%), '진학준비'(17.5%), '불안심리'(4.7%) 순이었다.

예체능 및 취미·교양의 경우는 '취미 및 재능개발'이라는 응답이 59.6%로 가장 높았고, '진학준비'(10.0%), '친구사귀기'(9.0%), '학교수업보충·심화'(8.9%)의 순이었다.

가구의 소득 수준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의 격차는 컸다. 월평균 소득 800만 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5000원이었고 200만원 미만 가구는 9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 800만 원 이상 가구의 참여율은 전년(84.5%) 대비 0.6%p 감소한 84%였고, 200만원 미만 가구는 전년(44.0%) 대비 3.3%p 증가한 47.3%였다.

시·도별로 볼 때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 41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 32만1000원), 대구(30만3000원 순이었다. 충남은 18만7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시·도별 사교육 참여율은 서울 지역이 79.9%에 달했으며, 세종 77.9%, 대전73.8% 순으로 높았다. 전남은 61.5%로 가장 낮았다.

이번 조사 결과 자녀 수가 적을수록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자녀가 1명인 경우 32만4000원, 2명인 경우 30만8000원, 3명 이상인 경우는 22만5000원이었다.

사교육비는 계속 증가추세인 반면, 방과후학교 참여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방과후학교 이용 총액은 9258억 원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917억 원이 감소한 액수이다. 참여율은 51.0%로 전년 대비 3.7%p 하락했다.

교육부는 공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2학년도 대입개편방안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대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한편, 대입 전형의 단순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를 제고하고,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초등돌봄교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태그:#사교육비, #교육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