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2월 20일부터 시범 서비스에 들어가는 '제로페이 서울' 개념도
 12월 20일부터 시범 서비스에 들어가는 "제로페이 서울" 개념도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 자영업자들의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0% 대로 낮추기 위해 마련된 '제로페이' 서비스가 마침내 20일 시작된다.

제로페이는 소비자의 스마트폰으로 가맹점에 비치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결제 대금이 소비자 계좌에서 자영업자 통장으로 이체되는 방식(MPM)의 결제 시스템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중국 방문 당시 베이징 식당에서 밥값을 결제한 뒤 그 편리함에 감탄했다는 방식이다. 내년 3월부터는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생성된 QR 코드를 가맹점의 스캐너로 인식하는 방식(CPM)도 병행하기로 했다.

제로페이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4개의 간편결제서비스 앱(네이버페이ㆍ페이코ㆍ하나멤버스ㆍ머니트리)과 20개 시중은행 앱을 업데이트하면 된다.

사업이 시행되기까지는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당초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3선에 도전하며 "자영업자들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지방선거 공약으로 내걸었던 사업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서울페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됐다. 그러다가 지난 7월 최저임금(2019년도) 인상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불만을 다독이는 방책을 고심하던 정부여당의 눈길을 끌었고, 중소벤처기업부와 부산시·경남도 등이 함께 하는 '전국 사업'이 되어버렸다.

모양새는 전국 사업이지만, 서울시가 가장 먼저 시작했고 사업을 주도해왔기 때문에 서울의 성패가 사업 전체의 성패를 가늠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범 서비스 개시를 하루 앞둔 19일 현재 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2만 곳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카드 가맹점 53만 3000여 곳 중 제로페이 결제 가능한 업소 목표치(13만 곳)의 15% 정도를 채운 채 서비스를 시작하는 셈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제로페이가 실제로 시작되면 편리함 때문에라도 이용자들이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일단, 제로페이의 인지도 확산을 위해 강남고속버스터미널과 영등포역의 지하상가를 '제로페이 존'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지하철 3,7,9호선이 겹쳐서 유동인구가 많은 고속터미널역 지하상가의 경우 606개 입점 업체 중 526곳이 가맹 신청을 했고, 영등포역도 입점업체 60곳 중 53곳이 참여하기로 했다고 한다.

20일 롯데리아와 엔제리너스 직영점(52곳)과 bhc치킨(263곳) 등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파리바게뜨·파리크라상(748곳) 등이 제로페이 결제를 시작한다.

3대 편의점 체인(CU, GS25, 세븐일레븐) 등 서울 편의점 8000여 곳의 제로페이 결제는 내년 3월경에 가능해질 전망이다. 편의점 체인들은 자체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 정보관리) 단말기에 제로페이를 연동시키는 시스템 개발을 3월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3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BI 선포식 및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표들이 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3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BI 선포식 및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표들이 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많이 쓸수록 자영업자들에게 이익이 많이 돌아가는 구조로 설계됐다. 전년도 매출액 기준으로 8억 원 이하는 0%, 8~12억원 사이는 0.3%, 12억 원 초과 가맹점에는 0.5%의 수수료가 각각 부과된다.

여기에 지난달 26일 정부가 확정한 세액공제 확대 정책을 결합하면, 연매출 10억 원 이내의 가맹점들은 오히려 돈을 돌려받게 된다. 10억 원 이내의 가맹점에 대해서는 최대 1000만 원까지 세액을 공제해주기 때문에 제로페이 결제로만 8억 원의 매출을 올린 가맹점은 최대 1000만 원, 9억 원 매장은 730만 원, 10억 원 이내 매장은 700만 원을 돌려받게 된다.

서울시는 시내의 카드 가맹점(53만 3000여 개) 중 90% 이상이 연매출 8억 원 이하의 영세업체로, 이들 대부분이 제로페이의 덕을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로페이의 고민은 소비자들에 대한 유인책이 상대적으로 강하지 않다는 데 있다.

2019년도부터 제로페이 소비자는 최대 40%의 연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신용카드 15%, 직불·체크카드 30%). 연봉 5000만 원에 2500만 원을 소비한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으로 신용카드 이용자(28만 원)보다 47만 원이 더 많은 약 75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5인 미만의 직원을 둔 가맹점에서 결제해야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맹점이 있다.

서울시는 21일 개장하는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에서 제로페이 결제 입장객에게 30% 할인을 제공하는 등 시민들의 사용을 최대한 독려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제로페이 결제자에게 세종문화회관 입장료와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비 10~30% 할인 혜택이 제공되고, 조례 개정을 거쳐 서울대공원 입장료 및 공공주차장 할인도 추진하기로 했다.

20일에는 박원순 시장이 대한상공회의소 인근 가맹점에서 제로페이의 편리함을 시연하는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박 시장은 "신용카드가 20년에 걸쳐 사용기반이 구축된 것과 달리 제로페이는 이제 막 첫걸음을 뗐다"라며 "단계별 추진과 보완을 통해 더 많은 가맹점이 참여하고 소비자가 편리한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태그:#제로페이, #박원순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